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종의 서구 근대 국제법적 대외관계 수용 과정 분석 = King Kojong’s Changing Perception of the Foreign World in the 187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245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isting research has elucidated that the changes in King Kojong ’s perception of the foreign world formed the background of the proclamation of the King’s direct rule and his open-door policy. Moreover, the research describes the King’s changin...

      Existing research has elucidated that the changes in King Kojong ’s perception of the foreign world formed the background of the proclamation of the King’s direct rule and his open-door policy.
      Moreover, the research describes the King’s changing perception as a unilinear change in which the King gave up the Sino-centric perception of the world and accepted the modern international laws of the West.
      However, over the course of 1870s, the King’s perception underwent a series of changes.
      Before the proclamation of his own direct rule, King Kojong learned a lot of information about the Sino-centric international situation, Qing Dynasty’s internal political situation, and the political movements of Japan and the West from his convoys in the Qing Dynasty. Though it is not easy to analyze the character of the King’s changing perception of the world specifically, if there were some changes, the King still would not ignore opinions from his court. The official foreign policy of the time was to keep the door closed against Japan and Western powers with the idea of Wijeongcheogsa (衛正斥邪, protecting the right, repelling evil).
      But King Kojong sufficiently used a subservient diplomatic policy on domestic issues. The King made use of the information acquired by this subservient diplomacy: the news that the Qing Emperor Tong zhi started direct governing was the basis of King Kojong’s proclamation of direct rule. Since the Emperor had significant authority, the news justified the King’s trial of direct rule. While Prince Daewon was being criticized for his oppressive politics, King Kojong tried to realize the moral excellence of Confucianism and to maintain the foreign policy of Wijeongcheogsa, which was respected even by Chinese people. So it is possible to say that the King still had the Sino-centric perception of the foreign world when he declared the beginning of direct rule.
      It was after the proclamation of King Kojong’s direct rule that the diplomatic policy against Japan changed. The king tried to secure his rule by removing Prince Daewon and his followers, who were in opposition to improving relations with Japan, relations which had been broken off because of a problem with a diplomatic document. Though King Kojong’s will to mend relations with Japan was weakened by Japan’s attempt to force the open-door policy, the King coped with Japan’s intimidation with an appeasement policy and he created the Kanghwa treaty with Japan. The fact that the King opened the door to Japan seems to signify that the Joseon Dynasty entered the order of modern international laws. Still, King Kojong’s perception of the foreign world was based on the Sino-centric idea and he was merely trying to mend relations with a neighboring country.
      It was after the Dumojin incident of 1878 and the succeeding negotiations with Japan that King Kojong actually comprehended the significance of foreign relations based on the modern international laws. The incident can be a good example which shows that Joseon was still responding to Japan with the old idea of a good-neighbor policy. The experience Kojong acquired from the incident and negotiations with Japan enabled him to understand the significance of a treaty, like the Kanghwa treaty, in the order of modern international laws. He realized that having a treaty with a foreign country means that any problems concerning the treaty should be solved by negotiations with the country.
      And, at the end of the 1870s, King Kojong felt the need to expand trade relations with foreign countr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구선희, "한국근대 대청정책사 연구" 혜안 1999

      2 안종철, "친정전후 고종의 대외관과 대일정책"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40 : 1998

      3 장순순, "초량왜관의 폐쇄와 일본 조계화 과정" 한국일본사상사학회 7 : 2004

      4 쟝팅푸, "청일한외교관계사" 민족문화사 1991

      5 권석봉, "청말 대조선정책사 연구" 일조각 1986

      6 신승하, "중국근대사" 대명출판사 1990

      7 부정애, "조선해관의 창설경위"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 : 1973

      8 김성혜, "재위전기(1864-1876) 고종의 강연과 그 실태" 한국사학회 (93) : 191-240, 2009

      9 박현모, "세도정치기(1800-1863) 조선의 대외정책 연구" 한국국제정치학회 44 (44): 7-26, 2004

      10 박한민, "두모진 수세사건의 배경과 조일교섭" 고려대학교 2009

      1 구선희, "한국근대 대청정책사 연구" 혜안 1999

      2 안종철, "친정전후 고종의 대외관과 대일정책"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40 : 1998

      3 장순순, "초량왜관의 폐쇄와 일본 조계화 과정" 한국일본사상사학회 7 : 2004

      4 쟝팅푸, "청일한외교관계사" 민족문화사 1991

      5 권석봉, "청말 대조선정책사 연구" 일조각 1986

      6 신승하, "중국근대사" 대명출판사 1990

      7 부정애, "조선해관의 창설경위"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1 : 1973

      8 김성혜, "재위전기(1864-1876) 고종의 강연과 그 실태" 한국사학회 (93) : 191-240, 2009

      9 박현모, "세도정치기(1800-1863) 조선의 대외정책 연구" 한국국제정치학회 44 (44): 7-26, 2004

      10 박한민, "두모진 수세사건의 배경과 조일교섭" 고려대학교 2009

      11 권혁수, "근대 한중관계사의 재조명" 혜안 2007

      12 김민규, "근대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변용과 조선-‘조규체제’의 성립과 와해 in 한국사의 국제환경과 민족문화" 경인문화사 2003

