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崔述의 『論語餘說』 硏究 = A Study on 『Noneoyeosul』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oi Sul (1740~1816) stands at the apex of Qing bibliographical study by writing various Gosinrok books based on empirical and scientific bibliographical study throughout his life. His books representative of his lifetime works are Susagosinrok and Susagosinyeorok, which demonstrate the achievements of Confucius and his pupils, and Maengjasasilrok, which demonstrates the achievements of Mencius and his pupils.
      His book Noneoyeosul discussed i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Analects of Confucius with historical evidence. What is interesting is that it is not included in his Gosinrok books, being separate from them. It seems that Choi must have felt a need to demonstrate Analects of Confucius separately and systematically even after investigating the achievements of Confucius and Mencius and their disciples in his Susagosinrok, Susagosinyeorok, and Maengjasasilrok with historical evidence. He added the term 'yeosul' to the title of the book because he left out the overlapping parts with his earlier demonstrations and investigated the remaining with historical evidence.
      Noneoyeosul was his symbolic book to sum all of his academic achievements up after a lifetime commitment to the demonstration of Analects of Confucius under the banner of "demonstrating falsehood and clarifying truth" at a time when illegitimate schools disturbed the scriptures and heretical doctrines wrongfully accused the sages. The lineage continued from Susagosinrok and Susagosinyeorok, which investigated the achievements of Confucius and his pupils, to Maengjasasilrok, which investigated the achievements of Mencius and his pupils with Noneoyeosul as the finale. With the book, Choi's writing of Confucius-Mencius relations came to the end of a chapter.
      The investigator sorted out the organization and demonstration items of Noneoyeosul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its historical investigation according to "1) rejection of empty Gyeokmulgungri and pursuit of Pyeongshil, 2) criticism and acceptance of Noneojipju, 3) rejection of popular interpretations by Gangjanggas, and 4) analysis of the reliability of Pyeonjang in Analects of Confucius Hu 5." The results show that Choi reflected and demonstrated the strict and empirical characteristics of "his bibliographical study" in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process of Noneoyeosul.
      번역하기

      Choi Sul (1740~1816) stands at the apex of Qing bibliographical study by writing various Gosinrok books based on empirical and scientific bibliographical study throughout his life. His books representative of his lifetime works are Susagosinrok and ...

