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례·단문)民事訴訟法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874689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유스티니아누스, 2003

      • 발행연도

        2003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47.51905 판사항(20)

      • ISBN

        8987245837 13360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사례·단문)民事訴訟法 / 김남근 編.

      • 판사항

        제3판

      • 형태사항

        xxiii, 621 p. ; 25 cm.

      • 소장기관
        • 경희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동아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법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서울시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성균관대학교 중앙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숭실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아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조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한양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부록(사시기출문제 및 참고판례) = 549
      • 제1부 사례
      • 1. 管轄違反과 移送 = 3
      • Ⅰ. 問題의 提起 = 3
      • 목차
      • 부록(사시기출문제 및 참고판례) = 549
      • 제1부 사례
      • 1. 管轄違反과 移送 = 3
      • Ⅰ. 問題의 提起 = 3
      • Ⅱ. 設問(1)에 대하여 = 4
      • Ⅲ. 設問(2)에 대하여 = 4
      • Ⅳ. 設問(3)에 대하여 = 5
      • Ⅴ. 結論 = 7
      • 2. 訴狀의 適式과 訴의 適法의 問題 = 8
      • Ⅰ. 問題의 提起 = 8
      • Ⅱ. 訴狀의 適式 與否 = 8
      • Ⅲ. 甲이 訴訟代理人을 選任한 行爲의 有效性 與否 = 10
      • Ⅳ. 辯護士 資格 없는 丙의 訴訟代理人 資格 與否 = 12
      • Ⅴ. 結論 = 13
      • 3. 當事者의 死亡과 訴訟節次의 中斷 = 14
      • Ⅰ. 問題의 提起 = 14
      • Ⅱ. 上告의 適法性 與否 = 15
      • Ⅲ. 受繼申請의 適法性 = 17
      • Ⅳ. 原審判決의 破棄 可能性 = 18
      • Ⅴ. 結論 = 18
      • 4. 組合의 訴訟遂行方法 = 19
      • Ⅰ. 問題의 提起 = 19
      • Ⅱ. 組合의 當事者能力을 認定할 수 있는가? = 20
      • Ⅲ. 組合의 業務執行組合員인 A에게 當事者適格을 認定할 수 있는가? = 20
      • Ⅳ. 組合을 相對로 債務의 履行을 求하는 訴訟이 必要的 共同訴訟인가? = 22
      • Ⅴ. 通常의 共同訴訟에서도 主觀的·追加的 倂合이 가능한가? = 23
      • Ⅵ. 결론 = 23
      • 5. 株主總會 不存在確認의 訴와 債權者代位訴訟에 있어서 當事者適格 = 24
      • Ⅰ. 問題의 提起 = 24
      • Ⅱ. 株主總會 不存在確認의 訴의 被告適格者가 누가 되어야 하는가? = 25
      • Ⅲ. 甲의 職務執行停止와 職務代行者 選任 假處分申請의 被告適格者는 누구인가? = 26
      • Ⅳ. 債權者 乙에게 原告에게도 團體 內部 分爭인 株主總會決意 不存在確認訴訟의 原告適格이 있을 수 있는가? = 27
      • Ⅴ. 債權者代位訴訟에서 被保全債權이 不存在하는 경우 法院은 어떻게 判決해야 하는가? = 28
      • Ⅵ. 結論 = 29
      • 6. 旣判力의 基準時와 將來 履行의 訴의 利益 = 30
      • Ⅰ. 問題의 提起 = 30
      • Ⅱ. 設問(1)에 대하여 = 31
      • Ⅲ. 設問(2)에 대하여 = 33
      • Ⅳ. 結論 = 35
      • 7. 將來 履行의 訴의 對象適格, 辯論終結 後의 借賃 上昇의 問題 = 36
      • Ⅰ. 問題의 提起 = 36
      • Ⅱ. 設問(1)에 대하여 = 37
      • Ⅲ. 設問(2)에 대하여 = 39
      • Ⅳ. 結論 = 41
      • 8. 訴의 利益 = 42
      • Ⅰ. 問題의 提起 = 42
