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애단계별 문화예술교육 효과지표 개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Effective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260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의 생애단계를 고려한 효과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차로 5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5차례에 걸쳐 자문회의를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 효과지표의 프 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2차적으로 타당도 검증을 위해 총 14명의 문화예술교육 전문가를 대상 으로 2차례에 걸쳐 델파이를 실시하였다. 3차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업담당자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지표를 개발하였다. 문화예술교육 효과지표 중 문화예술감수성, 문화 예술친숙성은 유아, 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 등 모든 생애단계에 공통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핵 심지표로 선정되었다. 문화예술교육 효과지표 중 특수지표는 유아에게는 행복감, 문화수용력, 자 기표현력이, 아동에게는 행복감, 창의성, 자기표현력이, 청소년에게는 소통능력, 자아존중감, 자 기조절력이, 성인에게는 공감능력, 행복감, 자기표현력이, 노인에게는 행복감, 소통능력, 친밀감 이 중요한 효과지표로 선정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의 생애단계를 고려한 효과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차로 5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5차례에 걸쳐 자문회의를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 효과지표의 ...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의 생애단계를 고려한 효과지표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차로 5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5차례에 걸쳐 자문회의를 실시하여 문화예술교육 효과지표의 프 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2차적으로 타당도 검증을 위해 총 14명의 문화예술교육 전문가를 대상 으로 2차례에 걸쳐 델파이를 실시하였다. 3차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사업담당자를 대상으로 FGI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지표를 개발하였다. 문화예술교육 효과지표 중 문화예술감수성, 문화 예술친숙성은 유아, 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 등 모든 생애단계에 공통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핵 심지표로 선정되었다. 문화예술교육 효과지표 중 특수지표는 유아에게는 행복감, 문화수용력, 자 기표현력이, 아동에게는 행복감, 창의성, 자기표현력이, 청소년에게는 소통능력, 자아존중감, 자 기조절력이, 성인에게는 공감능력, 행복감, 자기표현력이, 노인에게는 행복감, 소통능력, 친밀감 이 중요한 효과지표로 선정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실제적인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effectiveness indicator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considering life stages. For this, firstly, the researchers conducted consultation meeting over five times and developed the prototype of the effectiveness indicator. Secondly, delphi method was executed two times for validation for fourteen culture and art education experts. Thirdly, FGI was conducted for business staffs of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d final version of the effectiveness indicator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Core indicators from culture and art education effectiveness ones such as culture and art sensitivity and culture and art familiarity were the indicators for all life stages including childhood, adolescence, adulthood, and elderhood. Special indicators from culture and art education effectiveness ones were a feeling of well-being, cultural capacity, and self-expression for childhood, communication skill,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for adolescence, empathy ability, a feeling of well-being, and self-expression for adulthood, and happiness, communication skills, and a sense of closeness for elderhoo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increase the effectives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ased on this research.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effectiveness indicator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considering life stages. For this, firstly, the researchers conducted consultation meeting over five times and developed the prototype of the effectiv...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effectiveness indicator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considering life stages. For this, firstly, the researchers conducted consultation meeting over five times and developed the prototype of the effectiveness indicator. Secondly, delphi method was executed two times for validation for fourteen culture and art education experts. Thirdly, FGI was conducted for business staffs of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nd final version of the effectiveness indicator for culture and art education. Core indicators from culture and art education effectiveness ones such as culture and art sensitivity and culture and art familiarity were the indicators for all life stages including childhood, adolescence, adulthood, and elderhood. Special indicators from culture and art education effectiveness ones were a feeling of well-being, cultural capacity, and self-expression for childhood, communication skill, self-esteem, and self-regulation for adolescence, empathy ability, a feeling of well-being, and self-expression for adulthood, and happiness, communication skills, and a sense of closeness for elderhoo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o increase the effectivess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based on this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효과 Ⅲ. 연구절차 및 방법 Ⅳ. 연구결과 Ⅴ. 제언
      • Ⅰ. 서론 Ⅱ.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효과 Ⅲ. 연구절차 및 방법 Ⅳ. 연구결과 Ⅴ.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2 박소연, "학교문화예술교육 효과모델 탐색 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11 (11): 31-52, 2016

