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수용 영역 및 참여 수준 분석 = An Analysis of the Zone of Acceptance and Participation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School Decision-Mak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8908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effective participation in school decision-making. The study analyze the zone of acceptance and participation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hool decision-making and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zone of accepta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school decision-making?
      Second, what is the participation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hool decision-making?
      Third, what is the participation level according to the zone of accepta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192 teachers from national and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surveyed and the zone of acceptance and participation level of each decision-making content was measured and compared. The zone of acceptance of school decision-making was analyzed based on teachers' degree of relevance and expertise of each content. The participation level was analyzed based on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school decision-making, expression of ideas or opinions, and degree of influence at decision-making.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overall response, the degree of expertise of teachers in school decision-making varies. However, the degree of relevant was high in most decision-making contents. In addition, most school decision-making contents are located at out or marginal(high relevance) of the zone of acceptance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teachers' participation. Meanwhile, the degree of relevant and expertise depending on the experience as a head teachers or career were different. The relevance and expertise of teachers who had experience as a head teacher or high career was high in almost all decision-making contents, and most school decision-making contents were found to be located out of the zone of acceptance. On the other hand, the relevance and expertise of teachers who without experience as a head teacher or less career experience were varied. And the zone of acceptance was also varied out, in or marginal(high relevance)of the zone of acceptance.
      Second, the degree of opportunity, expression, and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hool decision-making has decreased in the order of opportunity, expression, influence. And these tendency made four types of participation level: the type which not even given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the type which only given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the type which the degree of opportunity and expression high, the type which all degree was met. Meanwhile, teachers had experience as a head teacher or high career showed the highest participation level in almost all school decision-making contents. On the other hand, participation level of teachers without experience as a head teacher or less career experience were varied.
      Third, by comparing the zone of acceptance and participation level in school decision-making,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 participation was being made in accordance with the zone of acceptance in some decision-making contents.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other decision-making contents were located out or marginal(high relevance) of the zone of acceptance, but the participation level was not made according to the zone of acceptance.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Policy support is needed to activate all teachers' expression and influence go beyond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which was centered on providing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From the analysis results, participation level in school decision-making appeared in four types: ‘Arbitrary decision-making’ in which even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are not given to most teachers, ‘Formal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in which participation opportunities are only given, but most teachers are not(or unable to) express their opinions, ‘Suggesting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in which opinions or ideas was expressed by teachers, but have not influence on final decision-making, ‘Fully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in which all of degree was met. These results mean that in order to activate all teachers' participation in school decision-making, directions to increasing the degree of teachers' expression and influence also need to be explored with opportunity for participation.
      Second, by subdividing the size or scope of school decision-making contents into the small groups, teachers' access to school decision-making should be improved. In the results of the zone of acceptance,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decision-making were more focused on the small groups like same grade year rather than every school level. This means that teachers can feel a sense of distance from decision-making contents made for every school level. In that sense, in order to induce teachers' participation, the size or scope of decision-making is necessary to subdivide into the small groups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more closel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teachers.
      Third, school needs to establish institutional arrangements or change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o allow school decision-making to be delegated to small groups, in other words on a team level. In the results of participation level, almost all school decision-making had been delegated to teachers who had experience as a head teacher or high career. This means that even if decision-making contents are subdivided according to the small groups, its powers or responsibilities can be delegated to a specific few and other arbitrary decision-making can be caused. In other words, in order to have effective teachers' participation, the school decision-making must be delegated to small groups, in other words on a team level like the same grade year or same subject rather than a specific few teacher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effective participation in school decision-making. The study analyze the zone of acceptance and participation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hool decision-making and set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effective participation in school decision-making. The study analyze the zone of acceptance and participation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hool decision-making and set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First, what is the zone of accepta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school decision-making?
      Second, what is the participation level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hool decision-making?