      • Ⅱ. 設問(1) = 43
      • Ⅲ. 設問(2) = 44
      • Ⅳ. 設問(3) = 44
      • Ⅴ. 設問(4) = 45
      • Ⅵ. 結論 = 46
      • 9. 重複提訴 = 47
      • Ⅰ. 問題의 提起 = 47
      • Ⅱ. 重複提訴禁止의 意義 및 該當要件 = 48
      • Ⅲ. 設問(1)에 관하여 = 49
      • Ⅳ. 設問(2)에 대하여 = 50
      • Ⅴ. 設問(3)에 대하여 = 51
      • Ⅵ. 結論 = 52
      • 10. 重複提訴와 訴訟要件의 검토 순서 = 53
      • Ⅰ. 問題의 提起 = 53
      • Ⅱ. 後訴인 履行의 訴를 重複提訴로 訴 각하 判決을 해야 하는가? = 54
      • Ⅲ. 후소인 2,000만원 대여금이행의 소의 청구가 정당한가? = 56
      • Ⅳ. 訴訟要件인 重複提訴 與否와 本案의 當否 與否의 판단 순서 = 57
      • Ⅴ. 結論 = 57
      • 11. 建物買受請求權의 行使와 法院의 判決, 旣判力의 차단 = 58
      • Ⅰ. 問題의 提起 = 58
      • Ⅱ. 設問(1) - 乙의 建物買受請求權 行使가 失機한 防禦方法인지 與否 = 59
      • Ⅲ. 設問(1) - 抗訴審法院의 釋明義務 違反 與否 = 61
      • Ⅳ. 設問(2) - 建物買受請求權의 行使가 旣判力에 의해 遮斷되는지 與否 = 63
      • Ⅴ. 結論 = 65
      • 12. 主張責任, 選擇的 倂合 = 66
      • Ⅰ. 問題의 提起 = 66
      • Ⅱ. 約束어음금청구와 貸與金청구의 倂合의 性質 = 67
      • Ⅲ. 乙의 代理人 甲과 丙간의 契約締結事實이 主要事實인지 與否 = 68
      • Ⅳ. 甲이 主張責任을 다 했는지 與否 = 70
      • Ⅴ. 丁이 代理人 甲과 丙 사이의 契約締結事實을 立證했는지의 與否 = 71
      • Ⅵ. 結論 = 72
      • 13. 準備書面 不提出의 效果와 先決的 法律關係의 拘束力 = 73
      • Ⅰ. 問題의 提起 = 73
      • Ⅱ. 設問(1)에 대하여 = 74
      • Ⅲ. 設問(2)에 대하여 = 75
      • Ⅳ. 結論 = 78
      • 14. 否認과 抗辯 = 79
      • Ⅰ. 問題의 提起 = 80
      • Ⅱ. 丁에 대한 請求 중 甲의 持分 部分에 대한 判斷 = 80
      • Ⅲ. 丁에 대한 請求 중 乙의 持分 部分에 대한 判斷 = 83
      • Ⅳ. 丙에 대한 請求에 관한 判斷 = 83
      • Ⅴ. 結論 = 84
      • 15. 訴取下 契約, 判決의 騙取 = 85
      • Ⅰ. 問題의 提起 = 86
      • Ⅱ. 設問(1) - 소취하계약의 적법성과 소취하계약의 성질 = 86
      • Ⅲ. 設問(1)에서 法院의 判決이 있은 後 甲이 위 貸與金에 대한 利子債務를 별소로 제기한 경우 再訴禁止에 해당하는가? = 87
      • Ⅳ. 設問(3)에서 甲이 訴取下를 하지 않아 甲의 請求가 전부 인용되는 判決이 있은 경우 乙이 취할 수 있는 法的 救濟手段은 어떠한 것이 있는가? = 89
      • Ⅴ. 結論 = 92
      • 16. 訴訟行爲의 撤回와 取消 = 93
      • Ⅰ. 問題의 提起 = 93
      • Ⅱ. 詐欺에 의한 訴取下의 取消와 可能性 = 94
      • Ⅲ. 訴訟行爲의 撤回 可能性 - 拘束的 訴訟行爲의 訴取下인 경우 = 94
      • Ⅳ. 訴訟行爲의 取消可能性 = 95
      • Ⅴ. 別訴의 提起 可能性 = 96
      • Ⅵ. 期日指定申請에 의한 前訴訟과 別訴의 關係 = 97
      • Ⅶ. 結論 = 98
      • 17. 辯論主義와 自由心證主義의 相互關係 = 99
      • Ⅰ. 問題의 提起 = 99
      • Ⅱ. 辯論主義의 內容과 그 制限 = 100
      • Ⅲ. 自由心證主義의 內容과 그 制限 = 101
      • Ⅳ. 辯論主義와 自由心證主義의 相互關係 = 103
      • Ⅴ. 法院의 判斷의 當否 = 104
      • Ⅵ. 結論 = 104
      • 18. 自由心證主義의 內容과 制限 = 105
      • Ⅰ. 序說 = 105
      • Ⅱ. 自由心證主義의 內容 = 106
      • Ⅲ. 自由心證主義의 限界 = 107
      • Ⅳ. 自由心證主義의 制限 = 108
      • Ⅴ. 自由心證主義의 例外 = 110
      • Ⅵ. 辯論主義와 관련한 自由心證主義의 制限 = 111
      • Ⅶ. 結論 = 112
      • 19. 立證責任의 原則과 補完 = 113
      • Ⅰ. 序說 = 113
      • Ⅱ. 立證責任의 分配 = 114
      • Ⅲ. 立證責任의 轉換과 緩和 = 115
      • Ⅳ. 證據開示制度 = 119
      • Ⅴ. 結論 = 120
      • 20. 先決的 法律關係의 自白, 書證의 證據力 = 121
      • Ⅰ. 問題의 提起 = 121
      • Ⅱ. 제1심 判決의 適法 與否 = 122