      3 고경자, "문화예술교육이 학습자의 정서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09

      4 김용주, "문화예술교육 장기 성과평가모형 구축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9

      5 이윤조, "경기도 평생학습 행복지수 활용방안 연구"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2015

      6 Kindler, A. M.,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acquisition of drawing skills : A cross-cultural study" 13 : 85-, 1995

      7 Slavin, J., "Witnesses to the endtime: The holocaust as art-part 1" (98) : 4-, 1994

      8 Guilford, J. P., "Way beyond the ZQ" Creative Educational Foundation 1977

      9 Douglas, H. F., "Voice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art museum programming: A person-centered approach" The University of Arizona 2015

      10 Flaherty, E. R., "Voices of Returning Adult Community College Studio Art Majors:Perceptions and Motivations" Temple University 2014

      1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연차보고서 2017"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8

      2 박소연, "학교문화예술교육 효과모델 탐색 연구" 한국문화교육학회 11 (11): 31-52, 2016

      3 고경자, "문화예술교육이 학습자의 정서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09

      4 김용주, "문화예술교육 장기 성과평가모형 구축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09

      5 이윤조, "경기도 평생학습 행복지수 활용방안 연구"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2015

      6 Kindler, A. M.,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acquisition of drawing skills : A cross-cultural study" 13 : 85-, 1995

      7 Slavin, J., "Witnesses to the endtime: The holocaust as art-part 1" (98) : 4-, 1994

      8 Guilford, J. P., "Way beyond the ZQ" Creative Educational Foundation 1977

      9 Douglas, H. F., "Voices of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art museum programming: A person-centered approach" The University of Arizona 2015

      10 Flaherty, E. R., "Voices of Returning Adult Community College Studio Art Majors:Perceptions and Motivations" Temple University 2014

      11 Dahlberg, T. S., "Think and be heard: Creativity, aging, and community engagement" 2002

      12 Cromer, J. L., "The influence of verbal language on aesthetic performance" 28 (28): 14-18, 1975

      13 Althouse, R., "The colors of learning: Integrating the visual arts into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Vol. 85)" Teachers College Press 2003

      14 Diket, R. M., "The arts contribution to adolescent learning" 39 (39): 173-177, 2003

      15 Hetland, L., "The arts and academic achievement : What the evidence shows" 102 (102): 3-6, 2001

      16 Hutchison, B., "The Role of Music Among Healthy Older Performance Musicians" North Dakota State University 2016

      17 Murray, G. C., "The Lure of Non-credit Studio Art Classes for Adult Learners" Auburn University 2012

      18 Dalkey, N. C., "The Delphi method: An experimental study of group opinion" RAND CORP SANTA MONICA CALIF 1969

      19 Grytting, C., "The Benefits of Art Education. Forum : Thoughts To Share" 127 (127): 66-, 2000

      20 Roey, S., "The 1998 High School Transcript Study Tabulations: Comparative Data on Credits Earned and Demographics for 1998, 1994, 1990, 1987, and 1982High School Graduates" 2001

      21 Domingues, M. A., "Social Support Network for the Elderly Attending the Open University Program for Senior Citizens at the School of Arts, Sciences and Humanities, University of São Paulo, Brazil" 39 (39): 209-221, 2013

      22 Cohen, G., "New theories and research findings on the positive influence of music and art on health with ageing" 1 (1): 48-62, 2009

      23 Persky, H.,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progress:2002 report card for the nation and the states" US Department of Education 2003

      24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 "National Visual Arts Standards" National Art Education Association 1995

      25 Ballengee-Morris, C., "Multicultural art and visual cultural education in a changing world" 54 (54): 6-13, 2001

      26 Gardiner, M. F., "Learning improved by arts training" 381 : 284-, 1996

      27 Arteaga, A. M. J., "Increasing empathy with adults using empathy focused art-making directives" Notre Dame de Namur University 2016

