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신석기시대후말기 이중구연토기의 지역적 전개양상 = The Local development process of Double-rimed pottery in the last period of Neolithic 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929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필자는 신석기시대 후말기 이중구연토기 형성과정과 전개양상을 재검토함으로써 신석기시대에서 무문토기시대로의 전화과정을 복원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본고는 한반도 남부지방 신석기시대 후말기 이중구연토기를 대상으로 지역편년과 병행관계를 설정하여, 이중구연토기가 어떻게 전개되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역별 이중구연토기 편년수립과 병행관계를 검토하여, 남해안지역 이중구연토기를 봉계리단계, 수가리단계, 율리단계로 세분하였으며, 내륙지역에서는 후기후엽(봉계리단계), 말기전반, 말기후반으로 편년하여 각각 이 병행함을 밝혔다. 이러한 병행관계를 바탕으로 이중구연토기는 후기말엽에 내륙지역의 소백산맥 이동권에서 출현하여, 주변지역과 남해안지역으로 확산되지만, 해당지역의 재지성에 따라 유적마다 봉계리식토기를 선별적으로 도입함을 밝힐 수 있었다. 남해안지역 동부권에서는 재지의 태선침선문 전통과 결합하여 남해안식 이중구연토기가 출현하는데, 이 시점부터를 말기로 파악하였다. 말기전반에 남해안식 이중구연토기는 소백산맥 이동권과 내륙지역 동부권으로만 전개되는데, 이는 남해안지역 중부권에 이전의 봉계리식전통이 강하게 남
      아 있어 상대적으로 님해안식 이중구연토기의 유입이 용이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말기후반부터 님해안식 이중구연토기가 성행하는 남해안지역 동부권과 봉계리식토기 전통이 잔존하는 남해안지역 중부권의 지역성을 바탕으로 두 가지 전개양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이중구연토기문화권 형성은 당시 집단의 강한 이동성을 바탕으로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외부 요소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는 상황을 초래하였으며, 아울러 한반도 신석기시대 전통에서 나타나지 않던 새로운 문양 요소와 기종들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새로운 문화유입과 더불어 한반도 남부는 신석기시대에서 무문토기시대로 전환된다고 추정하였다.
      번역하기

      필자는 신석기시대 후말기 이중구연토기 형성과정과 전개양상을 재검토함으로써 신석기시대에서 무문토기시대로의 전화과정을 복원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본고는 ...

      필자는 신석기시대 후말기 이중구연토기 형성과정과 전개양상을 재검토함으로써 신석기시대에서 무문토기시대로의 전화과정을 복원할 수 있는 실마리를 찾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본고는 한반도 남부지방 신석기시대 후말기 이중구연토기를 대상으로 지역편년과 병행관계를 설정하여, 이중구연토기가 어떻게 전개되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역별 이중구연토기 편년수립과 병행관계를 검토하여, 남해안지역 이중구연토기를 봉계리단계, 수가리단계, 율리단계로 세분하였으며, 내륙지역에서는 후기후엽(봉계리단계), 말기전반, 말기후반으로 편년하여 각각 이 병행함을 밝혔다. 이러한 병행관계를 바탕으로 이중구연토기는 후기말엽에 내륙지역의 소백산맥 이동권에서 출현하여, 주변지역과 남해안지역으로 확산되지만, 해당지역의 재지성에 따라 유적마다 봉계리식토기를 선별적으로 도입함을 밝힐 수 있었다. 남해안지역 동부권에서는 재지의 태선침선문 전통과 결합하여 남해안식 이중구연토기가 출현하는데, 이 시점부터를 말기로 파악하였다. 말기전반에 남해안식 이중구연토기는 소백산맥 이동권과 내륙지역 동부권으로만 전개되는데, 이는 남해안지역 중부권에 이전의 봉계리식전통이 강하게 남
      아 있어 상대적으로 님해안식 이중구연토기의 유입이 용이하지 않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후 말기후반부터 님해안식 이중구연토기가 성행하는 남해안지역 동부권과 봉계리식토기 전통이 잔존하는 남해안지역 중부권의 지역성을 바탕으로 두 가지 전개양상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처럼 이중구연토기문화권 형성은 당시 집단의 강한 이동성을 바탕으로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외부 요소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는 상황을 초래하였으며, 아울러 한반도 신석기시대 전통에서 나타나지 않던 새로운 문양 요소와 기종들이 확인되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새로운 문화유입과 더불어 한반도 남부는 신석기시대에서 무문토기시대로 전환된다고 추정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 am trying to find a clue solving the changing process from Neolithic age to Bronze age, by restudying Double-limed Pottery’s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This paper aims to figure out how the Double-rimed pottery had been developed, through setting its the local chronology and parallel relationship at the last period of Neolithic Age in south province of Korea Peninsula.
      As a result, the Double-limed pottery has been divided to 3 phase(Bonggaeri phase, Sugari phase, yulri phase) in the southern coast region and the southern interior region, each phase is at the same time. Based on above parallel relationship, It was confirmed that the Double-rimed pottery had been appeared at the southern interior region in the latter Neolithic period and spreaded to surroundings and the southern coast region. but Bonggaeri type pottery including the Double-limed pottery was accepted in the southern coast region according to a local peculiarity.
      In the first part of the late Neolithic period, the southern coast type Double-rimed pottery was spread to the eastern part of southern interior region. Because it was not easy that the southern coast type Double-limed pottery enter to the central part of the southern coast region in that previous Bonggaeri type had remained strongly, and then the southern coast type Double-limed pottery is spread to the each southern coast region.
      The Double-rimed pottery’s cultural area was formed with strong migration, and then it led to conditions that outside factors like new design pattern and new kind of pottery easily enter the Doublerimed pottery’s cultural area. At such time, the Neolithic age was changed over to Bronze age with inflow of new culture.
      번역하기

