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년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우울간의 관계: 사회적지지와 회복탄력성의 이중매개효과 =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Stress and Depressed In Young People: Parallel Medi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043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and psychological stress on depression in young adults, an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in their relationship. A study of 690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found that. Young people's psychosocial str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people's psychosocial stress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young people's psychosocial stress not only had a direct impact on depression, but also had an indirect impact on depression through social support(B=.081, CI: .024∼.143).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people's psychosocial stress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psychosocial stress not only had a direct impact on depression, but also had an indirect impact on depression through resilience(B=.078, CI: .001∼.159).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y support is needed to reduce social and psychological stress and prevent depression in young peopl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build a social support system for young people and to increase resilience to overcom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and psychological stress on depression in young adults, an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in their relationship. A study of 690 young people in their 20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and psychological stress on depression in young adults, an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in their relationship. A study of 690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found that. Young people's psychosocial stres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depression.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people's psychosocial stress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young people's psychosocial stress not only had a direct impact on depression, but also had an indirect impact on depression through social support(B=.081, CI: .024∼.143). Th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ng people's psychosocial stress and depression. In other words, psychosocial stress not only had a direct impact on depression, but also had an indirect impact on depression through resilience(B=.078, CI: .001∼.159). This study suggests that policy support is needed to reduce social and psychological stress and prevent depression in young peopl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build a social support system for young people and to increase resilience to overcom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추병완, "회복탄력성" 하우 2017

      2 김태형 ; 이승현, "해양경찰공무원의 회복탄력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연구" 한국경찰학회 25 (25): 211-238, 2023

      3 추병완, "한국군의 심리적 회복탄력성 증진 방안" 47 : 97-144, 2016

      4 이시은, "한국 성인의 생애주기별 자살생각의 위험요인: 한국 사회·심리적 불안 조사" 한국성인간호학회 29 (29): 109-118, 2017

      5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최근5년(2017∼2021년) 우울증과 불안장애 진료현황 분석" 2022

      6 이기숙,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지각의 관련성 연구" 38 (38): 93-106, 2000

      7 최희철 ; 김옥진,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스트레스 노출모형, 스트레스 생성모형, 스트레스 우울 상호순환 효과모형의 검증 :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종단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401-429, 2009

      8 오찬혁 ; 유병철 ; 이명진 ; 강성홍, "청년층의 우울증상 유병률과 관련 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 15 (15): 27-39, 2021

      9 김태완, "청년의 빈곤실태 : 청년, 누가 가난한가" 6-8, 2017

      10 김성희, "청년실업자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한국과 영국 비교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21 (21): 25-47, 2016

      1 추병완, "회복탄력성" 하우 2017

      2 김태형 ; 이승현, "해양경찰공무원의 회복탄력성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연구" 한국경찰학회 25 (25): 211-238, 2023

      3 추병완, "한국군의 심리적 회복탄력성 증진 방안" 47 : 97-144, 2016

      4 이시은, "한국 성인의 생애주기별 자살생각의 위험요인: 한국 사회·심리적 불안 조사" 한국성인간호학회 29 (29): 109-118, 2017

      5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최근5년(2017∼2021년) 우울증과 불안장애 진료현황 분석" 2022

      6 이기숙, "청소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사회적지지 지각의 관련성 연구" 38 (38): 93-106, 2000

      7 최희철 ; 김옥진, "청소년의 우울에 대한 스트레스 노출모형, 스트레스 생성모형, 스트레스 우울 상호순환 효과모형의 검증 :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을 적용한 종단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401-429, 2009

      8 오찬혁 ; 유병철 ; 이명진 ; 강성홍, "청년층의 우울증상 유병률과 관련 요인" 보건의료산업학회 15 (15): 27-39, 2021

      9 김태완, "청년의 빈곤실태 : 청년, 누가 가난한가" 6-8, 2017

      10 김성희, "청년실업자의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와의 관계: 한국과 영국 비교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 21 (21): 25-47, 2016

      11 김민수, "청년기본법 제정의 필요성과 입법 방향"

      12 안경남, "중년 남성의 자아존중감, 사회적지지, 스트레스에 따른 우울성향" 13 (13): 181-188, 2012

      13 이아라 ; 이혜경, "중국 내 한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진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31 (31): 96-106, 2020

      14 장휘숙, "정신병리를 차단하는 요인으로서의 탄력성" 14 (14): 113-127, 2001

      15 이연희 ; 정재은,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유아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0 (30): 245-268, 2012

      16 강상경, "우울이 자살을 예측하는가? : 우울과 자살태도 관계의 성별·연령 차이"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1 (41): 67-100, 2010

