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인 이동권 보장과 헌법재판 = Guarantee of the Right to Move and Constitutional Court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149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task of the Constitution, which is to ensure equality in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the practical exercise of freedom and to realize freedom on this basis, is that the Constitution itself cannot realize normative power, and it is necessary to enact legislation specifying the way to realize this and continuous legislative improvement. Only through it does it have a constitutional meaning.
      Such is the issue of the right to mov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right to movement is the right for any citizen of the Republic of Korea to enjoy free and safe movement. Although movement itself has meaning, it is a precondition for realizing basic rights such as the realization of human dignity, the pursuit of individual happiness, the right to education and the right to work. It is a right of great significanc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ince the right to move is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conditions in which they can live like human beings, the state's obligation to protect basic rights, which was applied to persons without disabilities, cannot be applied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they are. In other words, the right to movement for non-disabled people can be realized only by the state's omission based on the general right to freedom of action derived from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Article 34 Based on the right to live a life worthy of human beings, the state is given specific and active duties to act, such as operating low-floor buses or special transportation or installing ramps and ramps for wheelchair access.
      Regarding the right to mobility of the disabled, the judgment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so far have only played a partial, ex post, and controlling role, that is, reviewing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actions of other state institutions. However, if a forward-looking judgment is made considering the structural differentiation and specificity of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mobility for the disabled, the judgme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now serves as a guideline and limit to the actions of other state institutions such as the legislative branch, making a substantial contribution to guaranteeing the right to mobility for the disabled. Will do.
      There is a saying, “If the disabled are comfortable, everyone is comfortable.” Social integration, which is a task of the Constitution, requires a policy based on universalism that includes the disabled, not just a policy for the disabled.
      번역하기

      The task of the Constitution, which is to ensure equality in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the practical exercise of freedom and to realize freedom on this basis, is that the Constitution itself cannot realize normative power, and it is necessary to en...

      The task of the Constitution, which is to ensure equality in the conditions necessary for the practical exercise of freedom and to realize freedom on this basis, is that the Constitution itself cannot realize normative power, and it is necessary to enact legislation specifying the way to realize this and continuous legislative improvement. Only through it does it have a constitutional meaning.
      Such is the issue of the right to mov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right to movement is the right for any citizen of the Republic of Korea to enjoy free and safe movement. Although movement itself has meaning, it is a precondition for realizing basic rights such as the realization of human dignity, the pursuit of individual happiness, the right to education and the right to work. It is a right of great significance.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since the right to move is closely related to the formation of conditions in which they can live like human beings, the state's obligation to protect basic rights, which was applied to persons without disabilities, cannot be applied to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they are. In other words, the right to movement for non-disabled people can be realized only by the state's omission based on the general right to freedom of action derived from Article 10 of the Constitution. Article 34 Based on the right to live a life worthy of human beings, the state is given specific and active duties to act, such as operating low-floor buses or special transportation or installing ramps and ramps for wheelchair access.
      Regarding the right to mobility of the disabled, the judgment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so far have only played a partial, ex post, and controlling role, that is, reviewing the constitutionality of the actions of other state institutions. However, if a forward-looking judgment is made considering the structural differentiation and specificity of the realization of the right to mobility for the disabled, the judgme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now serves as a guideline and limit to the actions of other state institutions such as the legislative branch, making a substantial contribution to guaranteeing the right to mobility for the disabled. Will do.
      There is a saying, “If the disabled are comfortable, everyone is comfortable.” Social integration, which is a task of the Constitution, requires a policy based on universalism that includes the disabled, not just a policy for the disabl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자유를 실질적으로 행사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을 평등하게 보장하고 이와 같은 기반 위에서 자유를 실현하고자 하는 헌법의 과제는 헌법 그 자체만으로는 규범력을 실현할 수 없으며, 이를 실현하는 방법을 구체화하는 입법과 지속적인 입법 개선을 통하여비로소 헌법적 의미를 갖게 된다.
      장애인 이동권(移動權)의 문제가 그러하다. 이동권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자유롭고 안전하게 이동을 누릴 수 있는 권리로, 이동 그 자체만으로도 의미를 갖지만, 인간의 존엄성 실현, 개인의 행복 추구, 교육권 및 근로의 권리 등의 기본권을 실현하기위한 전제조건이 된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를 갖는 권리이다.
      특히, 장애인의 경우 이동권은 그들이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는 조건의 형성과 밀접하게 연관되기 때문에, 비장애인에게 적용되던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를 그대로 장애인에게 적용할 수 없다. 다시 말해, 비장애인에게 이동권은 헌법 제10조에서 파생되는일반적 행동자유권을 근거로 국가의 부작위만 있으면 실현될 수 있지만, 장애인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헌법 제10조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 및 헌법 제34조 인간다운생활을 할 권리를 근거로 하여 저상버스나 특별교통수단을 운행하거나 휠체어가 다닐수 있는 진입로 및 경사로를 설치해야 하는 등 국가에게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작위의무를 부여한다.
      장애인의 이동권과 관련해서 지금까지의 헌법재판소 판단은 다른 국가기관의 행위의합헌성을 심사하는, 즉 부분적, 사후적, 통제적 역할만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장애인 이동권의 실현구조적 차별성과 특수성을 고려한 전향적(轉向的) 판단을 시작한다면, 이제헌법재판소의 판단은 입법부 등 다른 국가기관의 행위에 지침이자 한계로 작용하여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에 실질적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장애인이 편하면 모두가 편하다.’는 말이 있다. 헌법의 과제인 사회통합을 위해서는장애인만을 위한 정책이 아닌 장애인을 포함하는, 보편주의에 기반한 정책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자유를 실질적으로 행사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을 평등하게 보장하고 이와 같은 기반 위에서 자유를 실현하고자 하는 헌법의 과제는 헌법 그 자체만으로는 규범력을 실현할 수 없으며, 이...

