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동작활동 관찰 및 실행 경험 =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bserving and Performing Experiences of Movement Activities through an Educational Practicu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832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was a qualitative study that examin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bserving and performing experiences of movement activities during a 6-week educational practicum. The participants were 33 fourth year students at a university in Chungcheong-buk-do, who registered for the movement education class in the first semester of 2018. They first participated in first 7 weeks of lectures, a 6-week educational practicum, and a 2-week evaluation. They wrote journals about observing and performing experiences of movement activities during the practicum and participated in an individual interview.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of collected journals and interview data were as follows. First, the observing experiences were revealed as separated movement education by movement education contents and types, dilemma of performing movement education due to gym classes, movement education influenced by teacher's temperament and competency, and movement activities changing stereotypes. Second, the performing experiences were revealed as the importance of space, difficulties of movement activities focused on themes, and improvement of movement teaching 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discussed how to manage movement education classes in order to foster teachers with movement professionalism demanded in the real field of teaching.
      번역하기

      The study was a qualitative study that examin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bserving and performing experiences of movement activities during a 6-week educational practicum. The participants were 33 fourth year students at a university in C...

      The study was a qualitative study that examin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bserving and performing experiences of movement activities during a 6-week educational practicum. The participants were 33 fourth year students at a university in Chungcheong-buk-do, who registered for the movement education class in the first semester of 2018. They first participated in first 7 weeks of lectures, a 6-week educational practicum, and a 2-week evaluation. They wrote journals about observing and performing experiences of movement activities during the practicum and participated in an individual interview.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of collected journals and interview data were as follows. First, the observing experiences were revealed as separated movement education by movement education contents and types, dilemma of performing movement education due to gym classes, movement education influenced by teacher's temperament and competency, and movement activities changing stereotypes. Second, the performing experiences were revealed as the importance of space, difficulties of movement activities focused on themes, and improvement of movement teaching efficacy.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discussed how to manage movement education classes in order to foster teachers with movement professionalism demanded in the real field of teach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6주간의 교육실습에서 관찰하고 실행한 동작활동 경험을 조사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충청북도 소재 대학 유아교육학과 4학년 학생 33명으로 2018학년도 1학기에 유아동작교육 수업을 수강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전반 7주 이론 수업, 6주의 교육실습, 2주의 평가에 참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교육실습 동안 관찰하고 실행한 동작활동 경험을 주 1회(총 6회) 저널에 기록하고, 연구자와 1회의 개별면담에 참여하였다. 수집한 저널과 면담자료를 내용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찰 경험은 동작교육 내용 및 유형에 따라 분리된 동작교육, 방과후과정 체육수업으로 인한 동작교육 운영의 딜레마, 교사 성향과 재량에 좌우되는 동작교육, 고정관념을 변화시키는 동작활동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행 경험은 공간의 중요성, 주제중심 동작활동의 어려움, 동작교수효능감 증진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요구하는 동작 전문성을 갖춘 교사양성을 위하여 대학의 동작교육 교과목 운영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6주간의 교육실습에서 관찰하고 실행한 동작활동 경험을 조사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충청북도 소재 대학 유아교육학과 4학년 학생 33명으로 2018학년도 1...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6주간의 교육실습에서 관찰하고 실행한 동작활동 경험을 조사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참여자는 충청북도 소재 대학 유아교육학과 4학년 학생 33명으로 2018학년도 1학기에 유아동작교육 수업을 수강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은 전반 7주 이론 수업, 6주의 교육실습, 2주의 평가에 참여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은 교육실습 동안 관찰하고 실행한 동작활동 경험을 주 1회(총 6회) 저널에 기록하고, 연구자와 1회의 개별면담에 참여하였다. 수집한 저널과 면담자료를 내용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찰 경험은 동작교육 내용 및 유형에 따라 분리된 동작교육, 방과후과정 체육수업으로 인한 동작교육 운영의 딜레마, 교사 성향과 재량에 좌우되는 동작교육, 고정관념을 변화시키는 동작활동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행 경험은 공간의 중요성, 주제중심 동작활동의 어려움, 동작교수효능감 증진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아교육 현장에서 요구하는 동작 전문성을 갖춘 교사양성을 위하여 대학의 동작교육 교과목 운영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연심, "현장역량 강화를 위한 영유아교육기관 관찰 및 실습" 공동체 2017

      2 문선영, "펠던크라이스 기법을 활용한 유아동작활동 과정에 나타난 유아의 변화 탐색"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8 (18): 389-409, 2017

      3 Pica, R., "출생부터 8세까지 유아를 위한 동작·음악교육" 정민사 2010

      4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0

      5 유지안, "자연공간과 통합된 유아동작활동 실행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165-191, 2016

      6 김은심, "유치원의 동작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14 (14): 135-151, 1994