      • Ⅲ. 抗訴審 法院의 賃借權抗辯의 認定 與否 = 123
      • Ⅳ. 抗訴審 法院의 判決 = 126
      • Ⅴ. 結論 = 126
      • 21. 代償請求, 書證의 形式的·實質的 證據力 = 127
      • Ⅰ. 問題의 提起 = 127
      • Ⅱ. 甲·乙間 和解契約書의 證據能力의 問題 = 128
      • Ⅲ. 甲·乙間 和解契約書의 形式的 證據力의 問題 = 128
      • Ⅳ. 甲·乙間 和解契約書의 實質的 證據力 問題 = 129
      • Ⅴ. 自動車 引渡訴訟과 引渡不能時 損害賠償訴訟의 關係 = 130
      • Ⅵ. 結論 = 131
      • 22. 先決問題와 再訴禁止, 旣判力 = 132
      • Ⅰ. 問題의 提起 = 132
      • Ⅱ. 設問(1) = 133
      • Ⅲ. 設問(2) = 134
      • Ⅳ. 設問(3) = 135
      • Ⅴ. 結論 = 137
      • 23. 再訴禁止와 不利益變更禁止의 원칙 = 138
      • Ⅰ. 問題의 提起 = 138
      • Ⅱ. 제1심 判決 取消의 適否 = 139
      • Ⅲ. 請求棄却 判決의 正當性 = 140
      • Ⅳ. 結論 = 142
      • 24. 相計抗辯의 判斷과 旣判力 = 143
      • Ⅰ. 問題의 提起 = 143
      • Ⅱ. 設問(1)에 대하여 = 144
      • Ⅲ. 設問(2)에 대하여 = 144
      • Ⅳ. 設問(3)에 대하여 = 145
      • Ⅴ. 結論 = 147
      • 25. 녹음테이프의 證據能力, 辯論終結 後의 承繼人 = 149
      • Ⅰ. 問題의 提起 = 150
      • Ⅱ. 前訴의 判斷 = 151
      • Ⅲ. 後訴의 丁에 대한 請求의 判斷 = 153
      • Ⅳ. 後訴의 戊에 대한 請求에 관한 判斷 = 154
      • Ⅴ. 結論 = 156
      • 26. 判決의 騙取 = 157
      • Ⅰ. 問題의 提起 = 157
      • Ⅱ. 設問(1) = 158
      • Ⅲ. 設問(2) = 159
      • Ⅳ. 結論 = 160
      • 27. 破棄還送 後 抗訴取下의 效力 = 161
      • Ⅰ. 問題의 提起 = 161
      • Ⅱ. 抗訴審 判決의 適法 與否 = 162
      • Ⅲ. 破棄還送 後 抗訴取下의 效力 = 163
      • Ⅳ. 大法院의 判決 = 164
      • Ⅴ. 事案의 解決 = 165
      • 28. 抗訴審의 必要的 還送判決과 還送判決의 性質 = 166
      • Ⅰ. 問題의 提起 = 166
      • Ⅱ. 設問(1) = 167
      • Ⅲ. 設問(2) = 169
      • Ⅳ. 設問(3) = 170
      • Ⅴ. 結論 = 171
      • 29. 共同訴訟의 訴訟形態와 訴訟遂行의 方法 = 172
      • Ⅰ. 問題의 提起 = 172
      • Ⅱ. 訴訟의 形態 = 173
      • Ⅲ. 訴訟遂行의 方法 = 174
      • Ⅳ. 訴訟遂行上 問題點 = 175
      • Ⅴ. 立證責任의 轉換과 緩和 = 176
      • Ⅵ. 結論 = 179
      • 30. 通常의 共同訴訟, 訴의 主觀的·豫備的 倂合 = 180
      • Ⅰ. 問題의 提起 = 180
      • Ⅱ. 丙에 대한 請求와 관련하여 乙의 主張·立證行爲가 丙에게도 영향을 미치는가? = 181
      • Ⅲ. 乙에 대한 請求에 대한 判斷 = 184
      • Ⅳ. 丁에 대한 請求에 대한 判斷 = 185
      • Ⅴ. 結論 = 187
      • 31. 履行의 訴에 있어서의 被告適格과 訴의 主觀的·豫備的 倂合 = 188
      • Ⅰ. 問題의 提起 = 189
      • Ⅱ. 設問(1)에서 乙에 대한 請求의 判斷 = 189
      • Ⅲ. 設問(1)에서 丙에 대한 請求의 判斷 = 190
      • Ⅳ. 設問(2)에 대하여 = 193
      • Ⅴ. 結論 = 196
      • 32. 共同訴訟參加 = 197
      • Ⅰ. 問題의 提起 = 197
      • Ⅱ. 戊의 共同訴訟參加의 適法 與否 = 198
      • Ⅲ. 甲의 丁에 대한 物品代金請求의 주장이 戊에게도 영향을 미치는가? = 200
      • Ⅳ. 壓의 主張에 대한 丁의 辨濟의 抗辯으로 甲의 主張이 立證되었는가? = 201
      • Ⅴ. 結論 = 201
      • 33. 獨立當事者參加訴訟의 諸問題 = 202
      • Ⅰ. 問題의 提起 = 202
      • Ⅱ. 丙의 獨立當事者參加는 적법한가? = 203
      • Ⅲ. 抗訴審은 丙에 대한 訴訟關係도 判斷하여 丙의 勝訴判決을 할 수 있는가? = 205
      • Ⅳ. 丙은 甲에 대하여도 乙에 대한 所有權移轉登記請求權을 주장할 수 있는가? = 207
      • Ⅴ. 結論 = 208
      • 34. 當事者變更, 引受承繼, 辯論終結 後의 承繼人 = 209
      • Ⅰ. 問題의 提起 = 209
      • Ⅱ. 設問(1)의 경우 = 210
