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eguk-Sinmun(帝國新聞), published in 1898 through 1910, was a daily newspaper which was considered as one for women's enlightenment at that time, the period of enlightenment in Korea. Just like other newspapers, Jeguk discussed everyday the su...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692280
2004
-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67-98(32쪽)
3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Jeguk-Sinmun(帝國新聞), published in 1898 through 1910, was a daily newspaper which was considered as one for women's enlightenment at that time, the period of enlightenment in Korea. Just like other newspapers, Jeguk discussed everyday the su...
The Jeguk-Sinmun(帝國新聞), published in 1898 through 1910, was a daily newspaper which was considered as one for women's enlightenment at that time, the period of enlightenment in Korea. Just like other newspapers, Jeguk discussed everyday the subjects of enlightenment in editorials, articles, and the reader's column. It's interesting to find some female readers contributed to Jeguk sometimes, who expressed their opinions about the main themes of enlightenment.
I'd like to point out that women readers were not only objects of enlightenment, but also subjects who participated in and reproduced discourses of enlightenment. Their opinions were not so special in aspect of themes, for example, promotion of the national interests, necessity of women's education, justness of widows' remarriage, foundation of hospitals for women in western style and so on. However, there seems to be a few differences in women's contributes, which tended to speak for their each situation in real world, such as a contribute of a second wife in November 10, 1898.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제국신문의 여성독자투고를 대상으로 대한제국기 여성들이 근대계몽담론을 수용하고 재생산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대한제국기에 신문이 주도했던 계몽담론을 남성 지식인의...
본고에서는 제국신문의 여성독자투고를 대상으로 대한제국기 여성들이 근대계몽담론을 수용하고 재생산하는 양상을 고찰하였다. 대한제국기에 신문이 주도했던 계몽담론을 남성 지식인의 지향으로만 해석하는 관점에 문제가 있다고 보고, 계몽의 대상인 독자들의 목소리를 읽을 수 있는 독자투고에 주목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고는 대한제국기에 대표적인 계몽의 대상이었던 여성들이 '부녀자계몽지'를 표방한 제국신문을 통해 계몽담론을 수용하는 한편, 독자투고의 형식으로 이를 재생산하는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1898년부터 1907년까지 제국신문 여성독자투고에는 당시에 유행한 계몽담론의 대표적인 주제들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여기서 처첩제와 과부개가, 여성교육과 같은 여성담론의 대표적 사안들에 대한 여성독자들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었으며, 여성들이 보국안민과 개명진보를 이야기하거나 신식병원의 설립을 주장하는 등 계몽담론의 일반적 주제들을 재생산하고 있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여성독자들이 재생산한 계몽담론에서 주제의 동일성으로 환치할 수만은 없는, 여성독자 개개인의 현실적 경험에서 비롯된 입장의 차이를 미세하나마 엿볼 수 있었다. 처첩제 문제를 다룬 논설에 대해 이견을 표했던 1898년 11월 10일자 투고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제국신문의 간행과 하층민 계몽」 대한제국시기 신문 연구" 1991
2 "「묵암비망록의 자료적 가치」" 월간중앙 129 1979년3호
3 "「독립신문 독자투고의 현황과 특성에 관한 연구」 언론과 사회 3 한국사회언론연구회" 1994
4 "「국채보상운동과 프레스 캠페인」" 106-, 1976
5 "「개화기 시가의 창작 계층」 근대문학연구 1" 1987
6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 책세상 19-177, 2001
7 "한국신문 한 세기 : 개화기편" 푸른사상 1-752, 2001
8 "한국사상연구회" -16, 1978
9 "한국근대의 ‘소설’ 범주형성에 관한 연구" 1-205, 2000
10 "한국근대여성운동사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1 "「제국신문의 간행과 하층민 계몽」 대한제국시기 신문 연구" 1991
2 "「묵암비망록의 자료적 가치」" 월간중앙 129 1979년3호
3 "「독립신문 독자투고의 현황과 특성에 관한 연구」 언론과 사회 3 한국사회언론연구회" 1994
4 "「국채보상운동과 프레스 캠페인」" 106-, 1976
5 "「개화기 시가의 창작 계층」 근대문학연구 1" 1987
6 "한국의 근대성, 그 기원을 찾아서" 책세상 19-177, 2001
7 "한국신문 한 세기 : 개화기편" 푸른사상 1-752, 2001
8 "한국사상연구회" -16, 1978
9 "한국근대의 ‘소설’ 범주형성에 관한 연구" 1-205, 2000
10 "한국근대여성운동사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4
11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편" 이대출판부 1980
12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편" 이대출판부 1979
13 "여성의 근대적 자기표현의 역사와 의의" 소명출판 35-73, 2002
14 "애국계몽운동가 申蕭堂의 생애와 신문독자투고" 국문학회 11 : 2004.6.
15 "독립신문의 독자투고 연구" 1-242, 1997
16 "근대계몽기 시가와 여성 담론" 한국시가학회 10 : 277-301, 2001
17 "근대 의료 속의 몸과 규율" 새길 201-204, 1997
18 "개화기 한국사회의 신문독자에 관한 연구" 성곡언론문화재단 7 : 97-117, 1996
19 "개화기 축첩제 담론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19 (19): 67-82, 2001a
20 "개화기 과부개가 담론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19 (19): 17-29, 2001b
21 "개화기 ‘남녀동등’ 담론에 나타난 여성에 대한 계몽의 시각" 한국가정관리학회 20 (20): 87-101, 2002
22 "개항기 계몽담론의 특성과 계몽가사의 주제 표출양상" 우리어문학회 18 : 219-252, 2002
「逸士遺事」여성 기사로 본 韋庵 張志淵의 시각, 그 시대적 의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2-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lassical Woman Literature Studies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92 | 0.92 | 0.9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4 | 0.99 | 2.523 |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