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체적 조절 호형 방사선치료(VMAT)를 이용한 식도암 치료계획 평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077974

      • 저자
      • 발행사항

        나주 :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 방사선학과 , 2024. 8

      • 발행연도

        2024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발행국(도시)

        전라남도

      • 형태사항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송종남

      • UCI식별코드

        I804:46001-200000797583

      • 소장기관
        • 동신대학교 학술문화정보원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체적 조절 호형 방사선치료(VMAT)를 이용한 식도암 치료계획 평가
      정 원 영
      동신대학교 대학원 방사선학과
      (지도교수 송종남)
      식도암 방사선치료에서 폐렴과 같은 방사선치료 부작용을 줄이고 정상조직 보호를 위하여 Full Arc와 Partial Arc를 이용한 동일면 체적 조절 호형 방사선치료 (Coplanar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와 비동일면 체적 조절 호형 방사선 치료(Non-Coplanar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치료계획의 종양과 주위 정상조직의 선량 차이를 평가하였다. 2021년 3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식도암 동시 항암 화학 방사선요법(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을 받은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선형가속기 VitalBeam을 사용하여 2 Full Arc를 이용한 fVMAT, 4 Partial Arc를 사용한 pVMAT, 그리고 2 Patial Arc와 2 Non-Coplanar Arc를 조합한 ncVMAT 세 가지 치료계획의 치료계획용적(Planning Target Volume, PTV)과 폐, 심장, 척수 그리고 Total MU (Monitor Unit)를 평가하였다. 모든 치료계획에서 PTV에 대한 조건을 만족하며 균일한 분포를 보였다. 심장의 평균선량은 fVMAT, pVMAT, ncVMAT 각각 5.80 Gy, 6.97 Gy, 7.60 Gy였고 척수의 최대선량은 36.85 Gy, 42.51 Gy, 43.08 Gy로 fVMAT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01). 이는 fVMAT가 pVMAT와 ncVMAT에 비해 척수와 심장을 보호하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으나 폐의 평균선량은 각각 9.01 Gy, 7.71 Gy, 7.12 Gy였으며 V5Gy는 52.22%, 38.61%, 36.35%이고 V10Gy는 37.80%, 27.33%, 24.15%로 fVMAT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01). pVMAT와 ncVMAT는 fVMAT에 비해 폐의 선량 분포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특히 ncVMAT는 폐의 평균선량과 V5Gy, V10Gy, V20Gy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이며 폐의 선량 분포를 최소화하여 식도암 방사선치료에서 폐를 보호하는 데 큰 임상적 이점을 가졌다. 그러나 Non-Coplanar Beam은 치료 테이블(Couch) 회전으로 인한 환자 셋업 정확성과 치료 시간 증가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각 치료계획의 장단점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환자의 개별 상황과 치료기기, 치료실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맞는 치료계획을 사용함으로써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체적 조절 호형 방사선치료(VMAT)를 이용한 식도암 치료계획 평가 정 원 영 동신대학교 대학원 방사선학과 (지도교수 송종남) 식도암 방사선치료에서 폐렴과 같은 방사선치료 부작용을 줄이...

      체적 조절 호형 방사선치료(VMAT)를 이용한 식도암 치료계획 평가
      정 원 영
      동신대학교 대학원 방사선학과
      (지도교수 송종남)
      식도암 방사선치료에서 폐렴과 같은 방사선치료 부작용을 줄이고 정상조직 보호를 위하여 Full Arc와 Partial Arc를 이용한 동일면 체적 조절 호형 방사선치료 (Coplanar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와 비동일면 체적 조절 호형 방사선 치료(Non-Coplanar volumetric modulated arc therapy) 치료계획의 종양과 주위 정상조직의 선량 차이를 평가하였다. 2021년 3월부터 2023년 10월까지 식도암 동시 항암 화학 방사선요법(Concurrent Chemoradiotherapy, CCRT)을 받은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선형가속기 VitalBeam을 사용하여 2 Full Arc를 이용한 fVMAT, 4 Partial Arc를 사용한 pVMAT, 그리고 2 Patial Arc와 2 Non-Coplanar Arc를 조합한 ncVMAT 세 가지 치료계획의 치료계획용적(Planning Target Volume, PTV)과 폐, 심장, 척수 그리고 Total MU (Monitor Unit)를 평가하였다. 모든 치료계획에서 PTV에 대한 조건을 만족하며 균일한 분포를 보였다. 심장의 평균선량은 fVMAT, pVMAT, ncVMAT 각각 5.80 Gy, 6.97 Gy, 7.60 Gy였고 척수의 최대선량은 36.85 Gy, 42.51 Gy, 43.08 Gy로 fVMAT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01). 이는 fVMAT가 pVMAT와 ncVMAT에 비해 척수와 심장을 보호하는 데 효과적임을 보여주었으나 폐의 평균선량은 각각 9.01 Gy, 7.71 Gy, 7.12 Gy였으며 V5Gy는 52.22%, 38.61%, 36.35%이고 V10Gy는 37.80%, 27.33%, 24.15%로 fVMAT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했다(p<0.001). pVMAT와 ncVMAT는 fVMAT에 비해 폐의 선량 분포를 감소시킬 수 있었다. 특히 ncVMAT는 폐의 평균선량과 V5Gy, V10Gy, V20Gy에서 가장 낮은 값을 보이며 폐의 선량 분포를 최소화하여 식도암 방사선치료에서 폐를 보호하는 데 큰 임상적 이점을 가졌다. 그러나 Non-Coplanar Beam은 치료 테이블(Couch) 회전으로 인한 환자 셋업 정확성과 치료 시간 증가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각 치료계획의 장단점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환자의 개별 상황과 치료기기, 치료실 등을 고려하여 상황에 맞는 치료계획을 사용함으로써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ⅴ
      • Ⅰ. 서론 1
      • Ⅱ. 이론적 배경3
      • 1. 방사선치료 발전3
      • 2. 방사선치료 기법4
      • 초록 ⅴ
      • Ⅰ. 서론 1
      • Ⅱ. 이론적 배경3
      • 1. 방사선치료 발전3
      • 2. 방사선치료 기법4
      • 1) 3차원 입체 조형 방사선치료(3D CRT)4
      • 2) 세기 변조 방사선치료(IMRT) 5
      • 3) 체적 조절 호형 방사선치료(VMAT) 5
      • 3. 식도암 방사선치료 7
      • Ⅲ. 연구 대상 및 방법 11
      • 1. 연구 대상 11
      • 2. 연구 방법 12
      • 1) 연구 장비 12
      • 2) 치료계획 13
      • 3) 평가 방법 19
      • 4) 통계분석 20
      • Ⅳ. 결과21
      • 1. 치료계획용적(PTV) 평가21
      • 2. 손상위험장기(OAR), MU(Monitor unit) 평가 23
      • 1) 폐(Lung) 평가23
      • 2) 심장(Heart) 평가 24
      • 3) 척수(Spinal Cord)와 MU 평가 26
      • Ⅴ. 고찰28
      • Ⅵ. 결론31
      • 참고문헌 32
      • ABSTRACT 36
      • 감사의 글3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