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중(北中)경제협력과 남북(南北)경제협력의 유사성 비교 : 불안정한 동북아 평화구도와 양국간 경제협력의 한계 = Comparison on Similarities of Sino-North Korean Economic Cooperation and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Limitations of Economic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and unstable Northeast Asia Peace Struc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106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중국은 2012년 안정적인 공산당 통치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13개 지역발전계획을 수립하는 등 각 개발구의 투자환경을 정비하고 동북아 국가와의 경제협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개발의 중심지는 훈춘과 단동으로 이 지역은 북중경제협력과도 밀접한 연관을 갖고 빠른 속도로 개발 중이다. 현재 북중경제협력은 남북경제협력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많은 한계를 갖고 있다. 이에 동북아 지역의 평화증진과 한반도 분단문제 해결을 위해 현재의 중국 주도의 지역경제협력 구도를 한국이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적극적 방안을 모색할 때이다. 물론 북한의 공식입장은 한국기업의 참여 불허이다. 그러나 중국은 안정적 지역개발을 위해 한국기업의 투자와 참여를 이면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또한 한국도 북한과의 경제교류를 회복하는 기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원조, 합자, 투자 등의 방식으로 중국의 대북경제교류 과정에 동참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한국은 당면한 시기적 모멘텀을 활용하여 중국의 지역협력구도 참여하면서 동북아 지역협력의 불안정성을 제거하고 다자적 틀 내에서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해 나가는데 그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중국은 2012년 안정적인 공산당 통치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13개 지역발전계획을 수립하는 등 각 개발구의 투자환경을 정비하고 동북아 국가와의 경제협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개발의...

      중국은 2012년 안정적인 공산당 통치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13개 지역발전계획을 수립하는 등 각 개발구의 투자환경을 정비하고 동북아 국가와의 경제협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현재 개발의 중심지는 훈춘과 단동으로 이 지역은 북중경제협력과도 밀접한 연관을 갖고 빠른 속도로 개발 중이다. 현재 북중경제협력은 남북경제협력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많은 한계를 갖고 있다. 이에 동북아 지역의 평화증진과 한반도 분단문제 해결을 위해 현재의 중국 주도의 지역경제협력 구도를 한국이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에 대한 적극적 방안을 모색할 때이다. 물론 북한의 공식입장은 한국기업의 참여 불허이다. 그러나 중국은 안정적 지역개발을 위해 한국기업의 투자와 참여를 이면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또한 한국도 북한과의 경제교류를 회복하는 기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원조, 합자, 투자 등의 방식으로 중국의 대북경제교류 과정에 동참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한국은 당면한 시기적 모멘텀을 활용하여 중국의 지역협력구도 참여하면서 동북아 지역협력의 불안정성을 제거하고 다자적 틀 내에서 한반도 평화체제를 구축해 나가는데 그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hina is maintaining the investment environment of each development zone such as establishing development plans of 13 areas etc. and accelerating economic cooperation with Northeast Asian countries to create the Communist Party’s stable ruling environment in 2012. The centers of the current development are Hunchun and Dandong and these areas are rapidly being developed with close relationship with Sino-North Korean economic cooperation. Given the experience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current Sino-North Korean economic cooperation has many limitations. Therefore, it is time to seek active ways on how Korea will use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structure under the current lead of China to resolv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enhance peace of Northeast Asian area. Of course, North Korea's official position is to disallow participation of Korean companies. However, China requires investment and participation of Korean companies for stable regional development. Also, since Korea needs the period to recover economic exchange with North Korea, it is reasonable to participate in the economic exchange process of China to North Korea in the ways of assistance, partnership, investment, and so on. Participating in regional cooperation structure of China by using facing periodic momentum, Korea will have to play the role in removing unstability of North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and building a peaceful regime of the Korean Peninsula within the multilateral framework.
      번역하기

      China is maintaining the investment environment of each development zone such as establishing development plans of 13 areas etc. and accelerating economic cooperation with Northeast Asian countries to create the Communist Party’s stable ruling envir...

      China is maintaining the investment environment of each development zone such as establishing development plans of 13 areas etc. and accelerating economic cooperation with Northeast Asian countries to create the Communist Party’s stable ruling environment in 2012. The centers of the current development are Hunchun and Dandong and these areas are rapidly being developed with close relationship with Sino-North Korean economic cooperation. Given the experience of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current Sino-North Korean economic cooperation has many limitations. Therefore, it is time to seek active ways on how Korea will use regional economic cooperation structure under the current lead of China to resolv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enhance peace of Northeast Asian area. Of course, North Korea's official position is to disallow participation of Korean companies. However, China requires investment and participation of Korean companies for stable regional development. Also, since Korea needs the period to recover economic exchange with North Korea, it is reasonable to participate in the economic exchange process of China to North Korea in the ways of assistance, partnership, investment, and so on. Participating in regional cooperation structure of China by using facing periodic momentum, Korea will have to play the role in removing unstability of Northeast Asian regional cooperation and building a peaceful regime of the Korean Peninsula within the multilateral framework.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교통연구원, "훈춘시 방문자료집" 한국교통연구원 북한교통정보센터 2006