      • Ⅲ. 設問(2)의 경우 = 211
      • Ⅳ. 設問(3)의 경우 = 213
      • Ⅴ. 結論 = 214
      • 35. 請求의 倂合과 上訴의 利益, 一部請求 = 215
      • Ⅰ. 問題의 提起 = 215
      • Ⅱ. 甲의 乙에 대한 不法行爲에 기한 損害賠償請求訴訟의 訴訟物 = 216
      • Ⅲ. 財産的 損害의 請求 部分은 分離 確定되는가? = 217
      • Ⅳ. 全部勝訴한 財産的 損害 部分의 請求趣旨 擴張을 위한 上訴가 可能한가? = 219
      • Ⅴ. 請求의 變更與否와 請求의 變更의 要件 = 220
      • Ⅵ. 結論 = 221
      • 36. 豫備的 倂合에서의 一部判決, 不利益變更禁止 = 222
      • Ⅰ. 問題의 提起 = 223
      • Ⅱ. 設問(1) = 223
      • Ⅲ. 設問(2) = 225
      • Ⅳ. 結論 = 227
      • 37. 訴의 變更, 引受承繼 = 228
      • Ⅰ. 問題의 提起 = 229
      • Ⅱ. 第1審 判決의 適法 與否 = 229
      • Ⅲ. 丙의 訴訟上의 地位와 賃貸借契約書 提出의 却下 與否 = 232
      • Ⅳ. 丙의 訴訟行爲가 乙에게도 영향을 미치는가? = 232
      • Ⅴ. 結論 = 235
      • 38. 反訴의 適法要件 = 236
      • Ⅰ. 問題의 提起 = 236
      • Ⅱ. 設問(1)에 대하여 - 反訴의 要件 = 237
      • Ⅲ. 設問(2)에 대하여 = 239
      • Ⅳ. 結論 = 241
      • 39. 相計抗辯의 諸問題 = 242
      • Ⅰ. 問題의 提起 = 242
      • Ⅱ. 設問(1) = 243
      • Ⅲ. 設問(2) = 244
      • Ⅳ. 設問(3) = 245
      • Ⅴ. 設問(4) = 245
      • Ⅵ. 結論 = 246
      • 40. 債權者代位訴訟의 諸問題 = 247
      • Ⅰ. 問題의 提起 = 247
      • Ⅱ. 設問(1) = 248
      • Ⅲ. 設問(2) = 249
      • Ⅳ. 設問(3) = 250
      • Ⅴ. 設問(4) = 251
      • 41. 補助參加人과 共同訴訟的 補助參加人의 地位 比較 = 252
      • Ⅰ. 問題의 提起 = 252
      • Ⅱ. 補助參加와 共同訴訟的 補助參加의 意義 = 252
      • Ⅲ. 補助參加人의 地位 = 253
      • Ⅳ. 明文化 = 255
      • Ⅴ. 結語 = 255
      • 42. 處分權主義, 訴訟物理論, 一部請求 등 = 256
      • Ⅰ. 問題의 提起 = 256
      • Ⅱ. 設問(1) = 257
      • Ⅲ. 設問(2) = 259
      • Ⅳ. 設問(3) = 260
      • Ⅴ. 結論 = 262
      • 43. 醫療訴訟에서의 證據偏在의 問題와 이에 대한 救濟策 = 263
      • Ⅰ. 問題의 提起 = 263
      • Ⅱ. 立證責任의 分配 = 264
      • Ⅲ. 立證責任의 轉換과 緩和 = 266
      • Ⅳ. 證據開示制度 = 269
      • Ⅴ. 結論 = 271
      • 44. 職權調査事項과 請求의 認諾의 許容 與否 = 272
      • Ⅰ. 問題의 提起 = 272
      • Ⅱ. 設問(1)에 대하여 = 273
      • Ⅲ. 設問(2)에 대하여 = 275
      • Ⅳ. 設問(3)에 대하여 = 276
      • Ⅴ. 結論 = 278
      • 45. 一部請求의 諸問題 = 279
      • Ⅰ. 序 = 279
      • Ⅱ. 一部 請求의 許容 與否와 訴訟物의 個數, 旣判力의 範圍, 時效中斷의 範圍 = 279
      • Ⅲ. 一部 請求 繫屬中 殘部請求가 提起된 경우의 重複提訴의 該當 與否 = 281
      • Ⅳ. 一部 請求와 殘部請求理論의 適用이 問題되는 경우 = 281
      • Ⅴ. 一部 請求와 關聯한 其他 法律問題 = 283
      • 46. 死者를 상대로 한 訴訟의 諸問題 = 285
      • Ⅰ. 序 = 285
      • Ⅱ. 提訴 前에 死亡한 경우 = 286
      • Ⅲ. 提訴 後 訴訟副本送達前에 死亡한 경우 = 287
      • Ⅳ. 訴訟係屬 後 辯論終結 前에 死亡한 경우 = 287
      • Ⅴ. 辯論終結後에 死亡한 경우 = 288
      • 47. 債權者代位訴訟에 관련한 訴訟上의 問題點들에 대하여 논하라. = 289
      • Ⅰ. 序 = 289
      • Ⅱ. 訴訟要件의 檢討 = 289
      • Ⅲ. 債權者代位訴訟과 旣判力 = 291
      • Ⅳ. 債權者代位訴訟과 共同訴訟形態 = 292
      • Ⅴ. 債權者代位訴訟과 第3者 參加의 問題 = 293
      • 48. 訴訟上의 相計抗辯과 관련된 諸問題에 대하여 논하라. = 295
      • Ⅰ. 序說 = 295
      • Ⅱ. 訴訟外 相計와 相計의 主張 = 295
      • Ⅲ. 訴訟에서 相計의 意思表示를 한 경우 = 296