      Third, what is the participation level according to the zone of accepta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192 teachers from national and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Seoul were surveyed and the zone of acceptance and participation level of each decision-making content was measured and compared. The zone of acceptance of school decision-making was analyzed based on teachers' degree of relevance and expertise of each content. The participation level was analyzed based on the opportunity to participate in school decision-making, expression of ideas or opinions, and degree of influence at decision-making.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overall response, the degree of expertise of teachers in school decision-making varies. However, the degree of relevant was high in most decision-making contents. In addition, most school decision-making contents are located at out or marginal(high relevance) of the zone of acceptance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teachers' participation. Meanwhile, the degree of relevant and expertise depending on the experience as a head teachers or career were different. The relevance and expertise of teachers who had experience as a head teacher or high career was high in almost all decision-making contents, and most school decision-making contents were found to be located out of the zone of acceptance. On the other hand, the relevance and expertise of teachers who without experience as a head teacher or less career experience were varied. And the zone of acceptance was also varied out, in or marginal(high relevance)of the zone of acceptance.
      Second, the degree of opportunity, expression, and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school decision-making has decreased in the order of opportunity, expression, influence. And these tendency made four types of participation level: the type which not even given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the type which only given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the type which the degree of opportunity and expression high, the type which all degree was met. Meanwhile, teachers had experience as a head teacher or high career showed the highest participation level in almost all school decision-making contents. On the other hand, participation level of teachers without experience as a head teacher or less career experience were varied.
      Third, by comparing the zone of acceptance and participation level in school decision-making,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 participation was being made in accordance with the zone of acceptance in some decision-making contents. On the other h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other decision-making contents were located out or marginal(high relevance) of the zone of acceptance, but the participation level was not made according to the zone of acceptance.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Policy support is needed to activate all teachers' expression and influence go beyond decision-making participation which was centered on providing opportunities for participation. From the analysis results, participation level in school decision-making appeared in four types: ‘Arbitrary decision-making’ in which even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are not given to most teachers, ‘Formal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in which participation opportunities are only given, but most teachers are not(or unable to) express their opinions, ‘Suggesting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in which opinions or ideas was expressed by teachers, but have not influence on final decision-making, ‘Fully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in which all of degree was met. These results mean that in order to activate all teachers' participation in school decision-making, directions to increasing the degree of teachers' expression and influence also need to be explored with opportunity for participation.
      Second, by subdividing the size or scope of school decision-making contents into the small groups, teachers' access to school decision-making should be improved. In the results of the zone of acceptance, teachers' perceptions of school decision-making were more focused on the small groups like same grade year rather than every school level. This means that teachers can feel a sense of distance from decision-making contents made for every school level. In that sense, in order to induce teachers' participation, the size or scope of decision-making is necessary to subdivide into the small groups so that it can be recognized more closel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teachers.
      Third, school needs to establish institutional arrangements or change the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to allow school decision-making to be delegated to small groups, in other words on a team level. In the results of participation level, almost all school decision-making had been delegated to teachers who had experience as a head teacher or high career. This means that even if decision-making contents are subdivided according to the small groups, its powers or responsibilities can be delegated to a specific few and other arbitrary decision-making can be caused. In other words, in order to have effective teachers' participation, the school decision-making must be delegated to small groups, in other words on a team level like the same grade year or same subject rather than a specific few teach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수용 영역 및 참여 수준을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학교 의사결정 참여를 위한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수용 영역은 어떠한가?