      Choi Sul (1740~1816) stands at the apex of Qing bibliographical study by writing various Gosinrok books based on empirical and scientific bibliographical study throughout his life. His books representative of his lifetime works are Susagosinrok and Susagosinyeorok, which demonstrate the achievements of Confucius and his pupils, and Maengjasasilrok, which demonstrates the achievements of Mencius and his pupils.
      His book Noneoyeosul discussed in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Analects of Confucius with historical evidence. What is interesting is that it is not included in his Gosinrok books, being separate from them. It seems that Choi must have felt a need to demonstrate Analects of Confucius separately and systematically even after investigating the achievements of Confucius and Mencius and their disciples in his Susagosinrok, Susagosinyeorok, and Maengjasasilrok with historical evidence. He added the term 'yeosul' to the title of the book because he left out the overlapping parts with his earlier demonstrations and investigated the remaining with historical evidence.
      Noneoyeosul was his symbolic book to sum all of his academic achievements up after a lifetime commitment to the demonstration of Analects of Confucius under the banner of "demonstrating falsehood and clarifying truth" at a time when illegitimate schools disturbed the scriptures and heretical doctrines wrongfully accused the sages. The lineage continued from Susagosinrok and Susagosinyeorok, which investigated the achievements of Confucius and his pupils, to Maengjasasilrok, which investigated the achievements of Mencius and his pupils with Noneoyeosul as the finale. With the book, Choi's writing of Confucius-Mencius relations came to the end of a chapter.
      The investigator sorted out the organization and demonstration items of Noneoyeosul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its historical investigation according to "1) rejection of empty Gyeokmulgungri and pursuit of Pyeongshil, 2) criticism and acceptance of Noneojipju, 3) rejection of popular interpretations by Gangjanggas, and 4) analysis of the reliability of Pyeonjang in Analects of Confucius Hu 5." The results show that Choi reflected and demonstrated the strict and empirical characteristics of "his bibliographical study" in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process of Noneoyeosu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술(1740~1816)은 평생에 걸쳐 실증적이고 과학적인 고증학을 바탕으로 考信錄 諸書를 저술하여 청대 고증학의 정점에 서있는 인물이다. 이 중에서 공자와 공자제자의 행적을 변증한 『洙泗考信錄『과 『洙泗考信餘錄』, 맹자와 맹자제자의 행적을 변증한 『孟子事實錄』등이 그의 대표적인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 다루는 『논어여설』은 『논어』에 대한 고증을 체계적으로 시도한 저술이다. 그러나 특이하게도 『논어여설』은 고신록 제서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이들과 분리되어 따로 수록되어 있다. 최술은 『수사고신록』과 『수사고신여록』이나 『맹자사실록』 등에서 孔孟과 門徒들의 행적을 고증하고 나서도, 『논어』에 대하여서는 따로 분리해서 체계적으로 변증해야할 필요를 느꼈던 것 같다. 다만 앞서 행한 논증과 중복되는 논증을 피하고 남은 것들만을 고증했기 때문에, ‘餘說’이라고 제목을 부친 것이다.
      『논어여설』은 僞學들이 경전을 어지럽히고 邪說들이 성현을 무고하는 현실 속에서, ‘辨僞考信’을 기치로 평생 동안 『논어』의 고증에 몰두해왔던 최술이 자신의 학문적 성과를 마무리하는 상징적인 저술이다. 공자와 공자제자들의 사적을 고증한 『수사고신록』과 『수사고신여록』은, 맹자와 제자들의 행적을 고증한 『맹자사실록』으로 그 계보가 이어졌고, 마침내 『논어여설』에 이르러 그 대미를 장식했다고 할 수 있다. 최술의 孔孟관계 저술은 이것으로 일단락되었다.
      필자는 『논어여설』의 구성과 변증항목을 정리하고, 『논어여설』 고증의 특징을, ‘1) 공허한 格物窮理의 배격과 平實의 추구, 2) 『논어집주』에 대한 비판과 수용, 3) 講章家들의 통속적 해석 배척, 4) 『논어』 後5편 篇章의 신뢰도 분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최술은 『논어여설』의 고증과정에서 엄정하고 실증적인 ‘최술 고증학’의 특징을 그대로 반영하여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최술(1740~1816)은 평생에 걸쳐 실증적이고 과학적인 고증학을 바탕으로 考信錄 諸書를 저술하여 청대 고증학의 정점에 서있는 인물이다. 이 중에서 공자와 공자제자의 행적을 변증한 『洙泗...

      최술(1740~1816)은 평생에 걸쳐 실증적이고 과학적인 고증학을 바탕으로 考信錄 諸書를 저술하여 청대 고증학의 정점에 서있는 인물이다. 이 중에서 공자와 공자제자의 행적을 변증한 『洙泗考信錄『과 『洙泗考信餘錄』, 맹자와 맹자제자의 행적을 변증한 『孟子事實錄』등이 그의 대표적인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 다루는 『논어여설』은 『논어』에 대한 고증을 체계적으로 시도한 저술이다. 그러나 특이하게도 『논어여설』은 고신록 제서에 포함되어 있지 않고, 이들과 분리되어 따로 수록되어 있다. 최술은 『수사고신록』과 『수사고신여록』이나 『맹자사실록』 등에서 孔孟과 門徒들의 행적을 고증하고 나서도, 『논어』에 대하여서는 따로 분리해서 체계적으로 변증해야할 필요를 느꼈던 것 같다. 다만 앞서 행한 논증과 중복되는 논증을 피하고 남은 것들만을 고증했기 때문에, ‘餘說’이라고 제목을 부친 것이다.
      『논어여설』은 僞學들이 경전을 어지럽히고 邪說들이 성현을 무고하는 현실 속에서, ‘辨僞考信’을 기치로 평생 동안 『논어』의 고증에 몰두해왔던 최술이 자신의 학문적 성과를 마무리하는 상징적인 저술이다. 공자와 공자제자들의 사적을 고증한 『수사고신록』과 『수사고신여록』은, 맹자와 제자들의 행적을 고증한 『맹자사실록』으로 그 계보가 이어졌고, 마침내 『논어여설』에 이르러 그 대미를 장식했다고 할 수 있다. 최술의 孔孟관계 저술은 이것으로 일단락되었다.
      필자는 『논어여설』의 구성과 변증항목을 정리하고, 『논어여설』 고증의 특징을, ‘1) 공허한 格物窮理의 배격과 平實의 추구, 2) 『논어집주』에 대한 비판과 수용, 3) 講章家들의 통속적 해석 배척, 4) 『논어』 後5편 篇章의 신뢰도 분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최술은 『논어여설』의 고증과정에서 엄정하고 실증적인 ‘최술 고증학’의 특징을 그대로 반영하여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준원, "茶山의 經學 著述에 受容된 崔述의 考證學" 한국한문교육학회 28 (28): 329-361, 2007