      I am trying to find a clue solving the changing process from Neolithic age to Bronze age, by restudying Double-limed Pottery’s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This paper aims to figure out how the Double-rimed pottery had been developed, through ...

      I am trying to find a clue solving the changing process from Neolithic age to Bronze age, by restudying Double-limed Pottery’s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This paper aims to figure out how the Double-rimed pottery had been developed, through setting its the local chronology and parallel relationship at the last period of Neolithic Age in south province of Korea Peninsula.
      As a result, the Double-limed pottery has been divided to 3 phase(Bonggaeri phase, Sugari phase, yulri phase) in the southern coast region and the southern interior region, each phase is at the same time. Based on above parallel relationship, It was confirmed that the Double-rimed pottery had been appeared at the southern interior region in the latter Neolithic period and spreaded to surroundings and the southern coast region. but Bonggaeri type pottery including the Double-limed pottery was accepted in the southern coast region according to a local peculiarity.
      In the first part of the late Neolithic period, the southern coast type Double-rimed pottery was spread to the eastern part of southern interior region. Because it was not easy that the southern coast type Double-limed pottery enter to the central part of the southern coast region in that previous Bonggaeri type had remained strongly, and then the southern coast type Double-limed pottery is spread to the each southern coast region.
      The Double-rimed pottery’s cultural area was formed with strong migration, and then it led to conditions that outside factors like new design pattern and new kind of pottery easily enter the Doublerimed pottery’s cultural area. At such time, the Neolithic age was changed over to Bronze age with inflow of new cul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머리말
      • Ⅱ. 신석기시대 이중구연토기 편년연구 현황
      • Ⅲ. 지역별 이중구연토기 편년 및 병행관계
      • Ⅳ. 이중구연토기의 전개와 지역관계
      • 요약
      • Ⅰ. 머리말
      • Ⅱ. 신석기시대 이중구연토기 편년연구 현황
      • Ⅲ. 지역별 이중구연토기 편년 및 병행관계
      • Ⅳ. 이중구연토기의 전개와 지역관계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천선행, "신석기시대 후말기 이중구연토기 형성과정 재검토" 한국신석기학회 (20) : 53-88, 2010

