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는 기업에서 실제로 수행한 통합학습 방식의 교육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제적 분석을 통해 통합학습의 효과성을 규명해보고 이를 토대로 궁극적으로 통합학습의 효과성에 대한 현실...
연구는 기업에서 실제로 수행한 통합학습 방식의 교육프로그램 효과에 대한 체제적 분석을 통해 통합학습의 효과성을 규명해보고 이를 토대로 궁극적으로 통합학습의 효과성에 대한 현실적인 규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먼저 통합학습 관련 문헌고찰을 통해 통합학습의 모형 및 그 효과성에 대한 선행연구와 통합학습의 기대효과와 전망 및 통합학습의 국내외 현황에 관한 이론들을 고찰하였다. 이와 더불어 실제 실행한 통합학습 방식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다각적 분석을 통해 기업교육공학적 방안으로서 통합학습의 효과성에 대한 체제적 분석을 시도하였다.이러한 체제적 분석을 위한 방법론은 한마디로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를 혼합한 연구방법론(mixed methods research)이다. 혼합방법론 중에서 이 연구의 방법론으로 채택한 것은 설명적 혼합설계 방식으로, 기업교육공학 방안의 하나로 도입된 통합학습 방식 가운데 대표적인 사례 교육프로그램에 대해 먼저 그 효과에 대한 양적 분석을 하고, 이어서 그 결과가 의미하는 바를 보다 명확히 규명하기 위해 통합학습 방식에 대한 운영과 관련된 문헌 자료에 대한 분석과 아울러 참여자들에 대한 사후 설문 및 면담 등 질적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론을 토대로 양적 분석을 위해 ㅎ사 부장급 113명을 대상으로 ㅎ사에서 개발한 리더십 통합학습 프로그램을 분석 대상으로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이 실험으로 수집된 자료를 t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질적 분석을 위해 통합학습 효과에 대한 유용성과 통합학습의 성과 및 모형의 효과성에 대한 학습자 지각에 대해서는 핵심면담 대상자를 추출하여 사후 설문 및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첫째, 통합학습의 효과에 대한 양적 분석 결과 종합진단과 타인진단에서는 통합학습이 리더십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둘째, 통합학습의 유용성에 대한 사후 설문조사 결과 및 핵심면담 대상자집단과의 면담 결과, 통합학습의 체제(사전학습, 오프라인 교육, 현장적용 학습, 온라인 교육)에 대해 리더십 역량이 향상된 사람은 오프라인 교육, 온라인 교육, 현장적용 학습, 사전학습 순으로 통합학습 효과에 유용하였다고 진술한 반면, 리더십 역량이 향상되지 않은 사람은 오프라인 교육만이 유용하였고 나머지 단계에 대해서는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또한 통합학습의 유용성과 관련된 사후 설문 결과, 통합학습 체제 중 오프라인 교육과 온라인 교육은 각각 평균적으로 통합학습 진행에 있어서 유용하였고, 학습자의 기대수준에 부응하였으며 내용들과 활동들이 서로 적절하게 연관되었다는 의견이 나타났다.셋째, 통합학습의 성과에 대해서는 통합학습 방식의 리더십 교육 후 리더십 역량에 구체적인 행동이나 활동의 변화가 있었다는 평가가 가장 많았으며, 직무상의 행동변화, 회사의 경영성과 달성에 도움, 현업활용에 유용, 실천계획 실행 순으로 통합학습의 성과에 대한 학습자의 의견이 나타났다.넷째, 통합학습 모형의 효과성과 관련해서는 직접 선형 모형을 경험한 학습자의 설문 및 면담 결과, 통합학습의 모형은 선형 모형이 방사 모형보다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이 많았다.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 본 연구는 통합학습 방식으로 운영한 사례 프로그램에 대한 다각적 분석을 통해 통합학습 효과에 영향을 주는 특성을 분석하여 통합학습의 효과성 검증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통합학습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체제적 분석을 통한 실제적 평가 방안은 단순히 학습의 만족도 또는 이해도 평가만으로 교육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과는 달리 다양한 학습방식의 결과 및 학습자의 지각까지 포괄한다는 점에서 향후 통합학습의 효과성에 대한 현실적인 평가 방안으로서 시사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를 출발점으로 통합학습의 효과에 대해 보다 심도 있게 평가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다양한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