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마제석촉의 출토양상을 기반으로 검토한 두만강 유역의 청동기시대 문화범위 = A Study on the Cultural Range of the Duman River Area in the Bronze Age through a Polished Stone Arrowhea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9244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두만강 유역의 청동기시대 석촉은 단신형과 장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 단신형은 신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 흥성문화와 오동청동기유형에서만 출토된다. 삼각만입형석촉은 한반도...

      두만강 유역의 청동기시대 석촉은 단신형과 장신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그 중 단신형은 신석기시대부터 청동기시대 흥성문화와 오동청동기유형에서만 출토된다. 삼각만입형석촉은 한반도 전체에서 출토되기 때문에 특별히 두만강 유역의 특징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런데 류정동 유형의 장신형 석촉은 퇴적암제로, 매우 무르며, 비실용적으로 신부가 매우 긴 형식인데, 주로 석관묘 유적에서 출토되는 것으로 보아서 부장용으로 제작되었다. 그 연대는 동북아시아의 석관묘가 파급되는 시점인 기원전 11세기경으로 파악된다. 또한 장신형 석촉은 한반도 다른 지역에서는 확인되지 않고 두만강 일대에서만 확인되는데, 이 지역 청동기시대 특징을 나타내는 하나의 유물이다.
      청동기시대 직전까지는 두만강~연해주~목단강 유역이 비슷한 성격으로 하나의 문화지역이었다. 청동기시대가 되면서 흥성문화나 그 다음 단계인 류정동 유형은 두만강~연해주에서 보이는데, 목단강 유역에서는 확인되지 않는다. 류정동 유형의 요소 중에 하나인 장신형 석촉의 출토양상을 기반으로 검토한 결과 신석기시대에 비해서 청동기시대가 되면서 두만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 문화지역의 범위가 두만강 유역과 연해주 내륙으로 좁혀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polished arrowhead is a fine archaeological data that is excavated abundantly in the Duman river sites in the Bronze Age and had high rate in stoneware in each site. It shows definite difference with the other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Not only...

      A polished arrowhead is a fine archaeological data that is excavated abundantly in the Duman river sites in the Bronze Age and had high rate in stoneware in each site.
      It shows definite difference with the other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Not only a square-embayment arrowhead but also a one-step protrusion arrowhead, double-step protrusion arrowhead, a leaf-shaped arrowhead is found in this age.
      However, a long-bar shaped arrowhead and a long-body arrowhead is checked only in the Duman river sites. It is excavated with a round-heas stoneware, multi-head stoneware and a stone spear. Even the Liutingtong type pottery is excavated with this stoneware, it is different from a stoneware with the Xingsheng type pottery.
      This arrowhead is found in a stone coffin tomb of the Duman river area, not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or the Amnok river area. It is a characteristic artifact that represents the Bronze Age of this area. The absolute age corresponds from 3000 to 2500 BP.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연구경향 및 문제제기
      • Ⅲ. 두만강 유역 청동기시대 석촉의 분류
      • Ⅳ. 청동기시대 두만강 유역 석촉의 성격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연구경향 및 문제제기
      • Ⅲ. 두만강 유역 청동기시대 석촉의 분류
      • Ⅳ. 청동기시대 두만강 유역 석촉의 성격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인욱, "遼東地方 太子河上流지역 신발견 彩文土器에 대하여" 중부고고학회 2 (2): 2003

      2 林沄, "論團結文化" 北方文物杂志社 (創刊) : 1985

      3 김재윤, "환동해문화권의 전기신석기시대 교차편년 연구 - 한반도 동해안∼연해주∼아무르 강 하류를 중심으로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507-527, 2013

