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범계열과 비사범계열 대학생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 차이 = Difference Between Learning Experience and Learning Outcome Recogni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a Capstone Design Class of Education and Non-education Major Fiel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8843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캡스톤 디자인은 미래 사회에서 산업계가 요구하는 융·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적합한 교육이다. 이에 따라 공학뿐만 아니라 인문, 사회, 자연, 예술 및 사범계열 분야에까지 확장되어 ...

      캡스톤 디자인은 미래 사회에서 산업계가 요구하는 융·복합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적합한 교육이다. 이에 따라 공학뿐만 아니라 인문, 사회, 자연, 예술 및 사범계열 분야에까지 확장되어 운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범계열과 비사범계열로 구분하여 전공과목으로 운영된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캡스톤 디자인 수업을 수강한 대학생 258명을 대상으로 학습경험과 학습성과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사범계열과 비사범계열에서의 학습경험 및 학습성과 인식에서 차이가 있음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사범계열에서의 캡스톤 디자인 수업 개선과 방향성에 있어 중등교육뿐만 아니라 평생교육 현장과의 긴밀한 연계성을 가지고 사범계열에서의 전문성 실현을 위해 체계적인 캡스톤 디자인 수업 운영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apstone design class is suitable for cultivating convergent talented people required by an industrial world in the future society. As a result, it has expanded to include not only engineering but also humanities, social studies, nature, arts, and edu...

      Capstone design class is suitable for cultivating convergent talented people required by an industrial world in the future society. As a result, it has expanded to include not only engineering but also humanities, social studies, nature, arts, and education major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learning experience and learning outcome recognition about a capstone design class by separating students who majored in education from ones who majored in non-education. For this purpose, 258 university students who took a capstone design class were surveyed about learning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learning outcomes. From this research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learning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learning outcomes in the education major and non-education major field.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ystematic capstone design class should be operated in order to realize professionalism closely related with the lifelong education field as well as the secondary education in improvement and direction of capstone design in the education major fiel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향숙, "현장 적용 사례를 통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이해"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2 유정아,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51-72, 2011

      3 정명화, "프로젝트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적 사고, 창의적 성향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287-301, 2004

      4 Schwab, K.,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 현재 2016

      5 김상균,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의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3452-3457, 2011

      6 이희원,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기반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3 (13): 143-151, 2010

      7 김정엽,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한 학습성과 평가" 52 (52): 35-39, 2012

      8 한순희, "캡스톤 디자인 교육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ISO10015을 기초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133-141, 2016

      9 윤석범, "창의적 캡스톤 디자인 교육 방법 개발" 한국융합학회 5 (5): 15-20, 2014

      10 박선형, "창의적 교수법의 사범대 교과 적용 사례와 효과 분석: 교육행정학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103-136, 2016

      1 조향숙, "현장 적용 사례를 통한 융합인재교육(STEAM)의 이해"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과학창의재단 2012

      2 유정아, "학습자의 학습양식에 따른 선호 교수유형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8 (28): 51-72, 2011

      3 정명화, "프로젝트 수업이 대학생의 창의적 사고, 창의적 성향 및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 18 (18): 287-301, 2004

      4 Schwab, K., "클라우스 슈밥의 제4차 산업혁명" 새로운 현재 2016

      5 김상균, "캡스톤디자인 교과목의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3452-3457, 2011

      6 이희원,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기반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 연구" 한국공학교육학회 13 (13): 143-151, 2010

      7 김정엽, "캡스톤 디자인을 활용한 학습성과 평가" 52 (52): 35-39, 2012

      8 한순희, "캡스톤 디자인 교육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ISO10015을 기초로"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133-141, 2016

      9 윤석범, "창의적 캡스톤 디자인 교육 방법 개발" 한국융합학회 5 (5): 15-20, 2014

      10 박선형, "창의적 교수법의 사범대 교과 적용 사례와 효과 분석: 교육행정학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4 (34): 103-136, 2016

      11 임정하, "창의ㆍ인성교육 강좌가 사범대학생들의 창의성과 인성에 미치는 영향" 교육문제연구소 29 (29): 43-68, 2016

      12 박문수, "지난 10년간의 산학협력정책 추진성과와 현 정부의 추진방향 검토" 65-91, 2013

      13 오은주, "중소기업에서 요구되는 직업역량과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2 (12): 517-531, 2012

      14 김근곤, "전공 간 협력 프로젝트 학습이 대학생의 의사소통, 문제해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 14 (14): 252-261, 2008