      • Ⅳ. 訴訟節次에 따른 相計抗辯의 效果 = 297
      • Ⅴ. 相計抗辯의 旣判力 = 299
      • Ⅵ. 相計抗辯과 上訴 = 301
      • 49. 訴訟進行中 當事者는 어떠한 경우에 訴訟에서 脫退할 수 있는가? 또한, 그 裁判의 結果는 脫退한 當事者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는가? = 303
      • Ⅰ. 序 = 303
      • Ⅱ. 性質 = 303
      • Ⅲ. 要件 = 304
      • Ⅳ. 效果 = 305
      • Ⅴ. 選定當事者의 경우 = 306
      • 50. 先決的 法律關係의 訴訟上의 諸問題 = 307
      • Ⅰ. 序 = 307
      • Ⅱ. 中間確認의 訴의 對象 = 308
      • Ⅲ. 先決的 法律關係에 관한 自白의 效力(狹義의 權利自白) = 308
      • Ⅳ. 先決的 法律關係와 旣判力 = 309
      • Ⅴ. 其他 = 310
      • 51. 組合의 訴訟上의 地位와 訴訟遂行의 方法 = 312
      • Ⅰ. 序 = 312
      • Ⅱ. 組合의 當事者能力 認定 與否 = 313
      • Ⅲ. 選定當事者制度 = 313
      • Ⅳ. 任意的 訴訟擔當 = 314
      • Ⅴ. 訴訟代理人制度 = 314
      • Ⅵ. 結語 = 315
      • 52. 集中審理主義 = 316
      • Ⅰ. 問題의 提起 = 317
      • Ⅱ. 현행 民事訴訟法上 集中審理主義의 내용 = 317
      • Ⅲ. 民事訴訟規則 = 318
      • Ⅳ. 其他 = 319
      • Ⅴ. 前提條件과 立法例 = 319
      • Ⅵ. 結論的 考察 = 319
      • 53. 國際管轄과 執行判決의 承認問題 = 321
      • Ⅰ. 問題의 提起 = 321
      • Ⅱ. 外國判決에 대한 執行判決의 要件 = 322
      • Ⅲ. 미국연방지방법원이 이 사건과 관련하여 裁判權이 있는지(國際管轄의 問題) = 322
      • Ⅳ. 甲이 미국연방지방법원의 裁判에 參加하지 않았는데 執行判決의 要件中 (3)의 요건과 관련하여 甲의 防禦權이 保障되었다고 볼 수 있는지 與否 = 325
      • Ⅴ. 懲罰的 損害賠償과 公序良俗 違反의 問題 = 327
      • Ⅵ. 事案의 解決 = 328
      • 54. 國際管轄과 外國裁判의 承認問題 = 329
      • Ⅰ. 問題의 提起 = 329
      • Ⅱ. 設問(1)에 대하여 = 330
      • Ⅲ. 設問(2)와 관련하여 = 332
      • Ⅳ. 結論 = 335
      • 55. 共同訴訟參加 = 336
      • Ⅰ. 問題의 所在 = 336
      • Ⅱ. A은행의 訴訟參加의 法的 性格과 重複提訴의 該當 與否 = 337
      • Ⅲ. 代表理事 丙의 代表者適格 有無 = 339
      • Ⅳ. 被參加人의 訴訟이 却下될 것이 확실히 豫定되어 있는 경우에도 共同訴訟參加가 適法한지 與否 = 340
      • Ⅴ. 抗訴審에서 共同訴訟參加申請의 適法性 = 341
      • Ⅵ.事案의 解決 = 341
      • 56. 當事者 確定과 當事者表示訂正 등 = 342
      • Ⅰ. 問題의 所在 = 342
      • Ⅱ. 當事者確定 = 342
      • Ⅲ. 가수분과위원회의 當事者能力 = 343
      • Ⅳ. 當事者表示訂正의 認定 與否 = 344
      • Ⅴ. 事案의 解決 = 345
      • 57. 代表權 欠缺과 再審事由 = 346
      • Ⅰ. 問題의 所在 = 346
      • Ⅱ. 宗中의 當事者能力과 訴訟遂行方法 = 346
      • Ⅲ. 代表權欠缺의 效果 = 347
      • Ⅳ. 事案의 解決 = 348
      • 58. 遺言執行者의 訴訟上의 地位 = 349
      • Ⅰ. 問題點 = 349
      • Ⅱ. 第3者의 訴訟擔當 = 349
      • Ⅲ. 遺言執行者가 法令上 訴訟代理人인지 法定訴訟擔當者인지 = 350
      • Ⅳ. 事案의 解決 = 351
      • 59. 辯論能力의 欠缺 = 352
      • Ⅰ. 問題의 所在 = 352
      • Ⅱ. 選定當事者 甲의 地位 = 352
      • Ⅲ. 辯論能力 欠缺의 取扱 = 353
      • Ⅳ. 選定當事者가 辯論能力을 欠缺한 경우의 取扱 = 355
      • Ⅴ. 事案의 解決 = 356
      • 60. 訴訟能力 등 = 357
      • Ⅰ. 問題의 所在 = 357
      • Ⅱ. 訴訟無能力者 甲의 抗訴의 適法性 = 357
      • Ⅲ. 抗訴審의 判決內容 = 359
      • Ⅳ. 事案의 解決 = 361
      • 61. 法人의 代表者의 地位 = 362
      • Ⅰ. 問題의 所在 = 362
      • Ⅱ. 無權代表의 訴訟上 取扱 = 363
      • Ⅲ. 訴訟行爲에 대해 表現代理規定을 適用할 수 있는지 與否 = 364
      • Ⅳ. 事案의 解決 = 365
