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육분야 현상학 연구 분석 및 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694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육분야 현상학 연구를 분석하고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79년부터 2018년 9월까지 국내 학술지와 석 · 박사논문 116편을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를 위해 ‘현상학 연구’와 ‘현상학적 질적연구’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현상학 연구’는 최근까지 활성화되고 있었으며, 문헌연구에서 직접체험연구, 간접체험연구로 유형이 변화되고 있었다. 연구주제는 ‘교육활동’과 ‘관계’에 대해 주로 연구되었다. ‘현상학적 질적연구’에서 현상학에 대한 이해는 ‘본질’에 대한 이해가 높은 반면, 본질 직관에 대한 이해는 낮게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21명에서 3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체험기간은 1개월에서 3개월 동안 진행된 연구가 높게 나타났다. 자료수집과정의 경우 직접체험은 현장관찰을, 간접체험은 구조화되거나 반구조화 된 면담을 통해 주로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은 van Manen와 Giorgi의 방법론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신뢰성을 위해 상호주관적 협의 과정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찰한 결과, 국내 유아교육분야 현상학 연구는, 현상학이 질적연구에 방법론으로 사용되는 과정에서 여타의 질적연구와 혼용되어 연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교육분야 현상학 연구를 분석하고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79년부터 2018년 9월까지 국내 학술지와 석 · 박사논문 116편을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를 위해 ‘현상학 연구...

      본 연구는 유아교육분야 현상학 연구를 분석하고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79년부터 2018년 9월까지 국내 학술지와 석 · 박사논문 116편을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를 위해 ‘현상학 연구’와 ‘현상학적 질적연구’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현상학 연구’는 최근까지 활성화되고 있었으며, 문헌연구에서 직접체험연구, 간접체험연구로 유형이 변화되고 있었다. 연구주제는 ‘교육활동’과 ‘관계’에 대해 주로 연구되었다. ‘현상학적 질적연구’에서 현상학에 대한 이해는 ‘본질’에 대한 이해가 높은 반면, 본질 직관에 대한 이해는 낮게 나타났다, 연구대상은 21명에서 30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체험기간은 1개월에서 3개월 동안 진행된 연구가 높게 나타났다. 자료수집과정의 경우 직접체험은 현장관찰을, 간접체험은 구조화되거나 반구조화 된 면담을 통해 주로 수집되었다. 자료분석은 van Manen와 Giorgi의 방법론이 주로 사용되었으며 신뢰성을 위해 상호주관적 협의 과정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찰한 결과, 국내 유아교육분야 현상학 연구는, 현상학이 질적연구에 방법론으로 사용되는 과정에서 여타의 질적연구와 혼용되어 연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and examines the phenomenological studies in th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or this, the study surveyed the academic journals and 116 master’s or doctoral theses published in South Korea between 1979 and September 2018. As a result of separate analysis on ‘phenomenological research’ and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has been active until recently, and its type has transformed from literature review to research through direct experience and indirect experience. The research topics have focused mostly on ‘educational activities’ and ‘relations’. In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he understanding of phenomenology registered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f ‘essence’ but a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intuition of essence. And the most frequently found research treated 21 to 30 young children who engaged in their experience for a period of 1 month to 3 months. As far as the data collection process is concerned, the subjects’ direct experience was collected mainly through on-site observations whereas their indirect experience was collected mainly through structured or semi-structured talks. The data analysis used the methods of van Manen and Giorgi mainly, and intersubjective consultation was carried out to make the study reliable. The examin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shows that the South Korean phenomenological research in th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at in other areas are mixed as phenomenology is used as a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s and examines the phenomenological studies in th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or this, the study surveyed the academic journals and 116 master’s or doctoral theses published in South Korea between 1979 and September 2018. As a ...

      This study analyzes and examines the phenomenological studies in th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For this, the study surveyed the academic journals and 116 master’s or doctoral theses published in South Korea between 1979 and September 2018. As a result of separate analysis on ‘phenomenological research’ and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has been active until recently, and its type has transformed from literature review to research through direct experience and indirect experience. The research topics have focused mostly on ‘educational activities’ and ‘relations’. In ‘the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the understanding of phenomenology registered a high level of understanding of ‘essence’ but a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intuition of essence. And the most frequently found research treated 21 to 30 young children who engaged in their experience for a period of 1 month to 3 months. As far as the data collection process is concerned, the subjects’ direct experience was collected mainly through on-site observations whereas their indirect experience was collected mainly through structured or semi-structured talks. The data analysis used the methods of van Manen and Giorgi mainly, and intersubjective consultation was carried out to make the study reliable. The examination of the research results shows that the South Korean phenomenological research in th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that in other areas are mixed as phenomenology is used as a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usserl. E., "현상학적 심리학" 한길사 2014

      2 심미경, "현상학적 사회학 소고" 15 : 50-64, 1979

      3 이화도, "현상학적 ‘자아’에 관한 유아 교육적 의미탐색" 한국교육학회 46 (46): 133-156, 2008

      4 Thevenaz. P.,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그린비 2017

      5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연구방법" 한국현상학회 (24) : 91-122, 2005