      둘째,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참여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의 의사결정 수용 영역에 따라 참여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 국·공립 초등학교 교사 192명을 대상으로 학교 의사결정의 내용별 수용 영역과 참여 수준을 측정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학교 의사결정의 수용 영역은 내용별 관련성 및 전문성 정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참여 수준은 의사결정 내용별 참여 기회, 의견 표현, 영향력 정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확인한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응답 수준에서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성 정도는 다양하였지만, 관련성 정도는 대부분의 의사결정 내용에서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학교 의사결정 내용의 대부분은 구성원의 의사결정 참여 확대가 필요한 수용 영역 외부 혹은 경계(관련성)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보직교사 경험이 있는 교사 혹은 고경력 교사의 관련성 및 전문성 정도는 거의 모든 의사결정 내용에서 높았고, 이로 인해 의사결정 내용의 대부분이 수용 영역 외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직교사 경험이 없는 교사 혹은 중·저경력 교사의 관련성 및 전문성 정도는 다양하였고, 수용 영역 또한 외부 및 내부, 경계(관련성)에 다양하게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참여 기회·의견 표현·영향력 정도는 참여 기회·의견 표현·영향력 순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참여 수준이 참여 기회부터 주어지지 않는 유형, 참여 기회만 주어지는 유형, 참여 기회 및 의견 표현 정도가 높은 유형, 세 가지 정도가 모두 충족되는 유형 등 네 가지로 주로 나타났다. 한편, 보직교사 경험이 있는 교사 혹은 고경력 교사일수록 거의 모든 의사결정 내용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참여를 보였지만, 보직교사 경험이 없는 교사 혹은 중·저경력 교사의 참여 수준은 그 정도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의 의사결정에 대한 수용 영역 및 참여 수준 비교를 통해, 일부 의사결정 내용에 있어서 수용 영역에 맞게 교사 참여가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반면, 그 외 의사결정 내용은 수용 영역 외부 혹은 경계(관련성)에 위치하였지만, 참여 수준은 수용 영역에 맞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기존의 참여 기회 제공이 중심이었던 의사결정 참여를 넘어서서 교사들의 의견 표현 및 영향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분석 결과에서, 학교 의사결정 속 교사 참여 수준은 참여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 ‘독단적 의사결정’ 뿐만 아니라, 참여 기회가 주어질 뿐 그 속에서 의견 표현이 이루어지지 않은(혹은 못하는) ‘형식적 의사결정 참여’, 참여 기회 속에서 의견이나 생각이 직접적으로 표현되지만, 최종적인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제안형 의사결정 참여’의 모습으로도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즉, 학교 의사결정 속 교사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교사들의 의견 표현 및 영향력 정도를 높일 수 있는 방향 또한 탐색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 의사결정 내용의 크기 및 범위를 소조직 차원으로 세분화함으로써 교사들의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본 연구는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수용 영역 결과를 통해, 교사들의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이 학교 전체 차원보다 주로 동학년, 동교과와 같은 소조직 차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교사들이 학교 전체 차원으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 내용에 대해서는 거리감을 느낄 수 있음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교사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의사결정 내용의 크기 및 범위를 소조직 차원으로 세분화하여 보다 가깝게 인식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 의사결정 내용이 소조직, 즉 팀(team) 수준에 위임될 수 있도록 하는 학교 차원의 제도적 장치 마련 혹은 학교 조직문화의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참여 수준 결과를 통해, 거의 모든 학교 의사결정이 보직교사 혹은 고경력 교사에게 위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의사결정 내용을 소조직 수준에 맞게 세분화하더라도, 특정 소수에게만 그 권한 및 책임이 위임됨으로써 또 다른 독단적인 의사결정을 초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가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 의사결정이 동학년 및 동교과와 같은 소조직, 즉 팀 수준에 위임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수용 영역 및 참여 수준을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학교 의사결정 참여를 위한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

      본 연구는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수용 영역 및 참여 수준을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학교 의사결정 참여를 위한 발전 방향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수용 영역은 어떠한가?
