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 논문에서는 포교사의 소그룹활동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불교적 자원봉사활동의 주체로써 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불교적 자원봉사 역사와 포교사 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489412
용인 : 강남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0
학위논문(석사) -- 강남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2000. 8
2000
한국어
338.1 판사항(4)
361.75
경기도
94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73-7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 논문에서는 포교사의 소그룹활동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불교적 자원봉사활동의 주체로써 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불교적 자원봉사 역사와 포교사 활...
본 연구 논문에서는 포교사의 소그룹활동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불교적 자원봉사활동의 주체로써 보다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불교적 자원봉사 역사와 포교사 활동내용은 문헌 고찰을 통해 규명하고 소그룹별 활동의 실태를 파악·분석하는 조사연구로써 포교사의 소그룹별 자원봉사활동 현황과 당면문제를 정립하며 불교 자원봉사활성화를 위해 포교사의 팀활동 실천모형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 목적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해 보면 불교의 보살행과 그 실천관은 자원봉사정신과 일치하고 있으며 포교사 소그룹활동 실태를 조사 분석한 결과, 팀장의 특성은 주로 사회·경제적으로 비교적 안정된 직업을 가지고 있는 4∼50대 남성이며 포교사고시제도 이후 배출된 포교사로써 적극적인 활동을 보이고 사회 참여적인 욕구 의식이 높은 분야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팀을 운영하는데 있어 예산수립과 팀원의 조직화 그리고 팀원과의 관계형성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해본다.
첫째는 포교사들의 내적 동기 유발과 중도탈락자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포교활동의 인정·보상체계가 도입되어야 하며 둘째로는 포교사뿐만 아니라 일반대중의 다양한 욕구에 따른 전문적 지식과 기술 습득이 요구되므로 프로그램의 전문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셋째는 포교사들의 행정적인 제반 업무와 프로그램기획과 개발, 팀활동에 대한 지원 및 관리 등은 기능별로 구분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포교사단 사무국의 기능과 역할이 확대, 운영되어져야 한다.
포교사의 팀활동이 불교자원봉사를 실천하고 더 나아가서는 불교의 지역복지의 적극적인 참여를 주도하는 주체로써 그 중요성과 필요성을 점차 부각시켜야 하며 포교사는 소신껏 자신의 능력을 불교사회복지 증진에 귀중한 자원으로 환원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ctivities of small preachers groups and to seek the method to activate the Buddhist voluntary service. This study clarified the history and preaching activities through related ref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actual condition of the activities of small preachers groups and to seek the method to activate the Buddhist voluntary service.
This study clarified the history and preaching activities through related reference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actual condition of small preachers groups, to arrange the present status and problems of small preachers groups in order and to present the practical pattern of preachers team activit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
The Bodhisattva conduct and its practice view are in harmony with voluntary spirit. The search into, and analysis of, the actu al condition of small preachers groups showed that the leaders of the teams were mainly males of 40 to 50 years of age who have a relatively stabile job and have been stabilized socially and economically, and that preachers, who have been produced after the start of the preacher notice system, have been positive in their preaching activity and have preference for the area in which they have much desire to participate in society, and that the budget making, team organization and relationship formation with team members are very important factors to the operation of the teams.
So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
First, a system of recognizing and rewarding for the preaching activity should be adopted in order to motivate the heart of preachers and to prevent the dropouts. Second, the program should be specialized because expertise and skills are needed to meet the various demands from the preachers and common people as well. Third, the function and role of the secretariat of preachers group should be expandedly operated because it is desirable to classify the administration of preachers, program planning and development, support for, and manag ement of, team activities by function.
The team activity of preachers should be enhanced in it simportance and necessity as the subject taking lead in practicing the Buddhist voluntary service and in the active participation of Buddhism in regional welfare, and the preachers should be able to turn their abilities to valuable resources at their disposal to promote Buddhist social welfar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