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지역 문화주권의 인식과 문화창조력 = A Recognition of Regional Cultural Sovereignty and a Power of Cultural Cre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851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century of culture, culture production sovereignty could be said a basic human rights is weakened more than past. To distributing culture as goods, cultural expert monopolize cultural production, so general people slide down to consumer of culture. And local people became to don't have local culture sovereignty by being subordinate to urban culture because cultural goods be made in central area supply. Actually if we make level of folk's real life higher and come true cultural democracy, we have to revive a power of cultural creation, and do movement of cultural sovereignty.
      A true sense democracy is to be host of one's life each one. In the ordinary life cultural sovereignty ensure to that such life. Accordingly a cultural self-governing is more important than a administrative self-governing, and cultural sovereignty is more important than political sovereignty. By the way we can't have cultural sovereignty because political and economical power group command cultural power. Consequently we have to make independent cultural sovereignty from political and economical power, and recover a power of cultural creation.
      We can find a example of a power of cultural creation in the folk culture. While a high-class culture be given from the upside and a popular culture be supplied with one-sidedly, folk culture be made creatively can come true cultural democracy and secure cultural variety. A regional community that local folk could enjoy cultural sovereignty is a village society. Therefore we can tell village culture could be a hope of human being culture.
      번역하기

      In the century of culture, culture production sovereignty could be said a basic human rights is weakened more than past. To distributing culture as goods, cultural expert monopolize cultural production, so general people slide down to consumer of cult...

      In the century of culture, culture production sovereignty could be said a basic human rights is weakened more than past. To distributing culture as goods, cultural expert monopolize cultural production, so general people slide down to consumer of culture. And local people became to don't have local culture sovereignty by being subordinate to urban culture because cultural goods be made in central area supply. Actually if we make level of folk's real life higher and come true cultural democracy, we have to revive a power of cultural creation, and do movement of cultural sovereignty.
      A true sense democracy is to be host of one's life each one. In the ordinary life cultural sovereignty ensure to that such life. Accordingly a cultural self-governing is more important than a administrative self-governing, and cultural sovereignty is more important than political sovereignty. By the way we can't have cultural sovereignty because political and economical power group command cultural power. Consequently we have to make independent cultural sovereignty from political and economical power, and recover a power of cultural creation.
      We can find a example of a power of cultural creation in the folk culture. While a high-class culture be given from the upside and a popular culture be supplied with one-sidedly, folk culture be made creatively can come true cultural democracy and secure cultural variety. A regional community that local folk could enjoy cultural sovereignty is a village society. Therefore we can tell village culture could be a hope of human being cul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왜 지금 여기서 문화주권인가?
      • 2. 왜 문화운동이 아닌 문화주권 운동인가?
      • 3. 왜 문화산업이 아니고 문화주권인가?
      • 4. 왜 정치주권이 아니고 문화주권인가?
      • 5. 왜 삼권분립이 아닌 문화주권 독립인가?
      • 1. 왜 지금 여기서 문화주권인가?
      • 2. 왜 문화운동이 아닌 문화주권 운동인가?
      • 3. 왜 문화산업이 아니고 문화주권인가?
      • 4. 왜 정치주권이 아니고 문화주권인가?
      • 5. 왜 삼권분립이 아닌 문화주권 독립인가?
      • 6. 왜 문화분권이 아니라 문화주권 회복인가?
      • 7. 왜 문화수용이 아니라 문화창조력인가?
      • 8. 왜 민속문화를 보기로 한 문화창조력인가?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재해, "한국민속학과 현실인식" 집문당 1997

      2 임재해, "지역문화의 민주적 전통과 문화분권의 재인식" 대구사회연구소 2004b

      3 임재해, "지역문화와 문화산업" 지식산업사 2000

      4 임재해, "지역문화, 그 진단과 처방" 지식산업사 2002b

      5 이욱연, "정치가 이문열" (499) : 2004년3월21일

      6 서재환, "오지게 사는 촌놈" 전라도닷컴 2003

      7 손석춘, "오만한 부자신문의 정체는 무엇인가, 2004년 6월 13일자" 오마이뉴스 2004년6월13일

      8 조동일, "영어를 공용어로 하자는 망상" 나남출판 2001

      9 조동일, "세계?지방화시대의 한국학 I"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5

      10 임재해, "민속문화의 전통과 외래문화의 변증법적 만남" 집문당 2002

      1 임재해, "한국민속학과 현실인식" 집문당 1997

      2 임재해, "지역문화의 민주적 전통과 문화분권의 재인식" 대구사회연구소 2004b

      3 임재해, "지역문화와 문화산업" 지식산업사 2000

      4 임재해, "지역문화, 그 진단과 처방" 지식산업사 2002b

      5 이욱연, "정치가 이문열" (499) : 2004년3월21일

      6 서재환, "오지게 사는 촌놈" 전라도닷컴 2003

      7 손석춘, "오만한 부자신문의 정체는 무엇인가, 2004년 6월 13일자" 오마이뉴스 2004년6월13일

      8 조동일, "영어를 공용어로 하자는 망상" 나남출판 2001

      9 조동일, "세계?지방화시대의 한국학 I"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5

      10 임재해, "민속문화의 전통과 외래문화의 변증법적 만남" 집문당 2002

      11 임재해, "민속문화의 전승주체와 민중의 문화창조력" 집문당 2004c

      12 임재해, "문화주권 수준에서 보는 지역문화의 현실 읽기와 일거리 찾기"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2003년9월26일

      13 임재해, "문화자산으로서 민속문화 유산의 경제적 가치" 比較民俗學會 27 : 2004a

      14 새뮤얼 P, "문화가 중요하다" 김영사 2001

      15 새뮤얼 헌팅턴, "문화가 정말 중요하다" 김영사 2001

      16 임재해, "마을민속 조사연구 방법" 민속원 2007

      17 김경일, "나는 오랑캐가 그립다" 바다출판사 2001

      18 복거일, "국제어 시대의 민족어" 문학과지성사 1998

      19 김영희 옮김, "歷史發展으로서의 文化 共同體文化" 도서출판 공동체.http 1983

      20 김희태, "“전남지방의 향토사 연구 현황” 전남지방의 향토사 연구"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3 0.65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