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천안함 사건의 행위자-네트워크와 분단체제의 불안정성 = The Actor-Network of ROK Ship Cheonan Accident and the Unstability of the Division System in the Korean Peninsul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8074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천안함 피격의 행위자-네트워크``가 형성되는 과정을 기술하고, 천안함 사건에서 드러난 분단체제의 세 가지 속성(불안정성, 행위자-네트워크의 행위자-네트워크, 수행성)을 제시...

      이 글은 ``천안함 피격의 행위자-네트워크``가 형성되는 과정을 기술하고, 천안함 사건에서 드러난 분단체제의 세 가지 속성(불안정성, 행위자-네트워크의 행위자-네트워크, 수행성)을 제시하였다. 천안함 침몰이 발생한 뒤, 한국정부는 ``북한 어뢰에 의한 천안함 격침``이라는 조사결과를 발표하고, ``천안함 피격의 행위자-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해 국내 및 국제 사회에 문제제기를 하였다. 한국 정부는 사건 직후 내부의 혼란 때문에 조사와 문제제기를 순조롭게 추진하지 못하였다. 또한 한국 정부의 문제제기는 정부의 조사 결과에 의문을 제기하는 전문가들과 정부 조사단 사이의 과학논쟁을 거치면서 애초에 의도한 행위자-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성공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연평도 포격 사건 이후 한반도 정세가 더욱 악화되면서, ``천안함피격의 행위자-네트워크``는 안정화되기 시작한다. 이러한 실패와 안정화의 과정은 행위자-네트워크로 이해된 분단체제가 본질적으로 불안정할 수밖에 없으며 또한 이러한 불안정성이 분단체제 행위자-네트워크 자체의 중첩성과 수행성을 통해 통제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describes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actor-network of the attack against ROK ship Cheonan`` and presents three characteristics (unstability, an actor-network of actor-networks, performativity) of the division system in the Korean Penins...

      This paper describes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actor-network of the attack against ROK ship Cheonan`` and presents three characteristics (unstability, an actor-network of actor-networks, performativity) of the division system in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Cheonan accident (March 26, 2010),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investigation result that the ROK ship Cheonan had been sunk due to a torpedo launched by a North Korean midget submarine, and proposed a problematization which calls North Korea to assume the responsibility of the attack. In the beginning, the Korean government was in a state of disorder and had a great difficulty in organizing a reliable investigation process and proposing a pertinent problematization. Besides, the investigation results and problematization of the Korean government encountered a lot of scientific criticism and political resistance from the inside and outside of South Korea. The construction of ``the actor-network of the attack against ROK ship Cheonan`` inte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was failed. But, an artillery bombardment to the Yeonpyeong island by North Korea (November 23, 2010) and the following military tension in the Korean Peninsula gave an opportunity that ``the actor-network of the attack against ROK ship Cheonan`` was beginning to stabilize. This process of failure and stabilization shows that the division system in the Korean peninsula interpreted as an actor-network is substantially unstable and this unstability of the division system is being controlled by the performativity of the actor-network of the division system itself.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덕용, "흔들릴 수 없는, 그리고 새로운 증거로 본 천안함 사건의 원인 규명-전천안함 민군합동조사단 단장 윤덕용 교수 인터뷰" (봄) : 2011

      2 백낙청, "흔들리는 분단체제" 창작과 비평사 1998

      3 김환석, "행위자-연결망 이론에서 보는 과학기술과 민주주의" 한국사회과학연구회 (83) : 11-46, 2011

      4 홍민, "행위자-연결망 이론과 분단 연구: 분단 번역의 정치와 ‘일상으로의 전환’" 한국사회과학연구회 (83) : 47-78, 2011

      5 브루노 라투르,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에 관하여-약간의 해명, 그리고 문제를 더 복잡하게 만들기, In 인간·사물·동맹-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 이음 2010

      6 백낙청, "한반도식 통일, 현재진행형" 창비 2006

      7 박순성, "한반도 분단현실에 대한 두 개의 접근: 분단체제론과 분단/탈분단의 행위자-네트워크이론" 비판사회학회 (94) : 13-38, 2012

      8 배일섭, "한국 대학생의 신뢰 성향에 관한 연구 : 천안함 폭침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3 (23): 95-119, 2011

      9 "프레시안"

      10 강태호, "천안함을 묻는다 : 의문과 쟁점" 창비 2010

      1 윤덕용, "흔들릴 수 없는, 그리고 새로운 증거로 본 천안함 사건의 원인 규명-전천안함 민군합동조사단 단장 윤덕용 교수 인터뷰" (봄) : 2011

      2 백낙청, "흔들리는 분단체제" 창작과 비평사 1998

      3 김환석, "행위자-연결망 이론에서 보는 과학기술과 민주주의" 한국사회과학연구회 (83) : 11-46, 2011

      4 홍민, "행위자-연결망 이론과 분단 연구: 분단 번역의 정치와 ‘일상으로의 전환’" 한국사회과학연구회 (83) : 47-78, 2011

      5 브루노 라투르, "행위자네트워크 이론에 관하여-약간의 해명, 그리고 문제를 더 복잡하게 만들기, In 인간·사물·동맹-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 이음 2010