      15 조치영, "일본어학부 캡스톤 디자인(IT융합) 교과 운영사례에 관한 연구" 2015 (2015): 66-69, 2015

      16 백윤수,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149-171, 2011

      17 박인아, "수학교육과의 관점에서 바라본 사범대학 위기론에 대한 고찰"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8 교육부, "세계와 함께 진로교육의 미래를 논하다"

      19 김희선, "성인교육이론에 있어 경험과 학습의 의미" 교육문제연구소 (22) : 71-94, 2005

      20 오창헌, "산학관을 연계한 장기현장실습 대학교육모델" 3 (3): 128-135, 2011

      21 교육부,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 육성사업 기본계획: 사회맞춤형 학과 중점형" 교육부 대학지원관 2017

      22 김병찬, "사범대생들의 사범대학 진학동기와 적응과정 연구"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57-83, 2003

      23 박진경, "사범계 대학생의 진로정체감 유형 및 영향요인 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24 김철주, "사범계 교육학과의 진로 문제와 진로별 교과교육과정" 한국진로교육학회 30 (30): 89-111, 2017

      25 태진미, "비공학계열 대학생을 위한 캡스톤 디자인 수업에 대한 인식 및 요구"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1 (11): 109-130, 2017

      26 노영희, "문헌정보학 캡스톤디자인 교육과정 운영과 학습만족도 측정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 46 (46): 89-118, 2015

      27 윤명한, "디자인분야의 캡스톤디자인 적용사례 및 성과 고찰" 한국콘텐츠학회 12 (12): 111-118, 2012

      28 박완성, "대학에서 교수-학습의 문제점 진단과 개선점" 2014

      29 배상훈, "대학생의 학습투자시간 및 교수와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개인 변인 및 대학 변인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3 (13): 163-187, 2012

      30 권대봉, "대학생들의 교육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탐색적 논의" 한국교육학회 40 (40): 191-202, 2002

      31 김정연, "대학생 창의융합역량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7

      32 김정연, "대학생 창의융합역량 5C 모형 검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7 (7): 89-97, 2017

      33 김정수, "대학교육의 실용성 및 융합성 제고를 위한 연구" 교육부 2010

      34 최정윤, "대학교육역량 강화를 위한 국제동향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1

      35 대한상공회의소, "대졸 근로자의 대학교육 만족도 조사" 대한상공회의소 2006

      36 전국경제인연합회, "기업이 바라는 대학 교과과정 조사결과 및 이의 활용방안" 전국경제인연합회 2003

      37 김갑성, "교원양성 교육과정 실태분석: 경험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9

      38 현은령, "공학계열 교직전공 예비교사의 STEAM교육 이해도 및 인식현황" 한국공학교육학회 20 (20): 3-8, 2017

      39 교육부, "고등교육 종합발전 방안" 교육부 대학지원실 2013

      40 Day, R.,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otivation and self-efficacy with protégé career success" 64 : 72-91, 2004

      41 Roorda, D. I., "The influence of affective teacher-student relationships on students’ school engagement and achievement a meta-analytic approach" 81 (81): 493-529, 2011

      42 Moursund, D., "Project-based learning: Using information technology"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Publications 2003

      43 London, M., "London’s career motivation theory : An update on measurement and research" 5 (5): 61-80, 1997

      44 Merriam, S. B., "Learning in Adulthood: A comprehensive" Jossey-Bass 2007

      45 Bowen, H. R., "Investment in Learning" Transaction Publishers 1996

      46 Ryan, R. M.,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25 : 54-67, 2000

      47 Lisko, S. A.,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 Experiential learning theory and nursing education" 31 (31): 106-108, 2010

      48 Desimone, L. M., "Improving impact studies of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 Toward better conceptualizations and measures" 38 (38): 181-199, 2009

      49 Pascarella, E. T., "How college affects students: A third decade of research. Vol. 2" Jossey-Bass 2005

      50 Robbins, S. B., "Do psycho-social and study skill factors predict college outcomes? A meta analysis" 13 (13): 261-288, 2004

      51 Ewell, P., "Applying learning outcomes concepts to higher education. An overview" University Grants Committee 2005

      52 한동숭, "4차 산업 혁명 시대, 대학 교육과 콘텐츠" 인문콘텐츠학회 (42) : 9-24, 2016

      53 교육부, "2018년 업무계획: 교육이 희망이 되는 사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9 1.09 1.0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3 0.99 1.559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