      • 62. 債權者代位訴訟과 代位訴訟物이 旣判力에 抵觸되는 경우 = 366
      • Ⅰ. 問題의 所在 = 366
      • Ⅱ. 법원이 甲이 丙에 대하여 直接的인 말소등기절차 이행청구를 하는 것인지 乙을 代位하여 乙의 丙에 대한 말소등기절차 이행청구를 하는 것인지에 대하여 釋明을 구할 義務가 있는가에 대하여 = 367
      • Ⅲ. 乙과 丙 사이의 매매계약의 當事者가 아닌 甲이 매매계약의 無效를 주장하며 위 매매계약에 기한 丙 명의의 登記의 抹消를 구할 當事者適格이 있는가 하는 점에 대하여 = 369
      • Ⅳ. 後訴가 旣判力에 抵觸된다는 主張에 대하여 = 370
      • Ⅴ. 被告 乙에 대한 請求의 判斷 = 372
      • Ⅵ. 事案의 解決 = 372
      • 제2부 단문
      • 1. 訴提起의 方式 = 375
      • Ⅰ. 序說 = 375
      • Ⅱ. 通常의 方式 = 375
      • Ⅲ. 特別한 方式 = 377
      • 2. 合意管轄 = 378
      • Ⅰ. 序說 = 378
      • Ⅱ. 合意管轄의 性質 = 378
      • Ⅲ. 合意管轄의 成立要件 = 378
      • Ⅳ. 合意의 態樣 = 379
      • Ⅴ. 合意의 效力 = 380
      • Ⅵ. 結論 = 381
      • 3. 訴訟의 移送 = 382
      • Ⅰ. 序說 = 382
      • Ⅱ. 移送의 原因 = 382
      • Ⅲ. 移送節次 = 385
      • Ⅳ. 移送의 效果 = 385
      • 4. 將來履行의 訴 = 387
      • Ⅰ. 序說 = 387
      • Ⅱ. 請求適格 = 387
      • Ⅲ. 權利保護의 利益(미리 請求할 必要) = 388
      • Ⅳ. 審判節次 = 389
      • Ⅴ. 執行 = 390
      • 5. 確認의 利益 = 391
      • Ⅰ. 序說 = 391
      • Ⅱ. 對象適格 = 391
      • Ⅲ. 權利保護利益(최협의의 確認의 利益) = 393
      • Ⅳ. 當事者適格 = 394
      • Ⅴ. 欠缺의 效果 = 394
      • 6. 職權調査事項 = 395
      • Ⅰ. 序說 = 395
      • Ⅱ. 職權調査事項의 性質 = 395
      • Ⅲ. 職權調査의 대상 = 396
      • Ⅳ. 職權調査 對象의 設定과 訴訟資料의 收集의 節次 = 396
      • Ⅴ. 證據調査 = 397
      • 7. 責問權 = 398
      • Ⅰ. 序說 = 398
      • Ⅱ. 責問權의 對象(適用範圍) = 398
      • Ⅲ. 責問權의 抛棄와 喪失 = 399
      • 8. 訴訟契約 = 401
      • Ⅰ. 意義 = 401
      • Ⅱ. 種類 = 401
      • Ⅲ. 訴訟契約의 適法性 = 401
      • Ⅳ. 法的 性質 = 402
      • Ⅴ. 訴訟契約의 特質 = 403
      • 個別的 考察(명문의 규정이 없는 경우) = 404
      • 9. 訴訟行爲의 撤回와 取消 = 408
      • Ⅰ. 序說 = 408
      • Ⅱ. 訴訟行爲의 撤回 = 408
      • Ⅲ. 訴訟行爲의 取消可能性 = 409
      • Ⅳ. 法院의 訴訟行爲의 경우 = 411
      • 10. 公示送達 = 412
      • Ⅰ. 意義 = 412
      • Ⅱ. 要件 = 412
      • Ⅲ. 節次 = 413
      • Ⅳ. 效力 = 413
      • Ⅴ. 關聯問題 - 判決의 騙取 = 414
      • Ⅵ. 結論 = 415
      • 11. 辯論의 全趣旨 = 416
      • Ⅰ. 序說 = 416
      • Ⅱ. "辯論의 一體性"의 의미에서의 "辯論의 全趣旨" = 416
      • Ⅲ. "證據原因"으로서의 "辯論의 全趣旨" = 417
      • 12. 自由心證主義의 例外 = 419
      • Ⅰ. 序說 = 419
      • Ⅱ. 自由心證主義의 內容 = 419
      • Ⅲ. 例外 = 421
      • 13. 法律上의 推定 = 422
      • Ⅰ. 序說 = 422
      • Ⅱ. 種類 = 422
      • Ⅲ. 效果 = 423
      • Ⅳ. 擬似的 推定(類似的 推定) = 424
      • 14. 間接反證 = 425
      • Ⅰ. 序說 = 425
      • Ⅱ. 性質 = 425
      • Ⅲ. 成立要件 = 426
      • Ⅳ. 適用範圍 = 426
      • Ⅴ. 間接反證理論에 대한 批判 = 427
      • 15. 主張責任 = 429
      • Ⅰ. 序說 = 429
      • Ⅱ. 適用範圍 = 429
      • Ⅲ. 立證責任과의 關係 = 430
      • Ⅳ. 主張責任의 分配 = 431
      • Ⅴ. 釋明權과의 關係 = 431
      • 16. 證據의 採否(유일한 증거) = 432
      • Ⅰ. 序說 = 432
      • Ⅱ. 證據의 採否 = 432
      • Ⅲ. 唯一한 證據 = 433
      • Ⅳ. 證據採否의 決定 = 435
