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무용수업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의 관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676205

      • 저자
      • 발행사항

        경산 : 대구가톨릭대학교, 201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692.8 판사항(5)

      • DDC

        796.01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경상북도

      • 형태사항

        v, 44장 : 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장 37-39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대구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무용수업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효과적인 무용 수업을 위해 제거해야할 수업 스트레스요인들을 밝히는데 기초자...

      이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무용수업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효과적인 무용 수업을 위해 제거해야할 수업 스트레스요인들을 밝히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나아가 교육현장에서의 효율적인 무용 수업을 위해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예술 고등학교 무용전공 학생 255명을 집락임의표집(cluster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표집하였으며 자료분석방법은 스트레스의 하위요인과 자기효능감 특성을 밝히기 위해 전 문항에 대해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성별에 따른 스트레스,자기효능감 평균차를 검정하기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다. 학년별, 전공별, 무용경력별, 연습빈도(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법(one-way ANOVA)를 적용하고 유의차가 나타내는 항목에 대해서는 사후검정 (post-hoc)을 scheffe법을 적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무용수업 스트레스 분석결과 성별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무용수업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은 스트레스 하위요인 중 동료와의 관계에서 학년이 낮을수록 스트레스가 높게 나타났다. 전공별은 무용수업 스트레스의 모든 요인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경력별에 따른 무용수업 스트레스의 차이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무용수업 스트레스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무용전공 경력이 짧을수록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습빈도(주)별은 교수와의 관계, 지도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주간 연습빈도가 적을수록 교수와의 관계, 지도법에 대한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전공 고등학생들의 무용수업 자기효능감 분석 결과 성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차이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활동시작과 활동지속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년별, 전공별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경력은 무용경력이 많으면 많을수록 활동시작, 활동지속, 활동수행, 경험극복에 대한 효능감이 높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간 연습빈도은 빈도가 높을수록 활동시작, 활동지속, 활동수행에 대한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전공 고등학생의 무용수업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는 전반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self-efficacy of high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rough stress reduction. Also it aimed to offer the basic information to uncover stress factors for the effective dance classes. Furthermore, 225 of art hi...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self-efficacy of high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through stress reduction. Also it aimed to offer the basic information to uncover stress factors for the effective dance classes. Furthermore, 225 of art high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were sampled by the cluster random sampling to probe the correlation between stress and self-efficacy for efficient dance classes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study analyzed the collected data by calculating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for every questionnaire to identify the sub-factors of stress and characteristics of self-efficacy. Also it conducted t-test for different averages of stress and self-efficacy of different gender. The one-way ANOVA was used to investigate different grades, majors, dance experiences, and frequency of practice(per week). It applied Scheffe’s post-hoc to represent the significant differenc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ly for the class stress analysis,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level of stress than males. Lower graders tended to have more stress in peer relationship, one of the stress factors, than higher graders. In addition, there was no difference in different majors. All sub-factors of str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y dance experiences and shorter experiences seemed to cause higher stress. The frequency of practice(per week) showed significant relevance with relationships with professors and methods of guidance so lower frequency showed higher stress in relationships with professors and methods of guidance.
      Secondly for the analysis of self-efficacy in class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beginning and ongoing activities by different gender so girls showed higher self-efficacy than boys. There was no difference by grades and majors. Higher self-efficacy of beginning, ongoing, performing activities and overcoming experiences was showed when students have more dance experiences. In addition, self-efficacy of beginning, ongoing, and performing activities was showed as for the practice frequency results.
      Third, this study obtained a result that there is an overall correlation between class stress and self-efficacy of highschool students majoring in danc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Ⅰ.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3
      • 3. 연구 문제 4
      • 4. 연구의 제한점 4
      • Ⅱ . 이론적 배경 5
      • 1. 무용교육 5
      • 1)무용교육의 개념 5
      • 2)무용교육의 특성 5
      • 3)무용교육의 가치와 필요성 6
      • 2. 무용과 스트레스 7
      • 1)스트레스 개념 및 정의 7
      • 2)무용수업 스트레스 7
      • 3. 일반적 자기효능감 8
      • 1)자기효능감의 개념 8
      • 2)일반적 자기효능감의 특성 9
      • 4. 무용수업 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9
      • Ⅲ. 연구의 방법 10
      • 1. 연구의 대상 11
      • 2. 연구도구 11
      • 3. 연구절차 13
      • 4. 자료처리 13
      • Ⅳ. 결 과 14
      • Ⅴ. 논의 30
      • Ⅵ. 결론 및 제언 35
      • 참고문헌 37
      • 부록 4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