      13 은정태, "고종친정 이후 정치체제 개혁과 정치세력의 동향"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40 : 1998

      14 김세은, "고종초기(1864년~1873년)의 經筵" 진단학회 89 : 2000

      15 김병우, "고종의 친정체제 형성기 정치세력의 동향" 대구사학회 63 : 2001

      16 김형수, "고종의 친정과 개국정책연구-1873년~1876년" 이화여자대학교 사학회. 33 : 2001

      17 안외순, "고종의 초기(1864-1873) 대외인식 변화와 친정-遣淸回還使 召見을 중심으로" 한국정치학회 30-2, 1996

      18 장영숙, "고종의 정치사상과 정치개혁론" 도서출판 선인 2010

      19 장영숙, "고종의 정권운영과 閔氏戚族의 정치적 역할" 한국학중앙연구원 31 (31): 183-212, 2008

      20 장영숙, "고종의 대외인식전환 연구(1863~1881)" 상명사학회 5 : 1997

      21 강상규, "고종의 대외인식과 외교정책" 일조각 19 : 1996

      22 김성혜, "고종 친정초기 次對를 통해 본 국정운영(1874-1876)" 이화사학연구소 (38) : 35-66, 2009

      23 한철호, "고종 친정 초(1874) 암행어사 파견과 그 활동-지방관 징치를 중심으로" 단국사학회 31 : 1998

      24 김성혜, "고종 친정 직후 정치적 기반 형성과 그 특징(1874~1876)" 한국근현대사학회 (52) : 7-48, 2010

      25 김성혜, "고종 재위 전기 강관의 구성(1864-1876)" 규장각한국학연구원 (46) : 53-83, 2009

      26 최병옥, "개화기의 군사정책연구" 경인문화사 2000

      27 김경태, "개항직후의 관세권 회복문제-「부산해관 수세사건」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8 : 1972

      28 안외순, "개항전 조·일관계와 대일정책-1864~1873년을 중심으로"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 : 1996

      29 한우근, "개항당시 위기의식과 개화사상" 한국사연구회 2 : 1968

      30 연갑수, "개항기 권력집단의 정세인식과 정책 , 1894년 농민전쟁연구 3" 역사비평사 1993

      31 김기혁, "강화도조약의 역사적 배경과 국제적 환경" 25 : 1991

      32 "高宗實錄, 同文彙考, 朴珪壽全集, 承政院日記, 沁行日記, 龍湖閒錄, 日省錄"

      33 윤소영, "韓日修好條規의 역사적 위치" 한일관계사학회 (18) : 129-170, 2003

      34 坂野正高, "近代中國政治外交史" 東京大學出版會 1973

      35 金旼奎, "近代 東아시아 國際秩序의 變容과 淸日修好條規(1871年) ― '條規體制'의 生成" 대동문화연구원 41 : 321-356, 2002

      36 조병한, "海防 體制와 1870년대 李鴻章의 洋務運動" 동양사학회 (88) : 131-168, 2004

      37 "李文忠公(鴻章)全集, 籌辦夷務始末, 淸季中日韓關係史料, 淸光緖朝中日交涉史料"

      38 濱下武志, "朝貢システムと近代アジア" 岩波書店 1993

      39 이근관, "朝日修好條規(1876)의 再評價 ―아 國際秩序의 觀點으로부터" 서울국제법연구원 11 (11): 57-79, 2004

      40 孔繫敏, "晩淸對韓政策的演變與敎訓" 3 : 2002

      41 彭澤周, "明治初期日韓淸關係の硏究" 塙書房 1969

      42 岡木隆司, "屬國と自主のあいだ" 名古屋大學出版會 2004

      43 佐々木揚, "同治年間後期における淸朝洋務派の日本論-李鴻章の場合を中心として" 東洋史硏究會 44 (44): 1985

      44 原田環, "十九世紀の朝鮮における對外的危機意識" 21 : 1984

      45 三好千春, "兩次アヘン戰爭を事大關係の動搖" 27 : 1990

      46 "倭使日記 . 日本外交文書 , 朝鮮外交事務書"

      47 白新良, "中朝關係史" 世界智識出版社 2002

      48 川島眞, "中國近代外交の形成" 名古屋大學出版會 2004

      49 장영숙, "『內下冊子目錄』을 통해 본 고종의 개화관련 서적 수집 실상과 영향" 한국민족운동사학회 (58) : 205-240, 2009

      50 조병한, "19세기 서구적 세계체제와 동북아질서 재편 in 전쟁과 동북아의 국제질서" 일조각 2006

      51 岩方久彦, "1876년 修信使연구 ―高宗의 舊好回復論을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27) : 235-271, 2007

      52 김수암, "1870년대 조선의 대일관: 교린질서와 만국공법질서의 충돌" 25 (25): 2003

      53 尹素英, "1870년 전후 조선의 對日認識과 정책" 한국근현대사학회 25 : 194-226,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8 1.18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6 0.98 2.15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