      4 천선행, "한반도 돌대문 토기의 형성과 전개" 한국고고학회 57 : 61-97, 2005

      5 김재윤, "한반도 각목돌대문토기의 편년과 계보" 釜山大學校 2003

      6 박준범, "한강유역출토 선사시대 간돌화살촉연구" 선사시대 간돌화살촉연구」, 韓國新石器硏究 제12호 (12) : 2006

      7 김재윤, "한-중-러 접경지역 신석기 고고문화의 변천" 부산고고학연구회 (14) : 1-24, 2014

      8 손준호, "청동기시대 마제석기 연구" 서경 2006

      9 강인욱, "청동기시대 · 철기시대 한국과 연해주의 교류 : 환동해문화권의 제안과관련 하여" 부산경남사학회 2006

      10 황기덕, "조선의 청동기시대" 사회과학출판사 1984

      1 강인욱, "遼東地方 太子河上流지역 신발견 彩文土器에 대하여" 중부고고학회 2 (2): 2003

      2 林沄, "論團結文化" 北方文物杂志社 (創刊) : 1985

      3 김재윤, "환동해문화권의 전기신석기시대 교차편년 연구 - 한반도 동해안∼연해주∼아무르 강 하류를 중심으로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507-527, 2013

      4 천선행, "한반도 돌대문 토기의 형성과 전개" 한국고고학회 57 : 61-97, 2005

      5 김재윤, "한반도 각목돌대문토기의 편년과 계보" 釜山大學校 2003

      6 박준범, "한강유역출토 선사시대 간돌화살촉연구" 선사시대 간돌화살촉연구」, 韓國新石器硏究 제12호 (12) : 2006

      7 김재윤, "한-중-러 접경지역 신석기 고고문화의 변천" 부산고고학연구회 (14) : 1-24, 2014

      8 손준호, "청동기시대 마제석기 연구" 서경 2006

      9 강인욱, "청동기시대 · 철기시대 한국과 연해주의 교류 : 환동해문화권의 제안과관련 하여" 부산경남사학회 2006

      10 황기덕, "조선의 청동기시대" 사회과학출판사 1984

      11 황기덕, "조선에서 나타난 활촉의 기본형태와 분포" 과학원출판사 (6) : 1958

      12 박진욱, "우리나라 활촉의 형태와 그 변천" 사회과학원출판사 (1) : 1967

      13 임세권, "우리나라 마제석촉의 연구" 한국사연구회 (17) : 1977

      14 클류예프, "연해주의 고금속기시대 최신 자료-드보랸카 석관묘와 바라바쉬 제철유적-" 한국청동기학회 (14) : 132-148, 2014

      15 김재윤, "연해주 · 길림 고고자료로 본 동북한청동기시대 형성과정, 동북아시아적 관점에서 본 북한의 청동기시대" 2009

      16 김재윤, "신석기 후기 동북한문화권의 시간과 공간범위" 한국상고사학회 77 (77): 5-35, 2012

      17 이선미, "소위 '부리형석기'의 용도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2007

      18 김재윤, "범의구석 1호 적색마연토기의 형성과정, 韓半島 (赤色)磨硏土器 探究" 2013

      19 강인욱, "박물관소장 두만강유역 선사시대 유물연구" 서울대학교 박물관 2009

      20 서울대학교박물관, "박물관 소장 두만강 유역 선사시대 유물 연구" 2000

      21 황기덕, "무산범의구석 유적발굴보고" 고고학연구소 (6) : 1975

      22 강인욱, "러시아 연해주 출토 석검의 연구 - 형식, 편년 및 한반도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51-79, 2011

      23 황기덕, "두만강유역의 청동기시대문화" 고고학연구소 (2) : 1970

      24 崔傾淑, "두만강유역 청동기시대 제 유형 고찰" 한국청동기학회 (77) : 2011

      25 姜仁旭, "두만강 유역 청동기시대 문화 의 변천 과정에 대하여 - 동북한 토기의 편년 및 주변 지역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고고학회 (62) : 46-89, 2007