      자유를 실질적으로 행사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건을 평등하게 보장하고 이와 같은 기반 위에서 자유를 실현하고자 하는 헌법의 과제는 헌법 그 자체만으로는 규범력을 실현할 수 없으며, 이를 실현하는 방법을 구체화하는 입법과 지속적인 입법 개선을 통하여비로소 헌법적 의미를 갖게 된다.
      장애인 이동권(移動權)의 문제가 그러하다. 이동권은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누구나 자유롭고 안전하게 이동을 누릴 수 있는 권리로, 이동 그 자체만으로도 의미를 갖지만, 인간의 존엄성 실현, 개인의 행복 추구, 교육권 및 근로의 권리 등의 기본권을 실현하기위한 전제조건이 된다는 점에서도 큰 의미를 갖는 권리이다.
      특히, 장애인의 경우 이동권은 그들이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는 조건의 형성과 밀접하게 연관되기 때문에, 비장애인에게 적용되던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를 그대로 장애인에게 적용할 수 없다. 다시 말해, 비장애인에게 이동권은 헌법 제10조에서 파생되는일반적 행동자유권을 근거로 국가의 부작위만 있으면 실현될 수 있지만, 장애인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헌법 제10조 국가의 기본권보호의무 및 헌법 제34조 인간다운생활을 할 권리를 근거로 하여 저상버스나 특별교통수단을 운행하거나 휠체어가 다닐수 있는 진입로 및 경사로를 설치해야 하는 등 국가에게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작위의무를 부여한다.
      장애인의 이동권과 관련해서 지금까지의 헌법재판소 판단은 다른 국가기관의 행위의합헌성을 심사하는, 즉 부분적, 사후적, 통제적 역할만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장애인 이동권의 실현구조적 차별성과 특수성을 고려한 전향적(轉向的) 판단을 시작한다면, 이제헌법재판소의 판단은 입법부 등 다른 국가기관의 행위에 지침이자 한계로 작용하여 장애인의 이동권 보장에 실질적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장애인이 편하면 모두가 편하다.’는 말이 있다. 헌법의 과제인 사회통합을 위해서는장애인만을 위한 정책이 아닌 장애인을 포함하는, 보편주의에 기반한 정책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준환, "헌법적 기본권으로서 이동권의 의미와 과제" (1371) : 2017

      2 전광석, "헌법의 규범력과 사회보장법" 9 : 2000

      3 이준일, "헌법과 사회복지법제" 세창출판사 2009

      4 전광석, "헌법과 국민통합" 한국법제연구원 (30) : 7-33, 2006

      5 전광석, "한국헌법론" 집현재 2023

      6 고춘완, "한국장애운동의 성격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 전개된 운동을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5

      7 전광석, "한국사회보장법론" 집현재 2019

      8 박현민, "한국사회 장애인 운동의 역사에 관한 고찰 : 주체 형성과 변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9 유동철, "한국 장애운동의 성과와 과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1) : 5-32, 2005

      10 심재진, "장애인차별금지법상 차별로 보지 않은 ‘정당한 사유’의 의미와 구제수단으로서의 적극적 조치" (57) : 2016

      1 박준환, "헌법적 기본권으로서 이동권의 의미와 과제" (1371) : 2017

      2 전광석, "헌법의 규범력과 사회보장법" 9 : 2000

      3 이준일, "헌법과 사회복지법제" 세창출판사 2009

      4 전광석, "헌법과 국민통합" 한국법제연구원 (30) : 7-33, 2006

      5 전광석, "한국헌법론" 집현재 2023

      6 고춘완, "한국장애운동의 성격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 전개된 운동을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5

