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음희성(大音希聲)’의 미학적 의미 재해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655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老子美學是中國古典美學的開端,是中國古代美學史上不可多得的寶貴文化遺産。老子美學中的“大音希聲”作爲一個哲學和美學的命題,有著大量深刻而豊富的內涵。衆多學者嘗試從哲學、美學或藝術的角度探究“大音希聲”的美學意義,但幷沒有眞正闡明“大音希聲”所闡述的現象與本質,內容與形式的深刻辯證關係。筆者認爲把握“大音希聲”的審美內涵及其美學意義必須要闡明老子的“道”,因此,本文從“道”的角度,根據“道”的“有無”、“虛實”、“無爲”的特徵,分析了老子的美學思想,幷從“大美統一”、“大美無形”、“大美自然”等三個方面重新關照了“大音希聲”的所指及其美學意義。
      번역하기

      老子美學是中國古典美學的開端,是中國古代美學史上不可多得的寶貴文化遺産。老子美學中的“大音希聲”作爲一個哲學和美學的命題,有著大量深刻而豊富的內涵。衆多學者嘗試從哲學...

      老子美學是中國古典美學的開端,是中國古代美學史上不可多得的寶貴文化遺産。老子美學中的“大音希聲”作爲一個哲學和美學的命題,有著大量深刻而豊富的內涵。衆多學者嘗試從哲學、美學或藝術的角度探究“大音希聲”的美學意義,但幷沒有眞正闡明“大音希聲”所闡述的現象與本質,內容與形式的深刻辯證關係。筆者認爲把握“大音希聲”的審美內涵及其美學意義必須要闡明老子的“道”,因此,本文從“道”的角度,根據“道”的“有無”、“虛實”、“無爲”的特徵,分析了老子的美學思想,幷從“大美統一”、“大美無形”、“大美自然”等三個方面重新關照了“大音希聲”的所指及其美學意義。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曺玟煥, "老莊의 美學思想에 관한 연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1

      2 이진오, "老子와 莊子의 문화이론과 미학사상" 대동철학회 (32) : 81-101, 2005

      3 강도연, "도덕경" 한솜미디어 2012

      4 조민환, "노자의 靜의 미학" (3) : 24-41, 1999

      5 정세근, "노자 도덕경" 문예출판사 2017

      6 朱良誌, "關於大巧若拙美學觀的若幹思考" 北京大學學報 (3) : 33-41, 2006

      7 湯張萍, "道德經" 中華書局 2017

      8 유병래, "道家 審美意識의 基底 이해에 관한 試論(1) - 『老子』를 중심으로" 동서사상연구소 (8) : 85-129, 2009

      9 张敏, "论老子自然观念的美学意蕴" 동양문화연구원 26 : 53-70, 2017

      10 姚丹, "論“大巧若拙”的美學內涵" (4) : 12-14, 2015

      1 曺玟煥, "老莊의 美學思想에 관한 연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1

      2 이진오, "老子와 莊子의 문화이론과 미학사상" 대동철학회 (32) : 81-101, 2005

      3 강도연, "도덕경" 한솜미디어 2012

      4 조민환, "노자의 靜의 미학" (3) : 24-41, 1999

      5 정세근, "노자 도덕경" 문예출판사 2017

      6 朱良誌, "關於大巧若拙美學觀的若幹思考" 北京大學學報 (3) : 33-41, 2006

      7 湯張萍, "道德經" 中華書局 2017

      8 유병래, "道家 審美意識의 基底 이해에 관한 試論(1) - 『老子』를 중심으로" 동서사상연구소 (8) : 85-129, 2009

      9 张敏, "论老子自然观念的美学意蕴" 동양문화연구원 26 : 53-70, 2017

      10 姚丹, "論“大巧若拙”的美學內涵" (4) : 12-14, 2015

      11 呂博, "試論“大音希聲”的美學思想與審美意義" (4) : 38-, 2012

      12 李林, "老子美學與黑格爾美學比較概要" 西北師大學報 (2) : 35-38, 1993

      13 潘業強, "老子美學與黑格爾美學比較探析" (2) : 93-96, 2015

      14 劉固盛, "老子美學思想研究略述" (3) : 22-24, 2000

      15 馬國柱, "老子美學思想研究概述" (5) : 24-28, 1998

      16 費念椿, "老子美學思想探析" (3) : 27-29, 1995

      17 王建, "老子哲學中的美學觀點初探" 河南大學學報 (3) : 64-66, 1987

      18 任強, "老子和老子美學思想研究三題" (5) : 69-72, 2006

      19 陳鼓應, "老子今註今譯" 商務印書館 2006

      20 畢東, "老子“道”、“氣”、“象”範疇及其對中國古代美學思想影響探究" 雲南大學 2011

      21 殷克勤, "老子“大音希聲”芻議" 交響 (4) : 25-26, 1996

      22 易菲, "老子“大巧若拙”的美學分析" (4) : 105-108, 2011

      23 胡健, "王弼“大音希聲”美學思想發微" (3) : 86-88, 1990

      24 方瑩, "從“大音希聲, 大象無形”看老子的美學觀" 劍南文學 (5) : 169-171, 2013

      25 楊舵, "大音希聲的啟示" (2) : 26-29, 1995

      26 박석, "大巧若拙의 미학적 의미" 7 : 727-747, 1998

      27 蔣孔陽, "先秦音樂美學思想論稿" 安徽教育出版社 1986

      28 徐復觀, "中國藝術精神" 風文藝出版社 1987

      29 孫燾, "中國美學通史(先秦卷)" 江蘇人民出版社 2014

      30 葉朗, "中國美學史大綱" 上海人民出版社 2017

      31 陳望衡, "中國美學史" 人民出版社 2005

      32 李澤厚, "中國美學史" 人民出版社 2005

      33 張法, "中國美學史" 上海人民出版社 2000

      34 박석, "“大巧若拙”의 심미관과 선종의 깨달음" 한국중국어문학회 66 : 245-267,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2-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 Literature -> The Journal of Chinese Language & Literature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2 0.72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