      2 李在夏, "洙泗考信錄에 대한 錢穆의 認識" 대한중국학회 22 : 2004

      3 박준원, "崔述의 洙泗考信錄과 洙泗考信餘錄에 나타난 朱子學의 受容 樣相" 한국한문교육학회 26 (26): 639-669, 2006

      4 박준원, "崔述의 洙泗考信錄과 洙泗考信餘錄에 나타난 朱子學의 受容 樣相" 한국한문교육학회 26 (26): 639-669, 2006

      5 朴晙遠, "崔述의 洙泗考信錄 硏究 -변증체계를 중심으로" 대한중국학회 22 : 2004

      6 오창화, "崔述의 文化談論的 考證事例考 --《考信錄》 諸書에 나타난 樂論을 中心으로" 대한중국학회 (30) : 259-287, 2008

      7 박준원, "崔述의 『孟子事實錄』 硏究" 동방한문학회 45 (45): 91-116, 2010

      8 崔述, "崔東壁遺書" 上海古籍出版社 1983

      9 신재식, "峿堂 李象秀 학문의 考證學과 그 성격" 동양한문학회 34 (34): 231-260, 2012

      10 박준원, "『洙泗考信錄』의 『史記』 비판 -공자의 事蹟을 중심으로-" 한국한문교육학회 33 (33): 535-561, 2009

      1 박준원, "茶山의 經學 著述에 受容된 崔述의 考證學" 한국한문교육학회 28 (28): 329-361, 2007

      2 李在夏, "洙泗考信錄에 대한 錢穆의 認識" 대한중국학회 22 : 2004

      3 박준원, "崔述의 洙泗考信錄과 洙泗考信餘錄에 나타난 朱子學의 受容 樣相" 한국한문교육학회 26 (26): 639-669, 2006

      4 박준원, "崔述의 洙泗考信錄과 洙泗考信餘錄에 나타난 朱子學의 受容 樣相" 한국한문교육학회 26 (26): 639-669, 2006

      5 朴晙遠, "崔述의 洙泗考信錄 硏究 -변증체계를 중심으로" 대한중국학회 22 : 2004

      6 오창화, "崔述의 文化談論的 考證事例考 --《考信錄》 諸書에 나타난 樂論을 中心으로" 대한중국학회 (30) : 259-287, 2008

      7 박준원, "崔述의 『孟子事實錄』 硏究" 동방한문학회 45 (45): 91-116, 2010

      8 崔述, "崔東壁遺書" 上海古籍出版社 1983

      9 신재식, "峿堂 李象秀 학문의 考證學과 그 성격" 동양한문학회 34 (34): 231-260, 2012

      10 박준원, "『洙泗考信錄』의 『史記』 비판 -공자의 事蹟을 중심으로-" 한국한문교육학회 33 (33): 535-561,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6 0.36 0.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7 0.36 0.746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