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학생의 방과 후 체육활동이 또래관계 및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intramural sports participation after school on peer relationship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175863

      • 저자
      • 발행사항

        익산 : 원광대학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2016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76.54692 판사항(6)

      • DDC

        796.0712 판사항(23)

      • 발행국(도시)

        전북특별자치도

      • 형태사항

        viii, 72장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김종식
        권말부록: 설문지
        참고문헌: 장 62-68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원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신체활동 기회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현 시점에서 중학생의 방과 후 체육활동이 또래관계와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하여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에 따라 중학생들의 또래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변화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재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단순무선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철저한 사전 교육을 실시한 5명의 연구보조자와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2016년 3월부터 4월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200부의 자료 중 신뢰성이 결여된 설문지(이중기입, 무기입, 부실자료, 편향적 기입 등) 4부를 분석대상에서 제외한 196부를 대상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사, t-test, F-검정,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의 차이에서는 하위요인 활동참여도, 활동관심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활동필요도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또래관계 차이에서는 하위요인 의사소통, 신뢰, 화 및 신뢰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생활만족의 차이는 하위요인 교사만족도, 교우만족도, 수업·일반 만족도 등 모든 요인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자 보다 학교생활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차이는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의 하위요인 활동필요도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활동 참여도와 활동관심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필요도 요인은 1학년보다 2학년과 3학년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또래관계의 차이는 하위요인 의사소통과 신뢰, 화 및 신뢰도 등 모든 요인에서 1학년보다 3학년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만족의 차이는 하위요인 교사만족도, 교우만족도, 수업·일반 만족도 등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기간에 따른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의 차이는 활동참여도, 활동관심도, 활동필요도 등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활동참여도는 1년 미만과 1-2년 미만보다 2-3년과 3년 이상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활동관심도와 활동필요도는 1년 미만보다 3년 이상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관계와 학교생활만족의 차이는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1회 참여 시간에 따른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의 차이는 활동참여도, 활동관심도, 활동필요성 등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활동참여도에서는 30분-1시간 미만보다 2시간 이상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활동 관심도에서는 30분-1시간 미만보다 1시간-2시간 미만과 2시간 이상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 필요도에서는 30분-1시간 미만보다 1시간-2시간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관계의 차이는 의사소통, 신뢰, 화 및 소외감 등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의사소통, 신뢰, 화 및 신뢰도 모두 30분-1시간 미만보다 1시간-2시간 미만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만족 차이는 교사만족도, 교우만족도, 수업·일반 만족도 등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교사만족도, 교우만족도, 수업·일반 만족도 등 모든 요인은 30분-1시간 미만보다 1시간-2시간 미만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의 하위요인 활동참여도와 활동필요도 요인이 또래관계의 하위요인 의사소통, 신뢰, 화 및 소외감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의 하위요인 활동참여도와 활동필요도가 학교생활만족 하위요인 교사만족도와 교우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생활 만족의 하위요인 수업·일반 만족도에는 활동필요도 요인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신체활동 기회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현 시점에서 중학생의 방과 후 체육활동이 또래관계와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하여 방과 후 체육...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신체활동 기회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현 시점에서 중학생의 방과 후 체육활동이 또래관계와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의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하여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에 따라 중학생들의 또래관계와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변화를 살펴보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전라북도에 소재하고 있는 중학교 재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단순무선표집 방법을 활용하여 철저한 사전 교육을 실시한 5명의 연구보조자와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2016년 3월부터 4월까지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체 200부의 자료 중 신뢰성이 결여된 설문지(이중기입, 무기입, 부실자료, 편향적 기입 등) 4부를 분석대상에서 제외한 196부를 대상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 검사, t-test, F-검정,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의 차이에서는 하위요인 활동참여도, 활동관심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활동필요도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또래관계 차이에서는 하위요인 의사소통, 신뢰, 화 및 신뢰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생활만족의 차이는 하위요인 교사만족도, 교우만족도, 수업·일반 만족도 등 모든 요인에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이 여자 보다 학교생활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년에 따른 차이는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의 하위요인 활동필요도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활동 참여도와 활동관심도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필요도 요인은 1학년보다 2학년과 3학년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또래관계의 차이는 하위요인 의사소통과 신뢰, 화 및 신뢰도 등 모든 요인에서 1학년보다 3학년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만족의 차이는 하위요인 교사만족도, 교우만족도, 수업·일반 만족도 등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참여기간에 따른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의 차이는 활동참여도, 활동관심도, 활동필요도 등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활동참여도는 1년 미만과 1-2년 미만보다 2-3년과 3년 이상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활동관심도와 활동필요도는 1년 미만보다 3년 이상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관계와 학교생활만족의 차이는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1회 참여 시간에 따른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의 차이는 활동참여도, 활동관심도, 활동필요성 등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활동참여도에서는 30분-1시간 미만보다 2시간 이상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활동 관심도에서는 30분-1시간 미만보다 1시간-2시간 미만과 2시간 이상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동 필요도에서는 30분-1시간 미만보다 1시간-2시간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관계의 