      • 17. 職權證據調査 = 436
      • Ⅰ. 序說 = 436
      • Ⅱ. 法的 根據 = 436
      • Ⅲ. 性質 및 內容 = 437
      • Ⅳ. 費用豫納 = 438
      • Ⅴ. 結論 = 438
      • 18. 再訴禁止 = 439
      • Ⅰ. 序說 = 439
      • Ⅱ. 要件 = 439
      • Ⅲ. 效果 = 441
      • Ⅳ. 立法論上 妥當性 與否 = 441
      • 19. 請求의 抛棄, 認諾 = 442
      • Ⅰ. 意義 = 442
      • Ⅱ. 法的 性質 = 442
      • Ⅲ. 要件 = 443
      • Ⅳ. 時期와 方式 = 444
      • Ⅴ. 效果 = 445
      • Ⅵ. 請求의 抛棄와 訴取下의 異同 = 445
      • 20. 一部判決 = 448
      • Ⅰ. 序說 = 448
      • Ⅱ. 許容 與否 = 448
      • Ⅲ. 效力 = 450
      • Ⅳ. 餘論 - 追加判決과의 關係 = 451
      • 21. 判決의 羈束力 = 452
      • Ⅰ. 序說 = 452
      • Ⅱ. 適用範圍 = 452
      • Ⅲ. 羈束力의 擴張 = 453
      • Ⅳ. 羈束力의 排除 = 454
      • Ⅴ. 羈束力의 緩和 - 判決의 更正 = 454
      • 22. 判決의 更正 = 455
      • Ⅰ. 序說 = 455
      • Ⅱ. 更正要件(事由) = 455
      • Ⅲ. 更正節次 = 456
      • Ⅳ. 更正決定의 效力 = 457
      • Ⅴ. 不服申請 = 457
      • Ⅵ. 判決의 變更 = 457
      • 23. 判決의 確定時期 = 458
      • Ⅰ. 序說 = 458
      • Ⅱ. 上訴가 許容되지 않는 判決 = 458
      • Ⅲ. 不服申請에 관한 合意있는 경우 = 458
      • Ⅳ. 不服申請方法이 아직 남아 있는 경우 = 459
      • Ⅴ. 例外的 狀況 = 460
      • 24. 辯論終結 後의 承繼人 = 461
      • Ⅰ. 序說 = 461
      • Ⅱ. 承繼人에 旣判力이 미치는 根據 = 461
      • Ⅲ. 訴訟物인 權利義務의 承繼人 = 462
      • Ⅳ. 適格承繼人(請求權 자체가 아닌 請求權의 目的物 承繼) = 463
      • Ⅴ. 推定承繼人 = 465
      • 25. 判決의 騙取 = 466
      • Ⅰ. 序說 = 466
      • Ⅱ. 類型 = 466
      • Ⅲ. 訴訟法的 救濟策 = 466
      • Ⅳ. 實體法上의 救濟策 = 467
      • Ⅴ. 餘論(請求異議의 訴) = 469
      • 26. 上訴의 利益 = 470
      • Ⅰ. 序說 = 470
      • Ⅱ. 上訴利益의 判斷基準 = 470
      • Ⅲ. 個別的 考察 = 471
      • Ⅳ. 上訴利益의 發生障碍 및 消滅 = 472
      • Ⅴ. 附帶上訴에 있어서의 上訴의 利益 = 473
      • 27. 不利益變更禁止原則 = 474
      • Ⅰ. 序說 = 474
      • Ⅱ. 內容 = 474
      • Ⅲ. 例外 = 476
      • Ⅳ. 抗訴審에서의 訴의 變更, 反訴와의 關係 = 477
      • 28. 反訴의 牽聯性 = 478
      • Ⅰ. 序說 = 478
      • Ⅱ. 本訴請求와의 牽連性 = 478
      • Ⅲ. 本訴의 防禦方法과의 牽連性 = 479
      • Ⅳ. 牽連性 要件의 性質 = 479
      • Ⅴ. 關聯問題 - 抗訴審에서의 同意 = 480
      • Ⅵ. 判決 = 480
      • 29. 訴의 主觀的·豫備的 倂合 = 481
      • Ⅰ. 序說 = 481
      • Ⅱ. 具體的인 事例 = 481
      • Ⅲ. 認定 與否 = 482
      • Ⅳ. 性質(否定說이 말하는 재판통일의 불가능이란 비판의 극복을 위해) = 482
      • Ⅴ. 審判 = 485
      • 30. 訴의 主觀的·追加的 倂合 = 486
      • Ⅰ. 序說 = 486
      • Ⅱ. 明文의 規定이 있는 경우 = 486
      • Ⅲ. 明文의 規定이 없는 경우 = 487
      • 31. 參加的 效力(司33회) = 489
      • Ⅰ. 序說 = 489
      • Ⅱ. 제77조의 裁判의 效力의 本質 = 489
      • Ⅲ. 參加的 效力의 範圍 = 490
      • Ⅳ. 旣判力과의 差異 = 490
      • Ⅴ. 排除 = 491
      • Ⅵ. 類推擴張 = 491
      • 32. 補助參加人과 共同訴訟的 補助參加人의 地位比較 = 493
      • Ⅰ. 序說 = 493
      • Ⅱ. 補助參加人의 地位 = 493
      • Ⅲ. 共同訴訟的 補助參加人의 地位 = 495
      • Ⅳ. 結語 = 496
      • 33. 引受承繼 = 497
      • Ⅰ. 序說 = 497
      • Ⅱ. 類型 = 497
