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정전서 역주 및 연구_중간보고서 1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214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원래 본 연구팀에서는 1차 년도에는 번역 작업에 전력한 후 2차 년도에 그 성과를 수렴하여 중간 발표를 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중간 점검을 통해 그간의 번역 성과를 갈무리할 필요성을 느...

      원래 본 연구팀에서는 1차 년도에는 번역 작업에 전력한 후 2차 년도에 그 성과를 수렴하여 중간 발표를 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중간 점검을 통해 그간의 번역 성과를 갈무리할 필요성을 느껴 2명의 연구자가 중간 발표를 맡게 되었다.
      먼저 공동 연구자 갑은 지난 3월에 전국규모 학회인 한국시가학회의 35차 학술발표회에서 중간 성과를 발표하였다. 1차 년도에는 초정의 시를 번역하는 작업을 수행 중이었으므로 《초정전서》에 실린 총 5권의 《정유각시집》 가운데 그동안 연구 업적이 가장 성글었던 《정유각시집》 2권을 분석․발표하였다.
      공동 연구자 갑은 《정유각시집》 2권을 분석하여 두 가지 점을 밝혔다. 하나는 2권에 수록된 시들의 창작 시기를 고증함으로써 장년기 시절 그의 행적을 살펴 보았다. 이를 통해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부분들도 상당 부분 밝혀 냈다. 2집은 1778년 가을부터 1788 겨울까지, 정확히 십년 간의 시모음집이었다. 시에서는 날카로운 현실 인식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은밀한 개인의 고독을 노래했다. 대부분 시들은 봄과 가을에 집중되어 있었다.
      또 하나는 검서관 재직 시절에 나타난 그의 내면 의식에 주목하였다. 2권은 자연물을 섬세하게 관찰하여 시인의 마음을 대신 전달해주던 초기시 특질을 일정 부분 간직하고 있었다. 그러나 감정은 많이 이완되어 고독하고 비감어린 정서가 많이 묻어났다. 2권에서 일관되게 흐르는 박제가의 내면은 늘 외로워하고 갈등하는 자아였다. 연행 직후에는 원대한 포부와 초라한 형편의 차이에서 오는 괴리감으로 갈등하였다. 검서관 이후로는 관리로서의 기대와 실제 생활의 차이에서 오는 실망감이 갈등의 주된 동기였다. 검서관이라는 사회적 신분과 서얼이라는 개인적 한계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하는 모습이 박제가의 내면에 일관되게 흐르는 정서였다.
      한편 보조 연구원 을도 전국 규모 학회인 한국언어문화학회의 춘계 학술대회에서 지난 4월 23일 〈박제가 시에 나타난 출처의식〉이란 제목으로 중간 발표를 하였다. 본 발표에서는 《정유각시집》의 검서관 시절 시 작품에 나타난 박제가의 출처의식을 다루었다. 박제가가 검서관 시절 느꼈던 자부심과 자괴감이라는 두 축을 중심으로 그의 출처 의식을 탐구하였다.
      덧붙여 지난 2월 15일, 한양대학교 《초정전서》강독팀은 박제가가 남긴 시문을 따라 단양 일원 일대를 답사하였다. 의림지와 도담삼봉, 사인암, 탄금대 등지를 둘러보았다. 그 경과에 대해 연구 책임자는 학술 계간지에 보고서 형식으로 발표하였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초정전서》 연구 논문 발표 자료집 정 민,「사인암과 이인상․이윤영의 제각(題刻)」,『문헌과 해석』30집, 문헌과해석사, 2005년 봄호. 이승수,「박제가의 北關風俗誌,愁州客詞」,『...

      《초정전서》 연구 논문 발표 자료집
      정 민,「사인암과 이인상․이윤영의 제각(題刻)」,『문헌과 해석』30집, 문헌과해석사,
      2005년 봄호.
      이승수,「박제가의 北關風俗誌,愁州客詞」,『한국언어문화연구』29집, 한국언어문화학회,
      2006.04.
      박수밀,「박제가의 언어문자관과 문학세계」,『한국언어문화연구』31집, 한국언어문화학회,
      2006.12.
      박수밀,「朴齊家詩에 나타난 삶의 궤적과 내면의식」,『고전문학연구』27집, 한국고전문
      학회,2005.06.
      박종훈, 「초정 박제가의 懷人詩小考」, 『한국언어문화연구』30집, 한국언어문화학회,
      2006.08.
      황인건,「燕京雜絶에 나타난 박제가의 중국 체험 고찰」,『한국시가연구』20집, 한국시가
      학회,2006.05.
      황인건,「박제가 시에 나타난 검서관 체험 고찰」,『한국학논집』39집, 한양대학교한국학
      연구소,2005.1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