      28 Douglas, N. J., "Increasing awareness of art ideas of young children through guided experiences with ceramics" 8 (8): 2-9, 1967

      29 Kennedy, R., "Guggenheim study suggests arts education benefits literacy skills"

      30 Schlaug, G., "From singing to speaking : facilitating recovery from nonfluent aphasia" 5 (5): 657-665, 2010

      31 Hanna, G., "Focus on creativity and aging in the United States" 30 (30): 47-49, 2006

      32 Nagel, I., "Effects of art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s on cultural participation in later life" 16 (16): 325-331, 1997

      33 Burton, J. M., "Developing Minds : Beginnings of Artistic Language" 80 (80): 6-12, 1980

      34 Lowenfeld, V., "Current research on creativity" 47 : 538-540, 1958

      35 Deasy, R. J., "Critical links: Learning in the arts and student academic and social development" Arts Education Partnership

      36 Holford, A., "Creative opportunities for patients' wellbeing" 21 (21): 16-20, 2011

      37 Engel, B. S., "Considering children's art: Why and how to value their works"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NAEYC) 1995

      38 Bishow-Semevolos, J., "Combining Art Therapy and Adventure Based Counseling" Hofstra University 2012

      39 Gardner, H., "Artistic intelligences" 36 (36): 47-49, 1983

      40 Seefeldt, C., "Art--A Serious Work" 50 (50): 39-45, 1995

      41 Regan, J., "Art, occupation and play" 55 : 2006

      42 Alkema, C. J., "Art for the exceptional" Pruett Publishing Company 1971

      43 Gardner, H., "Art education and human development(Vol. 3)" Getty Publications 1990

      44 Ledger, A. J., "An investigation of long-term effects of group music therapy on agitation levels of people with Alzheimer's Disease" 11 (11): 330-338, 2007

      45 Kerka, S., "Adult Learning in the and through the arts"

      46 Stinson, S. W., "A question of fun : Adolescent engagement in dance education" 29 (29): 49-69, 1997

      47 Lawshe, C. H.,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1" 28 (28): 563-575, 1975

      48 Bradley, W. R., "A preliminary study of the effect of verbalization and personality orientation on art quality" 9 (9): 31-37, 1968

      49 Hogg, J. C., "A pilot research in aesthetic education" 9 (9): 52-59, 1968

      50 Efland, A., "A history of art education: Intellectual and social currents in teaching the visual arts" Teachers College Press 1990

      51 박소연, "2017 문화예술교육 효과세부지표 구축 및 조사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7

      52 윤혜란, "2016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6

      53 송재옥, "2016 문화예술교육 효과지표 구축 기초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7

      54 윤종현, "2016 문화예술교육 현황조사 체계 구축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7

      55 윤혜란, "2015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56 장현선, "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4

      57 박소연, "2014 예술강사지원사업 효과분석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4

      58 임영식, "2014 소년원학교 대상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59 김세준, "2014 사회문화예술교육 현황 조사(2013년 기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5

      60 백령, "2014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성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4

      61 최도인, "2014 꿈의 오케스트라 공연 효과성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4

      62 임영식, "2013 토요문화학교 사회적 효과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4

      63 김붕년, "2013 융합적 접근을 통한 문화예술교육 효과 분석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4

      64 박소연, "2013 예술강사 지원사업 효과분석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65 정현수, "2013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4

      66 이정윤, "2012 학교폭력 예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67 김소영, "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토요문화학교 운영사업"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68 임영식, "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 노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69 정문성, "2012 문화예술교육 효과 분석 : 예술꽃씨앗학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70 오성호, "2012 문화예술교육 성과평가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71 백령, "2012 문화기반시설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실태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3

      72 정문성, "201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 : 예술꽃 씨앗학교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73 임영식, "2011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 : 교정시설/소년원학교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2

      74 정익중, "2011 꿈의 오케스트라 학습영향평가 모델 개발 연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75 박민규, "2010 문화예술교육 통계 조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8-04-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교육학회 -> 한국문화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Education (KSCE) -> The Korean Society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1.01 1.133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