      7 전광석, "한국사회보장법론" 집현재 2019

      8 박현민, "한국사회 장애인 운동의 역사에 관한 고찰 : 주체 형성과 변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9 유동철, "한국 장애운동의 성과와 과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1) : 5-32, 2005

      10 심재진, "장애인차별금지법상 차별로 보지 않은 ‘정당한 사유’의 의미와 구제수단으로서의 적극적 조치" (57) : 2016

      11 윤수정, "장애인정책의 헌법적 기초와 개선방향 : 복지와 평등의 이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12 윤수정, "장애인정책의 적극적 사법심사를 위한 심사방법의 모색" 한국공법학회 43 (43): 21-46, 2015

      13 오욱찬, "장애인의 이동권 현황 및 과제" 2020

      14 김원영, "장애인운동이 발명한 권리와 그에 대한 사법체계의 수용에 대한 연구" 2010

      15 문민기, "장애인들의 외침, “내가 여기 있다”" 2020

      16 차성안,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제정사" (2) : 2012

      17 양정빈 ; 최윤영, "장애인 이동권의 의미와 이동권 체계 향상을 위한 정책적 논의" 한국사례관리학회 13 (13): 219-239, 2022

      18 김명수 ; 정재황, "장애인 이동권에 관한 헌법적 고찰" 법학연구원 19 (19): 105-130, 2007

      19 오대영, "장애인 이동권과 차별구제-대법원 2021.4.1. 선고 2018다203418 판결을 중심으로" 10 (10): 2021

      20 이병원, "장애인 이동권! 밥은 있고 정책은 없다" (169) : 2012

      21 이동석,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17개 시도별 교통수단정책 분석 - “보편주의 하에서의 표적화”를 중심으로" 국회입법조사처 10 (10): 327-349, 2018

      22 김도현, "장애인 노동권․생활권 쟁취를 위한 장애인운동의 과제 : 장애인이동권투쟁에 대한 평가를 기반으로" (12) : 2002

      23 김인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조성을 위한 법률제정의 필요성" 2019

      24 이명웅, "자유와 평등의 관계-상호 조화의 관점-" 1 : 2003

      25 James W. Nickel, "인권의 좌표" 명인문화사 2010

      26 최성우, "인권의 관점에서 본 한국 장애인운동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1

      27 한수웅, "사회복지의 헌법적 기초로서 사회적 기본권 ― 사회적 기본권의 개념과 법적 성격을 중심으로 ―" 한국헌법학회 18 (18): 51-104, 2012

      28 윤수정, "사회보험과 사회적 취약계층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추상적 기회의 보장 및 구체적 보장의 가능성과 한계를 중심으로 –" 한국헌법학회 28 (28): 345-375, 2022

      29 한상희, "사회권과 사법심사 ― 여전히 “생성중인 권리” 의 복권을 위하여 ―" 한국공법학회 39 (39): 93-133, 2010

      30 김해원, "급부권적 기본권의 심사구조 - 국회입법부작위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공법학회 13 (13): 257-293, 2012

      31 전광석, "국가유공자에 대한 헌법적 보호의 가능성" 박영사 3 : 2001

      32 노호창, "교통약자의 이동권 및 교통편의 증진을 위한 법 개정에 관한 연구" 한국법학회 20 (20): 163-195, 2020

      33 홍현근, "교통약자 이동편의증진 정책현황" 250 : 2018

      34 윤수정,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상 법원의 권리구제수단에 대한 고찰 - 대법원 2021.4.1. 선고 2018다203418 판결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연세법학회 (38) : 103-130, 2021

      35 Ulrike Davy, "Schriftenreihe des Deutschen Sozialrechtsverbandes Bd.49: Die Behinderten in der sozialen Sicherung" 2002

      36 박종운, "NGO 장애인관련법 제․개정 운동-장애인차별금지법을 중심으로-" 2009

      37 H. Hannesen, "Menschenwurde und soziale Rechte von Menschen mit Geistigen Behinderung" 1992

      38 Otto Depenheuer, "Integration durch Verfassung? : zum Identitätskonzept des Verfassungspatriotismus" 48 : 1995

      39 Dworkin, "Affirmative Action : Is It Fair?" 28 : 2000

      40 Hans F. Zacher, "Abhandlungen zum Sozialrecht II" 2008

      41 국토교통부, "2021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연구" 국토교통부 2022

      4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