      17 김명숙, "연변지역 결손가정 아동의 사회적지지, 탄력성, 내면화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3

      18 김명숙, "연변지역 결손가정 아동의 사회적지지, 탄력성, 내면화 문제행동과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3

      19 김동겸, "연령대별 정신질환 발생 추이와 시사점 : 코로나19의 잠재위험 요인" 보험연구원 (39) : 1-8, 2021

      20 박미진, "여성노인의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강점과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한국여성심리학회 12 (12): 197-211, 2007

      21 이선영 ; 이정숙, "여대생의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미치는 융복합적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4 (14): 335-344, 2016

      22 김경식, "시큐리티 요원의 여가활동참가와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및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7 (7): 620-625, 2019

      23 최희철,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효과"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3 : 69-91, 2013

      24 신효진 ; 공하성,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지지 그리고 우울 간의 관계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309-318, 2016

      25 이안생 ; 윤치근 ; 이정미, "병원간호사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1 (21): 46-54, 2012

      26 하지현, "대한민국 마음 보고서 : 불확실한 시대 우리를위한 심리학" 문학동네 2017

      27 신희천 ; 장재윤 ; 이지영, "대학졸업 청년실업과 정신건강의 관계: 자기회귀 교차지연 모형의 적용" 한국사회조사연구소 9 (9): 43-75, 2008

      28 강슬아 ; 김효원 ; 박부진,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사회적으로 부과된 완벽주의, 우울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3 (23): 77-98, 2016

      29 강석화, "대학생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2

      30 김성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기숙사 거주 EBD 대학생을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7 (57): 19-36, 2018

      31 김동임 ; 조인주,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 마음챙김,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5 (15): 241-251, 2017

      32 박의수 ; 조영채, "대학생의 사회적지지, 심리적 행동특성 및 스트레스가우울수준에 미치는 영향 -공분산구조분석에 의한 인과모델의 검증-" 한국산학기술학회 18 (18): 209-218, 2017

      33 김범호 ; 최창훈, "대학생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와 우울 관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아유르베다학회 13 : 136-151, 2022

      34 김나미 ; 김신섭,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회복 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4 (14): 1125-1144, 2013

      35 최미리 ; 이양출, "노인의 여가스포츠활동 참가에 따른 생활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완충효과" 한국체육학회 51 (51): 75-90, 2012

      36 하정희 ; 최기현 ; 이유경 ; 주리애, "군 병사들의 정신건강과 지각된 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7 (27): 53-81, 2020

      37 장세진, "건강통계자료 수집 및 측정의 표준화" 계축문화사 2000

      38 노난이, "간호대학생의 학업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불안의 매개효과" 한국콘텐츠학회 23 (23): 388-397, 2023

      39 이영은 ; 장유나,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폭력피해경험, 자아존중감 및 회복탄력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8 (18): 646-657, 2018

      40 김남희 ; 박선영, "간호대학생의 감성지능, 사회적지지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20 (20): 194-202, 2019

      41 C. S. Park, "increased cardiovascular events in young patients with mental disorders : a nationwide cohort study" zwad102-, 2023

      42 "http://www.mindpost.or.kr/news/articleView. html?idxno=7118"

      43 A. Masuyama, "The roles of trait and process resilience in relation of BIS/BA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adolescents" 10 : e13687-, 2022

      44 Odin Hjemdal,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and levels of anxiety, depre ssion, and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in adolescents" 18 (18): 314-321, 2011

      45 A. T. Beck, "The Measurement of Pessimism: The Hopelessness Scale" 42 (42): 861-865, 1974

      46 Marit Skrove, "Resilience, lifestyle and symptoms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adolescence : the Young-HUNT study" 48 : 407-416, 2013

      47 G. Wagnild, "Resilience and successful aging : Comparison among low and high income older adults" 29 (29): 42-49, 2003

      48 K. Edward, "Resilience : When coping is emotionally intelligent" 11 (11): 101-102, 2005

      49 R. S. Lazarus, "From psychological stress to the emotions : A history of changing outlooks" 44 : 1-21, 1993

      50 S. Fergus, "Adolescent resilience : A framework for understanding healthy development in the face of risk" 26 (26): 399-419, 2005

      51 김지경, "20대 청년 심리·정서 문제 및 대응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52 권혜진 ; 신효정, "20∼30대의 가족건강성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회복탄력성의 순차적 매개효과-"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68 (68): 5-38, 2021

      53 보건복지부, "2022년 2분기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실태조사" 20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