차이는 의사소통, 신뢰, 화 및 소외감 등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의사소통, 신뢰, 화 및 신뢰도 모두 30분-1시간 미만보다 1시간-2시간 미만에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만족 차이는 교사만족도, 교우만족도, 수업·일반 만족도 등 모든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하위요인 교사만족도, 교우만족도, 수업·일반 만족도 등 모든 요인은 30분-1시간 미만보다 1시간-2시간 미만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의 하위요인 활동참여도와 활동필요도 요인이 또래관계의 하위요인 의사소통, 신뢰, 화 및 소외감 요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의 하위요인 활동참여도와 활동필요도가 학교생활만족 하위요인 교사만족도와 교우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교생활 만족의 하위요인 수업·일반 만족도에는 활동필요도 요인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y after school to peer relationship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e subjects were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nlabukdo and they were extracted by random sampling method with 5 assistants including researcher from March, 2016 to April, 2016. The amount of initial questionnaires were 200 and 196 were collected. Also, 4 questionnaires were excepted due to incomplete response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 T-test, F-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y after schoo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sex different, Satisfaction with shool life and the sub factors which are Teacher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friends, Satisfaction with class were different in sex difference.
      Second, in the effect of students wh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y after school, taking part in sports activity after school seemed different in grade difference.
      Third, in the effect of students who participate in sprots activity after school to participation in activity, interest in activity and necessary activity, and participation duration after school was dramatically impacted on participation in activity, interest in activity and necessary activity.
      Fourth, in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sprots activity after school to participation time, participation in activity, interest in activity and necessary activ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ifth, participation in activity, necessary activity which are sub factors of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y after school are impacted on communication, trust and sense of alienation.
      Lastly, sub factors of participation in activity after school which are participation in activity, necessary activit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re dramatically impacted on teacher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friend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y after school to peer relationship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e subjects were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nlabukdo and they we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 of middle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y after school to peer relationship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The subjects were middle school students in Jeonlabukdo and they were extracted by random sampling method with 5 assistants including researcher from March, 2016 to April, 2016. The amount of initial questionnaires were 200 and 196 were collected. Also, 4 questionnaires were excepted due to incomplete responses.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Test, T-test, F-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y after schoo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sex different, Satisfaction with shool life and the sub factors which are Teacher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friends, Satisfaction with class were different in sex difference.
      Second, in the effect of students wh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y after school, taking part in sports activity after school seemed different in grade difference.
      Third, in the effect of students who participate in sprots activity after school to participation in activity, interest in activity and necessary activity, and participation duration after school was dramatically impacted on participation in activity, interest in activity and necessary activity.
      Fourth, in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sprots activity after school to participation time, participation in activity, interest in activity and necessary activ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ifth, participation in activity, necessary activity which are sub factors of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y after school are impacted on communication, trust and sense of alienation.
      Lastly, sub factors of participation in activity after school which are participation in activity, necessary activity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are dramatically impacted on teacher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friend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4
      • 3. 연구가설 및 변인 4
      • 4. 용어의 정의 6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목적 4
      • 3. 연구가설 및 변인 4
      • 4. 용어의 정의 6
      • Ⅱ. 이론적 배경 7
      • 1.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성 7
      • 2. 방과 후 학교 10
      • 3. 방과 후 체육활동 12
      • 4. 또래관계 15
      • 5. 학교생활 만족도 19
      • Ⅲ. 연구방법 23
      • 1. 연구대상 23
      • 2. 측정도구 24
      • 3. 설문지의 구성 25
      • 4. 자료처리 25
      • 5. 측정척도의 평가 26
      • Ⅳ. 연구결과 30
      •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 차이 30
      • 2.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또래관계의 차이 34
      • 3.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만족의 차이 38
      • 4.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42
      • 5.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가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45
      • Ⅴ. 논 의 48
      •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의 차이 48
      • 2.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가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54
      • 3.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가 학교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 56
      • Ⅵ. 결론 및 제언 58
      • 1. 결론 58
      • 2. 제언 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