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박준환, "헌법적 기본권으로서 이동권의 의미와 과제" (1371) : 2017
2 전광석, "헌법의 규범력과 사회보장법" 9 : 2000
3 이준일, "헌법과 사회복지법제" 세창출판사 2009
4 전광석, "헌법과 국민통합" 한국법제연구원 (30) : 7-33, 2006
5 전광석, "한국헌법론" 집현재 2023
6 고춘완, "한국장애운동의 성격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 전개된 운동을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5
7 전광석, "한국사회보장법론" 집현재 2019
8 박현민, "한국사회 장애인 운동의 역사에 관한 고찰 : 주체 형성과 변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9 유동철, "한국 장애운동의 성과와 과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1) : 5-32, 2005
10 심재진, "장애인차별금지법상 차별로 보지 않은 ‘정당한 사유’의 의미와 구제수단으로서의 적극적 조치" (57) : 2016
1 박준환, "헌법적 기본권으로서 이동권의 의미와 과제" (1371) : 2017
2 전광석, "헌법의 규범력과 사회보장법" 9 : 2000
3 이준일, "헌법과 사회복지법제" 세창출판사 2009
4 전광석, "헌법과 국민통합" 한국법제연구원 (30) : 7-33, 2006
5 전광석, "한국헌법론" 집현재 2023
6 고춘완, "한국장애운동의 성격에 관한 연구 : 2000년 이후 전개된 운동을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5
7 전광석, "한국사회보장법론" 집현재 2019
8 박현민, "한국사회 장애인 운동의 역사에 관한 고찰 : 주체 형성과 변환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9 유동철, "한국 장애운동의 성과와 과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1) : 5-32, 2005
10 심재진, "장애인차별금지법상 차별로 보지 않은 ‘정당한 사유’의 의미와 구제수단으로서의 적극적 조치" (57) : 2016
11 윤수정, "장애인정책의 헌법적 기초와 개선방향 : 복지와 평등의 이념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12 윤수정, "장애인정책의 적극적 사법심사를 위한 심사방법의 모색" 한국공법학회 43 (43): 21-46, 2015
13 오욱찬, "장애인의 이동권 현황 및 과제" 2020
14 김원영, "장애인운동이 발명한 권리와 그에 대한 사법체계의 수용에 대한 연구" 2010
15 문민기, "장애인들의 외침, “내가 여기 있다”" 2020
16 차성안, "장애인․노인․임산부 등의 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제정사" (2) : 2012
17 양정빈 ; 최윤영, "장애인 이동권의 의미와 이동권 체계 향상을 위한 정책적 논의" 한국사례관리학회 13 (13): 219-239, 2022
18 김명수 ; 정재황, "장애인 이동권에 관한 헌법적 고찰" 법학연구원 19 (19): 105-130, 2007
19 오대영, "장애인 이동권과 차별구제-대법원 2021.4.1. 선고 2018다203418 판결을 중심으로" 10 (10): 2021
20 이병원, "장애인 이동권! 밥은 있고 정책은 없다" (169) : 2012
21 이동석, "장애인 이동권 보장을 위한 17개 시도별 교통수단정책 분석 - “보편주의 하에서의 표적화”를 중심으로" 국회입법조사처 10 (10): 327-349, 2018
22 김도현, "장애인 노동권․생활권 쟁취를 위한 장애인운동의 과제 : 장애인이동권투쟁에 대한 평가를 기반으로" (12) : 2002
23 김인순, "장애물 없는 생활환경(BF) 조성을 위한 법률제정의 필요성" 2019
24 이명웅, "자유와 평등의 관계-상호 조화의 관점-" 1 : 2003
25 James W. Nickel, "인권의 좌표" 명인문화사 2010
26 최성우, "인권의 관점에서 본 한국 장애인운동 연구"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1
27 한수웅, "사회복지의 헌법적 기초로서 사회적 기본권 ― 사회적 기본권의 개념과 법적 성격을 중심으로 ―" 한국헌법학회 18 (18): 51-104, 2012
28 윤수정, "사회보험과 사회적 취약계층에 관한 헌법적 고찰 – 추상적 기회의 보장 및 구체적 보장의 가능성과 한계를 중심으로 –" 한국헌법학회 28 (28): 345-375, 2022
29 한상희, "사회권과 사법심사 ― 여전히 “생성중인 권리” 의 복권을 위하여 ―" 한국공법학회 39 (39): 93-133, 2010
30 김해원, "급부권적 기본권의 심사구조 - 국회입법부작위를 중심으로 -" 한국비교공법학회 13 (13): 257-293, 2012
31 전광석, "국가유공자에 대한 헌법적 보호의 가능성" 박영사 3 : 2001
32 노호창, "교통약자의 이동권 및 교통편의 증진을 위한 법 개정에 관한 연구" 한국법학회 20 (20): 163-195, 2020
33 홍현근, "교통약자 이동편의증진 정책현황" 250 : 2018
34 윤수정, "「장애인 차별금지 및 권리구제 등에 관한 법률」상 법원의 권리구제수단에 대한 고찰 - 대법원 2021.4.1. 선고 2018다203418 판결에 대한 검토를 중심으로 -" 연세법학회 (38) : 103-130, 2021
35 Ulrike Davy, "Schriftenreihe des Deutschen Sozialrechtsverbandes Bd.49: Die Behinderten in der sozialen Sicherung" 2002
36 박종운, "NGO 장애인관련법 제․개정 운동-장애인차별금지법을 중심으로-" 2009
37 H. Hannesen, "Menschenwurde und soziale Rechte von Menschen mit Geistigen Behinderung" 1992
38 Otto Depenheuer, "Integration durch Verfassung? : zum Identitätskonzept des Verfassungspatriotismus" 48 : 1995
39 Dworkin, "Affirmative Action : Is It Fair?" 28 : 2000
40 Hans F. Zacher, "Abhandlungen zum Sozialrecht II" 2008
41 국토교통부, "2021년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연구" 국토교통부 2022
4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년도 장애인 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