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제유가가 한국 농식품 교역에 미치는 영향 분석 = The Impact of International Oil Prices on South Korea's Agricultural and Food Trad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3734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제유가가 한국 농식품 교역에 미치는 영향을 중력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1998년부터2021년까지 한국과 교역한 205개 국가를 바탕으로 농식품과 제조업 교역액을 비교하고, 농식품을 농업과식품으로, 농업을 과일과 곡물로 세분화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제유가와 거리의 상호작용은 농식품교역액에는 양(+)의 영향, 제조업 교역액에는 음(-)의 영향을 미쳤다. 농업 교역은 유가 변동에 시간이지남에 따라 반응하지만, 식품 교역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응하지 않았다. 과일과 곡물 교역은 유가변동에 영향을 받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도 변화가 일어난다. 본 연구는 한국 농식품 수출 전략 수립에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PPML 분석으로 제로무역흐름을 처리하여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제유가가 한국 농식품 교역에 미치는 영향을 중력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1998년부터2021년까지 한국과 교역한 205개 국가를 바탕으로 농식품과 제조업 교역액을 비교하고, 농식품...

      본 연구는 국제유가가 한국 농식품 교역에 미치는 영향을 중력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1998년부터2021년까지 한국과 교역한 205개 국가를 바탕으로 농식품과 제조업 교역액을 비교하고, 농식품을 농업과식품으로, 농업을 과일과 곡물로 세분화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제유가와 거리의 상호작용은 농식품교역액에는 양(+)의 영향, 제조업 교역액에는 음(-)의 영향을 미쳤다. 농업 교역은 유가 변동에 시간이지남에 따라 반응하지만, 식품 교역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응하지 않았다. 과일과 곡물 교역은 유가변동에 영향을 받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도 변화가 일어난다. 본 연구는 한국 농식품 수출 전략 수립에중요한 자료를 제공하며, PPML 분석으로 제로무역흐름을 처리하여 정확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international oil prices on South Korea's agri-food trade using a gravity model, analyzing data from 205 countries trading with South Korea between 1998 and 2021. Agri-food trade was segmented into agriculture and food, with agriculture further divided into fruits and grains.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oil prices and distance positively affected agri-food trade but negatively impacted manufactured goods trade. While agricultural trade responded to oil price changes over time, food trade did not.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for South Korea’s agri-food export strategies, utilizing PPML analysis for accuracy by handling zero trade flows.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international oil prices on South Korea's agri-food trade using a gravity model, analyzing data from 205 countries trading with South Korea between 1998 and 2021. Agri-food trade was segmented into agriculture and foo...

      This study examined the impact of international oil prices on South Korea's agri-food trade using a gravity model, analyzing data from 205 countries trading with South Korea between 1998 and 2021. Agri-food trade was segmented into agriculture and food, with agriculture further divided into fruits and grains.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oil prices and distance positively affected agri-food trade but negatively impacted manufactured goods trade. While agricultural trade responded to oil price changes over time, food trade did not. This study offers valuable insights for South Korea’s agri-food export strategies, utilizing PPML analysis for accuracy by handling zero trade flow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