      26 김재윤, "동북한 청동기시대 형성과정 - 연해주와 연변 고고자료의 비교를 통해서 -" 동북아역사재단 (32) : 281-331, 2011

      27 趙賓福, "馬城子文化論" 科學出版社 2007

      28 全榮來, "韓國磨製石劍·石族編年에 關한 硏究"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4 (4): 1982

      29 崔盛洛, "韓國 磨製石族의 考察" 한국고고학회 (12) : 1982

      30 吉林城文物考古硏究所, "長春市腰紅嘴子與北紅嘴子遺趾發掘簡報" 科學出版社 (8) : 2003

      31 延邊朝鲜族自治州博物馆, "金谷水库南山遗址试掘简报" 吉林省博物馆学会 : 吉林省考古学会 (3) : 1985

      32 이석범, "磨製石鏃을 통한 嶺南地域住居址의 編年" 한국청동기학회 (10) : 22-60, 2012

      33 배진성, "無文土器의 成立과 系統" 영남고고학회 32 : 1-34, 2003

      34 황창한, "無文土器時代 磨製石鏃 製作技法 硏究" 호남고고학회 20 : 33-56, 2004

      35 朴淳發, "渼沙里 類型考" 호서고고학회 (9집) : 85-112, 2003

      36 배진성, "東北型石刀에 대한 소고: 東海文化圈의 設定을 겸하여" 영남고고학회 (40) : 5-26, 2007

      37 佟柱臣, "東北原始文化的分布与分期" 科學出版社 (10) : 1961

      38 大貫精夫, "東北アジアの考古學" 同成社 1998

      39 藤田亮策, "朝鮮考古學硏究" 高桐書院 1948

      40 延邊博物館, "延邊文物簡編" 延邊人民出版社 1988

      41 延邊朝鲜族自治州博物馆, "延吉德新金谷古墳墓葬淸理簡報" 北文物出版社 1982

      42 藤田亮策, "延吉小營子遺蹟調査報告, 滿洲國古蹟古物調査報告書 第五篇" 滿洲國文敎部 1941

      43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和龍興城 : 新石器及青铜时代遺址發掘報告" 文物出版社 2002

      44 图珲铁路考古发掘队, "吉林省珲春市河西北山墓地发掘" 科學出版社 (5) : 1994

      45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吉林省汪淸縣金城古墓葬發掘通報" 科學出版社 (2) : 1986

      46 吉林汪延琿路考古隊, "吉林省圖們市下嘎遺趾發掘報告" 北方文物杂志社 (2) : 2001

      47 劉振華, "吉林省原始文化中的几种新石器时代遺存" 吉林省博物馆学会 ; 吉林省考古学会 (創刊) : 1982

      48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吉林琿春新興洞墓地發掘報告" 北方文物杂志社 (1) : 1992

      49 吉林省图珲铁路考古发掘队, "吉林珲春市迎花南山遗址, 墓葬发掘" 科學出版社 (8) : 1993

      50 刘法祥, "吉林汪清金城古墓葬发掘简报" 科學出版社 (2) : 1986

      51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吉林汪淸縣水北靑銅時代遺趾的發掘" 科學出版社 (1) : 2005

      52 延邊博物館, "吉林延邊柳庭洞發現的原始文化遺存" 科學出版社 (10) : 1983

      53 安在皓, "南韓 前期無文土器의 編年 : 嶺南地方의 資料를 中心으로" 慶北大學校大學院 1992

      54 華玉氷, "中國東北地區石朋硏究" 吉林大學 2008

      55 Яншина О.В., "Финальный неолит-брозовтй век Приморья. Системазац ия археологических памятников; Аатореф. дис" канд.ист.наук 2001

      56 Яншина О.В., "Ким Чже Ен, Керамика поздеого неолита приморя и соредельных терри торий Восточ ной Азии : Автореф. дис" канд.ист.нук 187-233, 2009

      57 Сassidy J., "On the Margarita Archaeological Culture: Bronze age or Final Neolithic ?"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3-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9 0.29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0.555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