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포용적 리더십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직원몰입의 매개효과와 조직공정성의 조절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4289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포용적 리더십과 친사회적 행동간의 영향관계와 직원몰입의 매개효과,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

      이 연구는 포용적 리더십과 친사회적 행동간의 영향관계와 직원몰입의 매개효과, 조직공정성의 조절효과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포용적 리더십은 친사회적 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포용적 리더십은 직원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포용적 리더십은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직원몰입을 매개효과로 가지는가? 포용적 리더십과 친사회적 행동 간에 조직공정성은 조절역할을 하는가?
      연구문제 검증을 위한 표본은 국내 기업에서 재직중인 직장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2년 4월16일부터 5월12일까지 약 4주간 온라인 및 모바일 설문방식을 통해 수집하였다. 설문조사는 266명이 응답했고, 불성실한 응답없이 266명의 모든 데이터를 통계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과정을 거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포용적 리더십은 친사회적 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포용적 리더십은 직원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포용적 리더십은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직원몰입을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포용적 리더십과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정(+)의 영향을 조직공정성이 강화조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리더가 포용적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구성원이 포용성을 가지고 근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둘째, 리더와 구성원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긍정적 관계를 형성해 직원몰입을 이끌어내야 하며 포용적 자세는 기업과 사회 그리고 개인 모두에게 필요한 덕목이자 경쟁력이라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셋째, 상사의 포용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몰입을 향상시키고, 포용적인 행동에 기여하는 바, 조직의 성과 확대로 이어질 것으로 예측되므로 불확실한 시대에 지속가능한 경영을 위한 필수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조직공정성 수준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는 구성원들은 친사회적 행동으로서 직무 수행 외 이타적인 행동을 강화시킬 수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조직의 리더는 구성원의 관계형성에 주목하고 리더의 포용적 행동과 조직공정성의 공정함을 강화시키는 요인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prosocial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 engag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fairnes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prosocial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employee engagemen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fairnes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does inclusive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Second, does inclusive leadership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Third, does inclusive leadership have a mediating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in influencing pro-social behavior? Does organizational fairness play a moderating role between inclusive leadership and pro-social behavior?
      Samples for verifying research problems were targeted at office workers in domestic companies, and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and mobile questionnaires for about 4 weeks from April 16 to May 12, 2022. The survey was answered by 266 people, and all data from 266 people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without sincere response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at went through the analysis proces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inclusive leadership had a positive (+) effect on prosocial behavior. Second, it was found that inclusive leadership had a positive (+) effect on employee engagement. Third, inclusive leadership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employee engagement in influencing pro-social behavior. Fourth, it was found that organizational fairness strengthened and controlled the positive (+) effect on inclusive leadership and prosocial behavior.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irst, it is required to support leaders to demonstrate inclusive leadership and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members can work with inclus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form a positive relationship through continuous communication between leaders and members to induce employee engagement, and it is possible to derive implications that inclusive attitude is a necessary virtue and competitiveness for companies, society, and individuals. Third, it was confirmed that the boss' inclusive leadership is an essential element for sustainable management in an uncertain era because it is expected to improve members' engagement and contribute to inclusive behavior, leading to the expansion of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urth, it can be predicted that members who perceive the level of organizational fairness at a high level can strengthen altruistic behavior other than job performance as pro-social behavior. Therefore, organizational leaders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formation of relationships among members and focus on factors that strengthen leaders' inclusive behavior and fairness in organizational fairnes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A. 연구 필요성 1
      • B. 연구 문제 6
      • C. 용어의 정의 7
      • Ⅱ. 이론적 배경 9
      • Ⅰ. 서 론 1
      • A. 연구 필요성 1
      • B. 연구 문제 6
      • C. 용어의 정의 7
      • Ⅱ. 이론적 배경 9
      • A. 포용적 리더십 9
      • B. 친사회적 행동 13
      • C. 직원몰입 16
      • D. 조직공정성 20
      • E. 연구변인들 간의 관계 24
      • Ⅲ. 연구 방법 30
      • A. 연구 모형 및 가설 30
      • B. 연구 대상 31
      • C. 측정도구 34
      • D.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평가 36
      • E. 자료 분석 방법 39
      • Ⅳ. 연구 결과 41
      • A. 연구 변인의 기술통계 분석결과 41
      • B. 변인 간 영향관계 42
      • C. 연구 변인 간 경로분석 결과 45
      • Ⅴ. 결론 48
      • A. 요약 48
      • B. 논의 및 결론 49
      • C. 제언 53
      • 참고문헌 55
      • 부 록 76
      • 국문초록 82
      • ABSTRACT 8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