      둘째,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참여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의 의사결정 수용 영역에 따라 참여 수준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울특별시 소재 국·공립 초등학교 교사 192명을 대상으로 학교 의사결정의 내용별 수용 영역과 참여 수준을 측정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학교 의사결정의 수용 영역은 내용별 관련성 및 전문성 정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으며, 참여 수준은 의사결정 내용별 참여 기회, 의견 표현, 영향력 정도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확인한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응답 수준에서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성 정도는 다양하였지만, 관련성 정도는 대부분의 의사결정 내용에서 높았다. 이러한 결과로 인해 학교 의사결정 내용의 대부분은 구성원의 의사결정 참여 확대가 필요한 수용 영역 외부 혹은 경계(관련성)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보직교사 경험이 있는 교사 혹은 고경력 교사의 관련성 및 전문성 정도는 거의 모든 의사결정 내용에서 높았고, 이로 인해 의사결정 내용의 대부분이 수용 영역 외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보직교사 경험이 없는 교사 혹은 중·저경력 교사의 관련성 및 전문성 정도는 다양하였고, 수용 영역 또한 외부 및 내부, 경계(관련성)에 다양하게 위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참여 기회·의견 표현·영향력 정도는 참여 기회·의견 표현·영향력 순으로 갈수록 점차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참여 수준이 참여 기회부터 주어지지 않는 유형, 참여 기회만 주어지는 유형, 참여 기회 및 의견 표현 정도가 높은 유형, 세 가지 정도가 모두 충족되는 유형 등 네 가지로 주로 나타났다. 한편, 보직교사 경험이 있는 교사 혹은 고경력 교사일수록 거의 모든 의사결정 내용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참여를 보였지만, 보직교사 경험이 없는 교사 혹은 중·저경력 교사의 참여 수준은 그 정도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의 의사결정에 대한 수용 영역 및 참여 수준 비교를 통해, 일부 의사결정 내용에 있어서 수용 영역에 맞게 교사 참여가 이루어짐을 확인하였다. 반면, 그 외 의사결정 내용은 수용 영역 외부 혹은 경계(관련성)에 위치하였지만, 참여 수준은 수용 영역에 맞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기존의 참여 기회 제공이 중심이었던 의사결정 참여를 넘어서서 교사들의 의견 표현 및 영향력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분석 결과에서, 학교 의사결정 속 교사 참여 수준은 참여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 ‘독단적 의사결정’ 뿐만 아니라, 참여 기회가 주어질 뿐 그 속에서 의견 표현이 이루어지지 않은(혹은 못하는) ‘형식적 의사결정 참여’, 참여 기회 속에서 의견이나 생각이 직접적으로 표현되지만, 최종적인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제안형 의사결정 참여’의 모습으로도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즉, 학교 의사결정 속 교사 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교사들의 의견 표현 및 영향력 정도를 높일 수 있는 방향 또한 탐색될 필요가 있다.
      둘째, 학교 의사결정 내용의 크기 및 범위를 소조직 차원으로 세분화함으로써 교사들의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본 연구는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수용 영역 결과를 통해, 교사들의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인식이 학교 전체 차원보다 주로 동학년, 동교과와 같은 소조직 차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교사들이 학교 전체 차원으로 이루어지는 의사결정 내용에 대해서는 거리감을 느낄 수 있음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교사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의사결정 내용의 크기 및 범위를 소조직 차원으로 세분화하여 보다 가깝게 인식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교 의사결정 내용이 소조직, 즉 팀(team) 수준에 위임될 수 있도록 하는 학교 차원의 제도적 장치 마련 혹은 학교 조직문화의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참여 수준 결과를 통해, 거의 모든 학교 의사결정이 보직교사 혹은 고경력 교사에게 위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의사결정 내용을 소조직 수준에 맞게 세분화하더라도, 특정 소수에게만 그 권한 및 책임이 위임됨으로써 또 다른 독단적인 의사결정을 초래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교사의 의사결정 참여가 실효성 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교 의사결정이 동학년 및 동교과와 같은 소조직, 즉 팀 수준에 위임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3. 용어의 정의 5
      • 4. 연구의 한계점 6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5
      • 3. 용어의 정의 5
      • 4. 연구의 한계점 6
      • Ⅱ. 이론적 배경 8
      • 1. 초등학교 내 의사결정 8
      • 2. 참여적 의사결정 17
      • 3. 선행연구 분석 31
      • Ⅲ. 연구 방법 37
      • 1. 연구대상 37
      • 2. 조사 도구 38
      • 3. 분석 모형 47
      • 4. 자료의 처리 및 분석 방법 49
      • Ⅳ. 분석 결과 50
      • 1. 학교 의사결정 내용별 수용 영역 50
      • 2. 학교 의사결정 내용별 참여 수준 64
      • 3. 학교 의사결정 내용별 수용 영역 및 참여 수준 비교 76
      • Ⅴ. 논의 82
      • 1.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수용 영역 특징 82
      • 2. 학교 의사결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참여 수준 특징 86
      • 3. 초등학교 교사의 의사결정 수용 영역에 따른 참여 수준 특징 91
      • Ⅵ. 요약 및 결론 97
      • 1. 요약 97
      • 2. 결론 및 제언 99
      • 참고문헌 102
      • ABSTRACT 108
      • 부록 1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