      2 송은숙, "서울대학교대학원" 서울대학교대학원 2002

      3 단국대학교중앙박물관, "사천구평리유적신석기시대조개더미발굴보고, In 단국대학교중앙박물관고적조사보고제16책" 1993

      4 千羨幸, "무문토기시대조기설정과시간적범위" 1 : 5-27, 2007

      5 정징원, "남해안지방의즐문토기연구(1)–부산·경남지방만기즐문토기의검토–" 6 : 1-38, 1982

      6 신경철, "김해수가리패총Ⅱ" 부산대학교박물관 2010

      7 釜山大學校博物館, "김해수가리패총Ⅰ" 1981

      8 정영호, "구평리유적의성격, In 사천구평리유적신석기시대조개더미발굴보고, In 단국대학교중앙박물관고적 조사보고 제16책" 1993

      9 林尙澤, "駕島A貝塚의 編年的位置2) 遺物(1) 新石器時代, In 駕島貝塚" 駕島貝塚 271-285, 2001

      10 김원용, "韓國考古學槪論" 1973

      1 천선행, "신석기시대 후말기 이중구연토기 형성과정 재검토" 한국신석기학회 (20) : 53-88, 2010

      2 송은숙, "서울대학교대학원" 서울대학교대학원 2002

      3 단국대학교중앙박물관, "사천구평리유적신석기시대조개더미발굴보고, In 단국대학교중앙박물관고적조사보고제16책" 1993

      4 千羨幸, "무문토기시대조기설정과시간적범위" 1 : 5-27, 2007

      5 정징원, "남해안지방의즐문토기연구(1)–부산·경남지방만기즐문토기의검토–" 6 : 1-38, 1982

      6 신경철, "김해수가리패총Ⅱ" 부산대학교박물관 2010

      7 釜山大學校博物館, "김해수가리패총Ⅰ" 1981

      8 정영호, "구평리유적의성격, In 사천구평리유적신석기시대조개더미발굴보고, In 단국대학교중앙박물관고적 조사보고 제16책" 1993

      9 林尙澤, "駕島A貝塚의 編年的位置2) 遺物(1) 新石器時代, In 駕島貝塚" 駕島貝塚 271-285, 2001

      10 김원용, "韓國考古學槪論" 1973

      11 廣瀨雄一, "韓國南部地方櫛目文後期の変遷" (64) : 43-54, 1989

      12 이동주, "韓國南部內陸地域의新石器時代有紋土器硏究" 7 : 5-79, 1991

      13 古澤義久, "韓半島新石器時代後晩期二重口緣土器の生成と展開, In 한일신시대의 고고학" 13-23, 2006

      14 河仁秀, "韓半島南部地域櫛文土器硏究" 民族文化 2006

      15 沈奉謹, "陜川鳳鷄里遺蹟, In 東亞大學校博物館古蹟調査報告書第15冊" 1989

      16 有光敎一, "釜山岩南洞貝塚土器" 36 : 13-24, 1965

      17 金廷鶴, "金谷洞栗里貝塚–岩蔭住居遺蹟–, In 釜山大學校博物館遺蹟調査報告第3輯" 1980

      18 배성혁, "金泉松竹里遺蹟Ⅰ, In 啓明大學校궋素博物館遺蹟調査報告第15輯" 啓明大學校行素博物館 2006

      19 釜山大學校博物館, "淸道梧津里岩蔭遺蹟, In 雲門댐水沒地域文化遺蹟發掘調査報告書1" 1994

      20 최종규, "幾何文土器編年表作成을위한小考" 부산대학교 1977

      21 조현복, "嶺南內陸地方櫛文土器에대한一考察–型式分類와編年을중심으로" 50 : 47-87, 1995

      22 宮本一夫, "北部九州と朝鮮半島南海岸地域の先史時代交流再考, In 福岡大學考古學論文集 ( 小田富士男先生退職記念事業集)" 53-68, 2004

      23 천선행, "Ⅸ. 종합고찰4. 수가리Ⅲ식토기재검토, In 김해수가리패총Ⅱ" 2010

      24 최문정, "Ⅸ. 종합고찰3. 수가리Ⅱ기시공적위치, In 김해수가리패총Ⅱ" 2010

      25 安承模, "Ⅴ. 考察, In 갈머리유적, In 湖南文化財硏究院學術調査報告第13冊" 187-230, 2003

      26 김병섭, "Ⅳ.考察5.新石器時代二重口緣土器에대한검토, In 密陽살내遺蹟 (慶南發展硏究員歷史文化센터 調査硏究報告書第24冊)" 310-318, 2005

      27 서영남, "Ⅳ. 1. 다. 이중구연토기, In 淸道梧津里岩蔭遺蹟, In 雲門댐 水沒地域文化遺蹟發掘調査報告書1" 雲門댐 水沒地域文化遺蹟發掘調査報告書1,pp.216~219. 216-219, 199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89 1.572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