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음악교육 실제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 변인의 구조적 관계 =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Variables Affecting the Practice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음악흥미, 음악적 자아개념,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지식,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그리고 유아음악교육 실제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유아음악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사 교육 및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음악교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이고 이론적인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직하고 있는 유아교사 278명이며,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집중타당성과 판별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구조적 관계 분석을 위해서는 연구모형 적합도 지수를 확인 후 경로분석을 시행하였고,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총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부트스트랩핑(bootstraping)을 통해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확인하였다.
      결과 그 결과, 유아교사의 음악흥미와 유아음악교육 실제와의 관계에서 음악적 자아개념,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지식,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태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가 음악에 흥미를 가지는 것을 넘어, 자신의 음악적 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체계적인 음악활동에대한 지식, 음아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유아음악교육 실제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음악에 대한 흥미를 촉진하는 동시에,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지식을 확장하고 음악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교사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적 지원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음악흥미, 음악적 자아개념,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지식,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그리고 유아음악교육 실제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음악흥미, 음악적 자아개념,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지식,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태도, 그리고 유아음악교육 실제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유아음악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사 교육 및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 유아교육 현장에서 음악교육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이고 이론적인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직하고 있는 유아교사 278명이며, 자료는 SPSS 18.0과 AMOS 18.0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모형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집중타당성과 판별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구조적 관계 분석을 위해서는 연구모형 적합도 지수를 확인 후 경로분석을 시행하였고, 직접효과와 간접효과, 총효과를 검증하였으며, 부트스트랩핑(bootstraping)을 통해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지를 확인하였다.
      결과 그 결과, 유아교사의 음악흥미와 유아음악교육 실제와의 관계에서 음악적 자아개념,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지식,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태도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유아교사가 음악에 흥미를 가지는 것을 넘어, 자신의 음악적 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과 체계적인 음악활동에대한 지식, 음아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함양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유아음악교육 실제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유아교사의 음악에 대한 흥미를 촉진하는 동시에, 유아음악활동에 대한 지식을 확장하고 음악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할 수 있는교사 교육 프로그램과 교육적 지원을 강화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s’ musical interest, music self-concept, knowledge for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attitude toward early child hood music education, and the practice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hrough this, this study seeks the ways to support teacher education, and intended to provide a practical and theorietical basis for increasing the ef fictiveness of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78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the data was ana 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convergent validity and dis criminant validity were verified. In structural equation model, after checking the research model fit index, Afterwards, path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direct effect, in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were verified. And through bootstrapp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 was confirmed.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usical self-concept, knowledge for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atti tude towar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al inter est and the practice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onclusions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not only having an interest in music but also cultivating a positive perception of their musical abilities, acquiring systematic knowledge of music activ ities, and fostering a favorable attitude toward music education. To enhanc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actices, it is essential to promote teachers' interest in music while simultaneously strengthen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implementing educational initiatives that expand their knowledge of early child hood music activities and support the development of positive attitudes toward music education.
      번역하기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s’ musical interest, music self-concept, knowledge for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attitude toward early child hood music education,...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s’ musical interest, music self-concept, knowledge for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attitude toward early child hood music education, and the practice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Through this, this study seeks the ways to support teacher education, and intended to provide a practical and theorietical basis for increasing the ef fictiveness of music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78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the data was ana 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o ensure the validity of the research model, convergent validity and dis criminant validity were verified. In structural equation model, after checking the research model fit index, Afterwards, path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direct effect, indirect effect, and total effect were verified. And through bootstrapp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ediation effect was confirmed.
      Result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musical self-concept, knowledge for early childhood music activities, atti tude toward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al inter est and the practice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onclusions The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not only having an interest in music but also cultivating a positive perception of their musical abilities, acquiring systematic knowledge of music activ ities, and fostering a favorable attitude toward music education. To enhance the quality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practices, it is essential to promote teachers' interest in music while simultaneously strengthen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implementing educational initiatives that expand their knowledge of early child hood music activities and support the development of positive attitudes toward music education.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