      6 정대현, "학습본능 숲에서 놀자" 이책사 2017

      7 권연정, "최근 5년간 유아교육관련 학회지에 게재된질적연구 논문의 동향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191-212, 2013

      8 배상식, "질적 연구를 위한 ‘현상학적 방법’의 적용문제" 28 (28): 2-21, 2012

      9 배상식, "질적 연구를 위한 ‘교육학적 현상학’의 한계와 문제" 대한철학회 129 : 83-109, 2014

      10 Gadamer, H. G., "진리와 방법 1" 문학동네 2000

      1 Husserl. E., "현상학적 심리학" 한길사 2014

      2 심미경, "현상학적 사회학 소고" 15 : 50-64, 1979

      3 이화도, "현상학적 ‘자아’에 관한 유아 교육적 의미탐색" 한국교육학회 46 (46): 133-156, 2008

      4 Thevenaz. P., "현상학이란 무엇인가" 그린비 2017

      5 이남인, "현상학과 질적연구방법" 한국현상학회 (24) : 91-122, 2005

      6 정대현, "학습본능 숲에서 놀자" 이책사 2017

      7 권연정, "최근 5년간 유아교육관련 학회지에 게재된질적연구 논문의 동향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191-212, 2013

      8 배상식, "질적 연구를 위한 ‘현상학적 방법’의 적용문제" 28 (28): 2-21, 2012

      9 배상식, "질적 연구를 위한 ‘교육학적 현상학’의 한계와 문제" 대한철학회 129 : 83-109, 2014

      10 Gadamer, H. G., "진리와 방법 1" 문학동네 2000

      11 윤효녕, "주체 개념의 비판"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7

      12 Heidegger. M., "존재와 시간" 동서문화사 2008

      13 양옥승, "재개념론적 관점에서 본 유아교육과정 탐구" 22 : 139-170, 2000

      14 장혜순, "이 시대의 유아교육 당면과제 해결을 위한 현상학적 접근"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5-37, 2010

      15 오유정, "유치원 교육과정 건강생활 영역의 유아 신체관에 대한 현상학적 의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16 노진아, "유아특수교육에서의 질적 연구 동향 분석: 2000년부터 2010년까지의 국내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연구소 10 (10): 305-328, 2011

      17 조현근, "유아특수교육 연구동향 분석 연구 : 1994년~2007년 학술지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9

      18 강은덕, "유아의 음악적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2 (22): 477-503, 2017

      19 권민수, "유아문해교육의 부모와 유아교사 이해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6

      20 염지숙, "유아교육연구의 다원화 : 탐구 방법과 주제를 중심으로" 21 (21): 185-205, 2001

      21 이화도, "유아교육에서의 ‘몸’의 개념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메를로 퐁티(Merleau-Ponty)의 지각현상학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233-251, 2009

      22 이대균, "유아교육분야 질적연구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167-191, 2007

      23 김소영,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가 부르는 노래에 대한 현상학적 이해"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24 유수경, "유아교육기관 중간관리자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213-213, 2007

      25 황윤정, "유아교육관련 질적연구 동향분석: 2012년–2016년 KCI 등재학술지 중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57-73, 2018

      26 염지숙, "유아교유에서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6 (6): 119-140, 2003

      27 임부연, "유아교사와 아이들의 ‘생명의식’ 성장에 관한 의미 탐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371-396, 2009

      28 이송희, "유아 수학교육 관련 논문의 연구 동향 분석 : 1996년∼2013년 발표된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9 Husserl. E., "유럽학문의 위기와 선험적 현상학" 한길사 2015

      30 김미경, "우리나라 어머니들의 유아양육 및 지도에 관한 관점연구" 10 : 159-188, 1991

      31 김민진, "영·유아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음악치료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1

      32 Bollnow, O, F., "실존철학과 교육학" 학지사 2008

      33 이민경, "만4세 유아가 경험하는 미술활동의 의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4 김선아, "만 5세 유아들의 자유놀이에서 출현하는 이야기의 힘"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173-197, 2015

      35 유혜령, "교육현상학적 질적 연구에서의 성찰과 연구 기법의 문제"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37-46, 2009

      36 김병찬, "교육행정학 연구의 질적 연구 방법" 18 (18): 131-184, 2010

      37 유혜령, "교수매체 환경과 유아의 경험양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자유선책활동을 중심으로" 18 (18): 131-153, 1998

      38 곽영순, "교사 그리고 질적연구 : 앎에서 삶으로" 교육과학사 2014

      39 Bogdan, R. C.,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Pearson Education, Inc 1982

      40 Crotty, M., "Phenomenology and nursing research" Churchill Livingston 1996

      41 박지영, "Merleau-Ponty의 현상학에 근거하여 본 유아 신체 경험의 교육적 의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2

      42 Paley. J., "Husserl: Phenmenology and nursing" 26 : 187-193, 199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