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울산지역 조선시대 취락에 나타난 수혈주거지 변화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Change of the Dwelling Sites in Ulsan A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1553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welling sites in the Joseon Dynasty is not confirmed the regularity of stone rows and column holes in the walls that appeared in the Goryeo Dynasty. Its area was around 15㎡, and it had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with facilities installed aro...

      The dwelling sites in the Joseon Dynasty is not confirmed the regularity of stone rows and column holes in the walls that appeared in the Goryeo Dynasty. Its area was around 15㎡, and it had a relatively simple structure with facilities installed around a fireplace on the wall. Based on documentary records, size, and structure, the dwellings within the villages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Ulsan area correspond to the housing type of the lowest class.
      The main characteristic of the residential change process in large-scale settlements of the Joseon Dynasty in Ulsan area was that the number of dwellings in each village increased rapidly in the 16th century, as the number of dwellings began to gradually increase from the middle of the 15th century. From the 17th century, it was decreased sharply, and by the 18th century, not only villages but also dwellings were almost absent.
      The factors of residential change process of the Joseon Dynasty in Ulsan can be summarized into four categories. First, it is the change of the building site in the residential area after the 17th century. Second, the center of the village was characterized by moving from the hills to the plains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technology and social, economic activities. Third, the population was decreased rapidly due to the two great wars that occurred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and as a result, the number of dwellings within the village was also decreased sharply. Lastly, it is thought that set-up and withdrawal of the station with inns led to the formation and extinction of the station area, affecting the change of residence in the villag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조선시대 수혈주거지는 앞 시기인 고려시대 수혈주거지에서 나타나는 벽석렬과 주혈의 규칙성이 확인되지 않으며, 면적이 15㎡ 전후로 벽로 중심의 시설이 설치되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

      조선시대 수혈주거지는 앞 시기인 고려시대 수혈주거지에서 나타나는 벽석렬과 주혈의 규칙성이 확인되지 않으며, 면적이 15㎡ 전후로 벽로 중심의 시설이 설치되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를 보인다. 이처럼 울산지역 조선시대 취락 내에서 확인되는 수혈주거지는 문헌기록과 면적, 구조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볼 때 최하층민의 주거형태에 해당한다.
      울산지역 조선시대 취락의 분포는 소규모, 중소규모, 대규모 취락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대규모 취락은 주요 교통로 또는 역원 주변에 분포하는 특징을 보인다. 지리적으로 모두 태화강 북쪽에 위치하며, 취락 주변에 소규모 취락과 중소규모 취락이 함께 분포하는 양상이다.
      울산지역 조선시대 대규모 취락에서 수혈주거지 시기별 변화과정의 가장 큰 특징은 15세기 중반부터 수혈주거지가 서서히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16세기에는 취락마다 수혈주거지의 수량이 급증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후 17세기 이후부터는 급격히 감소하면서 18세기가 되면 취락 내에서 거의 수혈주거지의 모습을 찾아볼 수 없는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울산지역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의 시기별 변화의 요인은 4가지로 추론할 수 있다. 첫째, 주거형태의 변화로 17세기 이후 수혈주거지에서 지상건물지로의 변화이다. 둘째, 입지의 변화로 농업기술과 사회ㆍ경제활동의 발달로 인해 취락의 중심이 구릉에서 평지로 이동하였다. 셋째, 인구변화로, 16~17세기에 발생한 양란으로 인해 인구가 급격히 감소한 원인이 작용하여 취락 내 수혈주거지의 개체 수 또한 급격히 감소하였다. 마지막으로 역촌의 설치와 정비, 해체가 역촌의 형성과 소멸로 연결되어 취락 내 수혈주거지 변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생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현주, "화성 남양동 유적 조선시대 수혈주거지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2 강영환, "한국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1999

      3 강경숙, "한국도자사 연구" 일지사 2001

      4 한선경, "청주지역 조선시대 수혈수혈주거지의 성격"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8

      5 鄭燦皓, "지형도에 나타난 취락 입지 분석 : 경기 북동부를 중심으로"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6 오승규, "중부지방 조선시대 수혈수혈주거지의 성격 검토"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0

      7 이경복, "조선시대 움집과 그 안에 살던 사람들" 백산학회 69 : 2004

      8 임영호 ; 정여선,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에 대한 연구" (사)한국문화유산협회 (3) : 121-172, 2007

      9 오준혁,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에 대한 검토 : 대전광역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8