      • Ⅲ. 要件 = 497
      • Ⅳ. 節次 = 498
      • Ⅴ. 效果 = 499
      • Ⅵ. 訴訟承繼主義의 問題點과 補完制度 = 500
      • 34. 裁判上 自白의 取消 = 501
      • Ⅰ. 序說 = 501
      • Ⅱ. 相對方의 同意에 의한 自白의 取消 = 501
      • Ⅲ. 詐欺·强要에 의한 自白의 取消 = 502
      • Ⅳ. 當事者 本人의 경정권 행사에 의한 自白의 取消 = 502
      • Ⅴ. 民事訴訟法 第288條 但書에 의하여 眞實에 反하고 錯誤에 의한 경우의 自白의 取消 = 502
      • 35. 訴訟上 法人 代表者의 權限과 代表權 흠결의 問題 = 504
      • Ⅰ. 序說 = 504
      • Ⅱ. 法人 代表者의 訴訟上의 地位 = 504
      • Ⅲ. 法人 代表者의 訴訟上의 權限 = 505
      • Ⅳ. 法人 代表者의 代表權의 欠缺과 그 治癒 = 505
      • Ⅴ. 法人 代表權의 欠缺과 表現代理의 適用 與否 = 506
      • 36. 國際管轄 및 외국 裁判의 承認의 問題에 대하여 = 508
      • Ⅰ. 序說 = 508
      • Ⅱ. 國際管轄權의 原則的 基準에 대하여 = 508
      • Ⅲ. 具體的인 管轄의 問題 = 511
      • Ⅳ. 外國 法院이 행한 裁判이 國內에서 승인 받기 위한 要件에 대하여 = 512
      • Ⅴ. 國際管轄權의 欠缺과 그 效果에 대하여 = 512
      • 37. 任意的 訴訟擔當 = 513
      • Ⅰ. 序說 = 513
      • Ⅱ. 法律에 명문의 規定이 있는 경우 = 513
      • Ⅲ. 法律에 명문의 規定이 없는 경우 = 513
      • Ⅳ. 旣判力 = 514
      • Ⅴ. 結語 = 515
      • 38. 指摘義務 = 516
      • Ⅰ. 序說 = 516
      • Ⅱ. 要件 = 516
      • Ⅲ. 內容 = 517
      • Ⅳ. 範圍 = 517
      • Ⅴ. 違反의 效果 = 517
      • 39. 訴訟促進을 위한 改正 民訴法上의 制度 = 518
      • Ⅰ. 問題의 提起 = 518
      • Ⅱ. 適時提出主義를 위한 改正 民事訴訟法上 制度 = 518
      • Ⅲ. 集中審理主義를 구현하기 위한 民事訴訟制度 = 519
      • Ⅳ. 結論的 考察 = 521
      • 40. 當事者의 缺席(期日의 懈怠) = 522
      • Ⅰ. 序說 = 522
      • Ⅱ. 當事者 缺席의 要件 = 522
      • Ⅲ. 當事者 雙方 缺席의 效果 - 訴의 擬制的 取下 = 523
      • Ⅳ. 陳述擬制(擬制陳述) - 當事者 一方이 準備書面 등을 提出하고 缺席한 경우 = 525
      • Ⅴ. 擬制自白 - 當事者 一方이 準備書面 등을 提出하지 않고 不出席한 경우 = 526
      • 41. 文書의 證明力 = 528
      • Ⅰ. 意義 = 528
      • Ⅱ. 文書의 形式的 證據力과 實質的 證據力의 關係와 立證方法 = 528
      • Ⅲ. 形式的 證據力에 관한 成立의 認否 = 529
      • Ⅳ. 文書의 形式的 證據力(眞正成立)의 推定 = 530
      • Ⅴ. 形式的 證據力의 不當한 다툼에 대한 制裁 = 531
      • 42. 文書提出命令 = 532
      • Ⅰ. 序說 = 532
      • Ⅱ. 文書提出義務의 範圍 = 532
      • Ⅲ. 文書提出命令의 申請과 그에 대한 審判方式 = 533
      • Ⅳ. 文書提出義務者의 保護方案 = 534
      • Ⅴ. 不提出의 效果 및 制裁 = 535
      • 43. 裁判上 和解 = 536
      • Ⅰ. 意義 = 536
      • Ⅱ. 法的 性質 = 536
      • Ⅲ. 要件 = 537
      • Ⅳ. 效果 = 538
      • Ⅴ. 改正法上의 和解勸告決定 = 539
      • 44. 附帶抗訴 = 540
      • Ⅰ. 意義 = 540
      • Ⅱ. 性質 = 540
      • Ⅲ. 要件 = 540
      • Ⅳ. 方式 = 541
      • Ⅴ. 效果 = 541
      • Ⅵ. 附帶抗訴→終局判決→上訴審의 破棄還送判決→抗訴人의 抗訴取下時 附帶抗訴의 운명 = 541
      • 45. 還送判決의 羈束力 = 543
      • Ⅰ. 羈束力의 意義 = 543
      • Ⅱ. 還送判決의 性質 = 543
      • Ⅲ. 羈束力의 性質 = 543
      • Ⅳ. 羈束力의 範圍 = 544
      • Ⅴ. 羈束力의 內容 = 544
      • Ⅵ. 羈束力의 消滅 = 545
      • 46. 訴訟告知 = 546
      • Ⅰ. 序說 = 546
      • Ⅱ. 訴訟告知의 要件 = 546
      • Ⅲ. 訴訟告知의 訴訟法上의 效果 = 547
      • Ⅳ. 訴訟告知의 實體法上 效果 = 548
      • Ⅴ. 第3者의 訴訟引入과 訴訟告知 = 54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