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賀云, "六朝瓦當與六朝都城" 文物出版社 2005
2 李漢祥, "황룡사 창건 및 목탑 축조의 사회적 배경" 대전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49 : 2012
3 李漢祥, "황금의 나라 신라" 김영사 2004
4 이한상, "허리띠 분배에 반영된 고대 동북아시아의 교류양상" 동북아역사재단 (33) : 349-382, 2011
5 최정범, "한반도 唐式 帶裝飾具의 전개와 의미" 한국고고학회 (106) : 210-251, 2018
6 경상북도, "중고시기-중앙집권과 체제정비"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 편집위원회 2016
7 정진, "의성 금성산고분군 출토 금공품의 변천" 경북대학교대학원 2017
8 권오영, "역사고고학연구의 새로운 지평 -法制考古學의 제창-『三國時代 律令의 考古學的 硏究』, 山本孝文 저" 한국고고학회 (65) : 75-83, 2007
9 박성천, "신라 황룡사형 대금구의 출토양상과 의미" 慶南文化財硏究院 (創刊) : 2007
10 이한상, "신라 복식의 변천과 그 배경" 신라문화연구소 43 (43): 137-172, 2014
1 賀云, "六朝瓦當與六朝都城" 文物出版社 2005
2 李漢祥, "황룡사 창건 및 목탑 축조의 사회적 배경" 대전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49 : 2012
3 李漢祥, "황금의 나라 신라" 김영사 2004
4 이한상, "허리띠 분배에 반영된 고대 동북아시아의 교류양상" 동북아역사재단 (33) : 349-382, 2011
5 최정범, "한반도 唐式 帶裝飾具의 전개와 의미" 한국고고학회 (106) : 210-251, 2018
6 경상북도, "중고시기-중앙집권과 체제정비"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 편집위원회 2016
7 정진, "의성 금성산고분군 출토 금공품의 변천" 경북대학교대학원 2017
8 권오영, "역사고고학연구의 새로운 지평 -法制考古學의 제창-『三國時代 律令의 考古學的 硏究』, 山本孝文 저" 한국고고학회 (65) : 75-83, 2007
9 박성천, "신라 황룡사형 대금구의 출토양상과 의미" 慶南文化財硏究院 (創刊) : 2007
10 이한상, "신라 복식의 변천과 그 배경" 신라문화연구소 43 (43): 137-172, 2014
11 나은주, "신라 문무왕대 外位制 폐지와 지방민의 동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3
12 김도영, "신라 대장식구의 전개와 의미" 한국고고학회 (107) : 72-123, 2018
13 이희준, "대가야고고학연구" 사회평론 2017
14 朱甫暾, "금석문과 신라사" 지식산업사 2002
15 김재열, "경산지역 고분의 장신구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8
16 김준식, "가야 횡혈식석실의 성립과 전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17 鄭岩, "魏晋南北朝壁畵墓硏究" 文物出版社 2016
18 臼杵勳, "韓國의 銙帶金具에 대하여" 伽倻通信編輯部 18 : 1987
19 西安市文物保護考古硏究院, "隋韋協墓發掘簡報" 2015 (2015): 2015
20 최정범, "釜山 福泉洞 65號墳 靑瓷 碗의 再檢討" (사)한국문화유산협회 (29) : 127-160, 2017
21 陝西省考古硏究所, "西安洪慶北朝, 隋家族遷葬墓地" (10) : 2005
22 西安市文物保護考古所, "西安北周康業墓發掘簡報" (6) : 2008
23 陝西省考古硏究所, "西安北周安伽墓" 文物出版社 2003
24 馬冬, "西北地區古代服飾鈕系件硏究" 四川出版集團 四川美術出版社 2009
25 박보현, "統一新羅形 帶金具의 分布와 發生時期" 신라문화연구소 (23) : 229-250, 2004
26 河北省文物硏究所, "河北平山縣西岳村隋唐崔氏墓" 2001 (2001): 2001
27 김성실, "東아시아 出土 晉式帶金具의 成立過程과 그 周邊"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28 朝鮮總督府, "朝鮮古蹟圖譜 三" 151-, 1916
29 홍보식, "新羅 後期 古墳文化 硏究" 춘추각 2003
30 朱甫暾, "新羅 地方統治體制의 整備過程과 村落" 신서원 1998
31 西北大學文化遺産學院, "彭陽海子 北魏,隋墓淸理簡報" 2015 (2015): 2015
32 山西省考古硏究所, "太原北齊徐顯秀墓發掘簡報" 2003 (2003): 2003
33 李愛國, "太原北齊張海翼墓" 2003 (2003): 2003
34 김지현, "古代 東亞細亞 出土 晉式帶金具의 成立과 展開" 한국상고사학회 75 (75): 221-251, 2012
35 南京市博物館, "南京市雨花台區南朝畵像磚墓" (6) : 2008
36 賀云, "南京出土六朝椽當初硏" (5) : 2009
37 山西省考古硏究所, "北齊東安王 睿墓" 文物出版社 2006
38 王克林, "北齊庫狄 洛墓" (3) : 1979
39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所, "北魏洛陽永寧寺" 中國大百科全書出版社 1996
40 張勇盛, "北朝時期窯業技術的初步硏究" 2016 (2016): 2016
41 陝西省考古硏究所, "北周武帝孝겓發掘簡報" 1997 (1997): 1997
42 최정범, "中國 唐式 帶裝飾具의 登場과 展開" 중앙문화재연구원 (22) : 95-130, 2017
43 山本孝文, "三國時代 괹令의 考古學的 硏究" 서경 2006
44 李漢祥, "7世紀 前半의 新羅 帶金具에 대한 認識 -‘皇龍寺型 帶金具’의 설정" 古代硏究會 7 : 1999
45 이성호, "6세기 新羅 外位制의 성립과정"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2
46 李漢祥, "6世紀 新羅의 帶金具 -‘樓岩里型 帶金具’의 설정" 韓國考古學會 35 :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