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親環境性 評價를 이용한 共同住宅의 環境改善에 관한 硏究 = A Study on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Apartment Housing with the Green Building Performance Criteri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460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has analysed the levels of the existing apartment housing according to the green building performance criteria and identified the elements which can be factored for the enhancement of the green building performances. Followingly, the study has made a few suggestions in order to promote the apartment housing policies, which are supposedly to result in the long term adoption of the apartment housing in the future. In the upshot, the study concludes as follows. Firstly, The level of the green building performance of the existing apartment is relatively low. Secondly, the fixed elements of the existing apartment housing are meeting the green building performance criteria to the higher degree, while the variable elements, to the lower degree. Therefore, it is construed that any effort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the existing apartment housing in the future is prone to secure the higher degree of the green building performance. Thirdly, The study has listed the priority of the green building performance elements. Fourthly, The study has raised a need to modify and renovate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program.
      번역하기

      The study has analysed the levels of the existing apartment housing according to the green building performance criteria and identified the elements which can be factored for the enhancement of the green building performances. Followingly, the study h...

      The study has analysed the levels of the existing apartment housing according to the green building performance criteria and identified the elements which can be factored for the enhancement of the green building performances. Followingly, the study has made a few suggestions in order to promote the apartment housing policies, which are supposedly to result in the long term adoption of the apartment housing in the future. In the upshot, the study concludes as follows. Firstly, The level of the green building performance of the existing apartment is relatively low. Secondly, the fixed elements of the existing apartment housing are meeting the green building performance criteria to the higher degree, while the variable elements, to the lower degree. Therefore, it is construed that any effort to improve the environmental quality of the existing apartment housing in the future is prone to secure the higher degree of the green building performance. Thirdly, The study has listed the priority of the green building performance elements. Fourthly, The study has raised a need to modify and renovate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program.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유선, "환경친화형 주거단지 계획에 관한 전문가 의식조사" 대한건축학회 18 (18): 45-52, 2002

      2 이경아, "친환경 인증 제도를 이용한 브랜드 아파트의 차별화 계획요소 분석" 2005

      3 신영숙, "친환경 아파트 단지 거주자들의 친환경 계획요소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135-145, 2006

      4 이정남,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단지의 거주자 만족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85-91, 2006

      5 건설교통부,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세부 시행 지침"

      6 이은영, "공동주택의 환경친화적 리모델링에 대한 거주자 의식조사" 대한건축학회 22 (22): 31-38, 2006

      7 송민정, "공동주택 리모델링 추진과정에 대한 사례조사 및 거주자 의식조사" 대한건축학회 22 (22): 33-44, 2006

      1 정유선, "환경친화형 주거단지 계획에 관한 전문가 의식조사" 대한건축학회 18 (18): 45-52, 2002

      2 이경아, "친환경 인증 제도를 이용한 브랜드 아파트의 차별화 계획요소 분석" 2005

      3 신영숙, "친환경 아파트 단지 거주자들의 친환경 계획요소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135-145, 2006

      4 이정남, "친환경 공동주택 인증단지의 거주자 만족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2 (22): 85-91, 2006

      5 건설교통부,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 세부 시행 지침"

      6 이은영, "공동주택의 환경친화적 리모델링에 대한 거주자 의식조사" 대한건축학회 22 (22): 31-38, 2006

      7 송민정, "공동주택 리모델링 추진과정에 대한 사례조사 및 거주자 의식조사" 대한건축학회 22 (22): 33-44,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Construction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구조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8 0.38 0.3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4 0.74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