      10 박한재, "조선시대 경기지방의 수혈주거지"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7

      1 김현주, "화성 남양동 유적 조선시대 수혈주거지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2 강영환, "한국주거문화의 역사" 기문당 1999

      3 강경숙, "한국도자사 연구" 일지사 2001

      4 한선경, "청주지역 조선시대 수혈수혈주거지의 성격"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8

      5 鄭燦皓, "지형도에 나타난 취락 입지 분석 : 경기 북동부를 중심으로"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5

      6 오승규, "중부지방 조선시대 수혈수혈주거지의 성격 검토"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0

      7 이경복, "조선시대 움집과 그 안에 살던 사람들" 백산학회 69 : 2004

      8 임영호 ; 정여선,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에 대한 연구" (사)한국문화유산협회 (3) : 121-172, 2007

      9 오준혁,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에 대한 검토 : 대전광역 조사자료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8

      10 박한재, "조선시대 경기지방의 수혈주거지"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7

      11 김지혜, "조선시대 경기도지역 수혈주거지에 대한 고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3

      12 이유진, "조선시대 경기남부지역 수혈주거지의 구조와 변천 : 평택고덕지구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0

      13 손성진, "조선시대 강원지역 움집유적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3

      14 "울주 반연리 유적" 울산발전연구원문화재센터 2010

      15 황대일, "울산지역 조선시대 수혈주거지에 대한 일고찰"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1

      16 "울산 웅촌 곡천지구 도시개발사업부지 내 유적 발굴(정밀)조사 약보고서" 蔚山文化財硏究院 2021

      17 "울산 송정동유적-C구역-"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2015

      18 "울산 송정동유적-B구역-" 경상북도문화재연구원 2015

      19 황대일, "울산 송정동유적 조선시대 취락의 구성과 성격 검토" 대구사학회 125 : 61-90, 2016

      20 黃大一, "울산 부평역촌 일원 건물지 배치양상과 변천 연구" 울산발전연구원 부설 울산학연구센터 10 : 2015

      21 황대일, "영남지역 고려 수혈건물지의 구조변천과 성격 연구" 대구사학회 124 : 113-146, 2016

      22 "수정국역화성성역의궤" 경기문화재단 2001

      23 손진태, "손진태선생전집 2" 태학사 1981

      24 김성태, "사료를 통한 조선시대 수혈수혈주거지의 검토" 서울경기고고학회 3 (3): 2004

      25 정홍선, "대전지역 조선시대 수혈수혈주거지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26 이호철, "농업경제사연구" 경북대 출판부 1992

      27 이창업, "그리움이 묻어나는 울산의 옛길" 울산발전연구원 부설 울산학연구센터 2009

      28 趙炳魯, "韓國近世 驛制史 硏究" 國學資料院 2005

      29 "蔚山藥泗洞平山遺蹟Ⅱ" 蔚山文化財硏究院 2013

      30 "蔚山藥泗洞平山遺蹟Ⅰ" 蔚山文化財硏究院 2013

      31 "蔚山盤淵里가막못遺蹟" 蔚山文化財硏究院 2010

      32 "蔚山校洞里水南遺蹟" 蔚山文化財硏究院 2007

      33 "蔚山 松亭洞 複合遺蹟Ⅴ-D-1~3地區" 東亞細亞文化財硏究阮 2015

      34 "蔚山 松亭洞 複合遺蹟Ⅱ-B-1地區" 東亞細亞文化財硏究阮 2015

      35 "蔚山 松亭洞 複合遺蹟Ⅰ-A-1地區" 東亞細亞文化財硏究阮 2015

      36 "蔚山 孝門洞 竹田谷遺蹟·蔚山 孝門洞遺蹟" 蔚山文化財硏究院 2004

      37 "蔚山 孝門洞 山68-1遺蹟Ⅰ·Ⅱ" 大東文化財硏究院 2011

      38 吳洪皙, "聚落地理學-農漁村의 地域性格과 再編成" 敎學硏究社 1994

      39 "機張 下長安遺蹟" 부산박물관 2013

      40 趙炳魯, "朝鮮時代 驛制 硏究" 東國大學校 大學院 1991

      41 "尙州 武陽洞 152遺蹟" 大東文化財硏究院 2011

      42 황대일, "15~17세기 강원지역 취락 구성과 유형 연구" 한국역사민속학회 (48) : 192-224,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5 0.54 1.276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