      7 이만수, "유치원의 동작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2 (2): 171-186, 2001

      8 김은심, "유치원 교사의 동작교수 효능감 형성에 미치는 동작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8 (8): 295-314, 2003

      9 심성경, "유아를 위한 동작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7

      10 이정애, "유아동작교육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과 동작교육태도 및 동작교수효능감과의 관계 연구 : 동작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59-82, 2017

      1 문연심, "현장역량 강화를 위한 영유아교육기관 관찰 및 실습" 공동체 2017

      2 문선영, "펠던크라이스 기법을 활용한 유아동작활동 과정에 나타난 유아의 변화 탐색"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8 (18): 389-409, 2017

      3 Pica, R., "출생부터 8세까지 유아를 위한 동작·음악교육" 정민사 2010

      4 Creswell, J. W., "질적 연구방법론: 다섯 가지 접근" 학지사 2010

      5 유지안, "자연공간과 통합된 유아동작활동 실행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 (20): 165-191, 2016

      6 김은심, "유치원의 동작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14 (14): 135-151, 1994

      7 이만수, "유치원의 동작교육 현황에 관한 연구" 2 (2): 171-186, 2001

      8 김은심, "유치원 교사의 동작교수 효능감 형성에 미치는 동작교육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8 (8): 295-314, 2003

      9 심성경, "유아를 위한 동작교육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7

      10 이정애, "유아동작교육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과 동작교육태도 및 동작교수효능감과의 관계 연구 : 동작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1 (21): 59-82, 2017

      11 곽은순, "유아동작교육에 관한 교과교육학적 지식의 특성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22 (22): 261-283, 2015

      12 정진화, "유아동작교육수업에서 사례기반학습 적용 및 효과 분석 연구: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9 (19): 373-390, 2018

      13 이종향, "유아동작교육, 유아체육교육의 교과목 이수에 따른 유아교사의 유아체육활동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조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8 (18): 257-277, 2013

      14 윤현숙, "유아교사의 동작교수 효능감과 동작교육 교수실제와의 관계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255-274, 2012

      15 최순덕, "유아교사양성과정에서의 유아동작교육 교과 운영을 위한 실행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16 김은심, "유아 동작교육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2015

      17 지성애, "유아 동작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분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5-30, 2012

      18 이현경, "예비유아교사의 현장실습 경험 및 자아존중감과 교사효능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3 (13): 119-135, 2009

      19 김현자, "예비유아교사의 실습 전·후의 이에 대한 인식과 교사효능감의 변화" 대한아동복지학회 13 (13): 43-59, 2015

      20 손강숙, "예비유아교사의 교육실습 전후자기효능감, 자기불일치, 정서경험의 차이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163-185, 2016

      21 고영자,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유아동작교육 인식과 동작교수효능감에 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3 (23): 147-167, 2016

      22 조채영, "예비유아교사가 교육실습에서 경험한 갈등에 대한 연구" 한국생태유아교육학회 13 (13): 193-213, 2014

      23 양미선, "어린이집 특별활동 및 유치원 방과후 과정 특성화프로그램 이용 실태 및 개선 방안 : 영유아 교육·보육 서비스 만족도 제고" 육아정책연구소 2015

      24 이정애, "스토리텔링을 활용한유아동작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7 (37): 77-103, 2017

      25 박은혜, "반성적 실천을 위한 유아교육실습" 창지사 2013

      26 강설순, "명화와 음악 감상을 통합한 유아 동작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27-51, 2012

      27 이세나, "동작교육 관련 경험에 따른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불안과 동작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2 (22): 65-81, 2015

      28 양수영, "뇌 기반 창의 동작활동 중심의 동작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및 경험의 의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8 (18): 171-197, 2014

      29 김은심, "구성주의 이론에 기초한 유아동작교육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동작교육에 대한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31-56, 2005

      30 전경화,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유아교사의 교사 효능감 변화 탐색"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295-329, 2006

      31 Dilsad, M. A., "Views, achievements and implementation of preschool teachers regarding movement education workshop" 5 (5): 202-213, 2017

      32 Fehmi, C., "The investigation of competence of teachers and kindergartens in terms of movement education achievements in pre-school education program" 5 (5): 179-184, 2018

      33 Seefeldt, C. C., "The early childhood curriculum" Teachers College Press 1987

      34 Sevimli-Celik, S., "Teacher preparation for movement education : Increasing pre-service teachers’ competence for working with young children" 44 (44): 274-288, 2016

      35 Bogdan, R.,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s" Allyn & Bacon 2003

      36 Crowdes, M., "Embodying sociological imagination : Pedagogical support for linking bodies to minds" 28 (28): 24-40,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앙유아교육학회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영문명 : Chung-Ang Society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2 2.42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7 2.56 2.707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