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현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인 「2019 개정 누리과정」이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강조한다는 점과 현대 사회 유아들이 미디어 환경에서 성장한다는 데 주안점을 두고, 만들어가는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951456
2023
Korean
070
학술저널
121-126(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인 「2019 개정 누리과정」이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강조한다는 점과 현대 사회 유아들이 미디어 환경에서 성장한다는 데 주안점을 두고, 만들어가는 ...
본 연구는 현 국가수준 유아교육과정인 「2019 개정 누리과정」이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을 강조한다는 점과 현대 사회 유아들이 미디어 환경에서 성장한다는 데 주안점을 두고, 만들어가는 교육과정과 미디어와의 만남은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총 4명의 유아교사와 2명의 학부모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면담과 사진, 영상 및 기록 자료를 중점 자료수집방법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안에서 유아들이 필요로 하는 유튜브 동영상은 교실 내에서 또 다른 보조교사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었고, 유아와 함께 하는 인터넷 쇼핑은 유아의 놀이를 지지한다는 의미를 암묵적으로 전달하고 있었다. 둘째, ‘유아-부모-교사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안에서 유아-가정에 안내된 환경교육 유튜브 영상은 학부모가 환경교육에 관심을 가지고 가정에서도 실천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다. 또한 유아의 한글 활동 영상은 유아에게는 비디오 재방문 효과가 있었으며 학급 교육과정에 관한 부모의 만족도를 높이는 데 기여한 것으로 의미가 드러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미디어가 만들어가는 교육과정에 유의미하게 기능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미디어를 접목시킬 수 있는 교사의 섬세한 노력이 필요함을 논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교육 실행에 나타난 유치원 교사의 국가수준 교육과정 해석 - 놀이시간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아동권리존중실행의 관계에서 행복감의 매개효과
스마트교육(SMART Education) 기반 영아교사교육에 관한 문헌고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