      6 백낙청, "한반도식 통일, 현재진행형" 창비 2006

      7 박순성, "한반도 분단현실에 대한 두 개의 접근: 분단체제론과 분단/탈분단의 행위자-네트워크이론" 비판사회학회 (94) : 13-38, 2012

      8 배일섭, "한국 대학생의 신뢰 성향에 관한 연구 : 천안함 폭침 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3 (23): 95-119, 2011

      9 "프레시안"

      10 강태호, "천안함을 묻는다 : 의문과 쟁점" 창비 2010

      11 서재정, "천안함사건이 보여준 한국 민주주의의 현재와 미래" (157) : 2012

      12 정현곤, "천안함사건의 흐름과 반전, In 천안함을 묻는다: 의문과 쟁점" 창비 2010

      13 송태호, "천안함, 과학인가 정치인가?" (겨울) : 2010

      14 대한민국 국방부, "천안함 피격사건 합동조사결과 보고서" 2010

      15 대한민국 정부, "천안함 피격사건 백서" 대한민국 정부 2011

      16 한국리서치, "천안함 피격 1주기 여론조사"

      17 이정훈, "천안함 정치학" 글마당 2012

      18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천안함 이슈리포트 4. 연어급 잠수정 과연 실재하는가"

      19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천안함 이슈리포트 3. 천안함 관련 국방부 24대 말 바꾸기"

      20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천안함 이슈리포트 2. 천안함 침몰 조사과정의 6가지 문제점"

      21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천안함 이슈리포트 1. 천안함 조사결과 발표로 해명되지않는 6가지 의문점"

      22 서보혁, "천안함 외교의 침몰" 풀빛 2011

      23 송태은, "천안함 사건의 망제정치: 진실게임, 신뢰게임, 집합게임, In 거미줄 치기와 벌집 짓기-네트워크 이론으로 보는 세계정치의 변환" 한울 2011

      24 홍익표, "천안함 사건 이후 북한의 대응과 전략적 선택, In 천안함 외교의 침몰" 풀빛 2011

      25 참여연대 평화군축센터, "참여연대 이슈리포트 IR-20100601 천안함 침몰에 관한 참여연대 입장"

      26 "참여연대"

      27 "중앙일보"

      28 "조선일보"

      29 "조갑제닷컴"

      30 한국기자협회, "전국언론노동조합 천안함 조사결과 언론보도 검증위원회, 천안함 종합 보고서-더 이상 ‘버블제트’는 없다" 2010

      31 브루노 라투르, "인간·사물·동맹-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 이음 2010

      32 이희영, "아날로그의 반란과 분단의 번역자들: 남한 드라마 시청의 행위자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비판사회학회 (94) : 39-79, 2012

      33 김환석, "브뤼노 라투르의 과학인문학 편지: 인간과 자연, 과학과 정치에 관한 가장 도발적인 생각" 사월의책 2012

      34 김보근, "봉인된 천안함의 진실" 한겨레출판 2010

      35 미셸 칼롱, "번역의 사회학의 몇 가지 요소들-가리비와 생브리외 만의 어부들 길들이기, In 인간·사물·동맹-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 이음 2010

      36 김종대, "무너진 국방개혁이 초래한 이상한 패배, In 천안함을 묻는다:의문과 쟁점" 창비 2010

      37 김환석, "두 문화’와 ANT의 관계적 존재론, In 인간·사물·동맹-행위자네트워크 이론과 테크노사이언스" 이음 2010

      38 "뉴스와이어"

      39 "뉴데일리"

      40 "노컷뉴스"

      41 김종욱, "냉전의 ‘이종적 연결망’으로서 ‘평화의 댐’ 사건: 행위자-연결망 이론을 통한 경험적 추적" 한국사회과학연구회 (83) : 79-112, 2011

      42 이승헌, "과학의 양심, 천안함을 추적하다 : 물리학자 이승헌의 사건 리포트" 창비 2010

      43 "경향신문"

      44 김병선, "간첩사건의 행위자 네트워크: 북한과의 접촉 사건에 대한 스토리텔링의 패턴과 그 변화" 비판사회학회 (94) : 80-117, 2012

      45 "YTN"

      46 People’s Solidarity for Participatory Democracy, Center for Peace and Disarmament, "The PSPD’s Stance on the Naval Vessel Cheonan Sinking"

      47 "KBS"

      48 Lakatos, Imre, "Falsification and the Methodology of Scientific Research Programmes, In Criticism and the Growth of Knowle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9

      49 Law, John, "Enacting the Social"

      50 박명규, "2012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2

      51 박명규, "2011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1

      52 박명규, "2010 통일의식조사"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2010

      53 신상철, ""천안함은 좌초입니다"" 책으로 보는 세상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2 1.32 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2 1.1 1.848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