      2 문흥호, "후진타오 집권기 중국의 대 북한 인식과 정책:변화와 지속" 아태지역연구센터 33 (33): 15-44, 2009

      3 신상진, "후진타오 집권 초기 중국의 대북정책 결정요인 분석" 북한연구학회 10 (10): 207-226, 2006

      4 배종렬, "중국의 장길도개발계획과 북중경협의 향방" 2010

      5 박승헌, "중국의 대북한 변경무역의 실태와 조선족의 경제적 역할: 연변의 대북한 변경무역을 중심으로" 2001

      6 최명해, "중국의 대북정책과 북‧중 관계 동향" 2011

      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 지역발전정책의 현황과 특징" 2010

      8 김종오, "중국 자본의 북한 진출에 대하여" 아태지역연구센터 30 (30): 89-117, 2006

      9 최우길, "중국 동북진흥과 창지투(長吉圖)선도구 개발계획: 그 내용과 국제정치적 함의" 한국동북아학회 15 (15): 35-59, 2010

      10 강승호, "중국 동북진흥 계획의 대북한 함의, 북-중 경제협력 강화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2011

      1 한국교통연구원, "훈춘시 방문자료집" 한국교통연구원 북한교통정보센터 2006

      2 문흥호, "후진타오 집권기 중국의 대 북한 인식과 정책:변화와 지속" 아태지역연구센터 33 (33): 15-44, 2009

      3 신상진, "후진타오 집권 초기 중국의 대북정책 결정요인 분석" 북한연구학회 10 (10): 207-226, 2006

      4 배종렬, "중국의 장길도개발계획과 북중경협의 향방" 2010

      5 박승헌, "중국의 대북한 변경무역의 실태와 조선족의 경제적 역할: 연변의 대북한 변경무역을 중심으로" 2001

      6 최명해, "중국의 대북정책과 북‧중 관계 동향" 2011

      7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중국 지역발전정책의 현황과 특징" 2010

      8 김종오, "중국 자본의 북한 진출에 대하여" 아태지역연구센터 30 (30): 89-117, 2006

      9 최우길, "중국 동북진흥과 창지투(長吉圖)선도구 개발계획: 그 내용과 국제정치적 함의" 한국동북아학회 15 (15): 35-59, 2010

      10 강승호, "중국 동북진흥 계획의 대북한 함의, 북-중 경제협력 강화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2011

      11 이수행, "중국 동북3성의 발전전략과 경기도의 대응방안" 경기개발연구원 2006

      12 전병곤, "왕자루이 방북을 계기로 본 북한의 중국의 당.정.군 관계" 통일연구원 2009

      13 양장석, "북한의 대중 경제의존도 심화와 전망" (겨울) : 2005

      14 엄선희, "북한과 중국의 수산협력 실태와 시사점" 2009

      15 박순찬, "북한과 중국간 무역이 경제성장 및 소득에 미치는 영향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5

      16 조동호, "북한경제 중국예속론의 비판적 고찰" 국제지역연구센터 12 (12): 363-394, 2008

      17 조명철, "북한 경제특구정책의 교훈과 정책과제"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7

      18 오승렬, "북한 경제난 어떻게 풀어가나? 북한경제의 대중국 의존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2005

      19 이영훈, "북.중무역의 현황과 북한경제에 미치는 영향" (246) : 2006

      20 김철, "두만강유역 북중 연계지역 개발현황 및 당면한 문제: 훈춘지역 국토개발을 중심으로" 2000

      21 조민, "남북한경제공동체 형성의 이론적 틀: 평화경제론" 통일연구원 2006

      22 "振兴东北网"

      23 秦亚青, "国际体系马外交" 世界知识出版社 2009

      24 "国民经济和社会发展第十一个五年规划纲要; 振兴吉林老工业基地规划纲要"

      25 "人民日報"

      26 주성환, "交易을 통한 平和理論과 南北韓 經濟交流· 協力" 한국동북아경제학회 14 (14): 161-178, 2002

      27 郭文君, "东北增长极图门江区地合作开发" 吉林人民出版社 2010

      28 Ian Bremmer, "http://eurasia.foreignpolicy.com"

      29 Glenn Kessler, "Zoellick Details Discussions With China on Future of the Korean Peninsula"

      30 Dick K. Nanto, "The North Korean Economy: Leverage and Policy Analysis, CRS Report for Congress, Congressional Research Service" 2008

      31 David M. Lampton, "The Faces of Chinese Power" 86 (86): 2007

      32 Shen Dingli, "North Korea's Strategic Significance to China" (Autumn) : 2006

      33 Lin Ming, "Deepening China-North Korea Economic Ties: Trends, Characteristics, and Its Interaction With the Future Inter-Korean Economic Community" 2007

      34 황진환, "1990년대 이후 남북 군사분야 회담 연구: 패턴과 정향" 통일연구원 19 (19): 23-54,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3-15 학회명변경 한글명 : 세계평화통일학회 ->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영문명 : The Society of world Peace and Unification -> The Korean Association of Peace Stud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8 0.58 0.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48 0.88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