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영아교사교육에서 나타나는 스마트교육(SMART Education)의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논문 18편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스마트교육 특성을 토대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951452
2023
Korean
070
학술저널
188-195(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아교사교육에서 나타나는 스마트교육(SMART Education)의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논문 18편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스마트교육 특성을 토대로 ...
본 연구는 영아교사교육에서 나타나는 스마트교육(SMART Education)의 특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논문 18편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스마트교육 특성을 토대로 빈도분석 및 내용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 스마트교육의 다섯 가지 특성을 모두 구현하고 있는 연구물은 2편이며, 세 가지 특성을 구현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다. 또한, 스마트교육의 특성 중 자기주도적 학습 특성을 구현하는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소셜 러닝, 스마트 기기 및 기술, 맞춤형 학습, 열린 학습 환경의 특성 순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영아교사교육을 개발하고 실행하는 데 스마트교육의 여러 특성의 구현에 대한 함의를 제공하고자 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교육 실행에 나타난 유치원 교사의 국가수준 교육과정 해석 - 놀이시간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아동권리존중실행의 관계에서 행복감의 매개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