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도심에 소재하는 하천이 환경적으로 어떠한 ,기능을 하는 것인지를 고찰하고, 기존의 환경친화적 하천이 그 본래적 기능을 상실하게 된 원인을 밝힘으로써 도심하천이 도심내 녹...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8614142
강릉 : 강릉대학교 산업대학원, 2002
학위논문(석사) -- 강릉대학교 산업대학원 , 환경조경학전공 , 2002. 8
2002
한국어
628.112 판사항(21)
강원특별자치도
69p. : 삽도 ; 26cm.
참고문헌: p. 63-6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도심에 소재하는 하천이 환경적으로 어떠한 ,기능을 하는 것인지를 고찰하고, 기존의 환경친화적 하천이 그 본래적 기능을 상실하게 된 원인을 밝힘으로써 도심하천이 도심내 녹...
본 논문은 도심에 소재하는 하천이 환경적으로 어떠한 ,기능을 하는 것인지를 고찰하고, 기존의 환경친화적 하천이 그 본래적 기능을 상실하게 된 원인을 밝힘으로써 도심하천이 도심내 녹지공간으로서 역할과 기능을 다 할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 논문은 먼·저 하천일반 및 도시하천의 특성과 기능을 문헌적으로 살펴보고, 도심하천의 개발과 이용 형태가 하천의 형상을 어떻게 변모시켰는가를 객관적 자료를 토대로 고찰한다. 다음으로 강릉시 남대천을 그 .자연적 환경과 현재의 이용현황을 검토함으로써 문제점을 도출하여 이에 대한 개전을 포함하여 환경친화적인 남대천 이용방안을 제시한다.
강릉남대천은 도심지역을 가로질러 흐르는 도시하천으로 환경친화적으로 보존·관리되어야 하는 가장 큰이유는 남대천이 다양한 종류의 철새들에게 우수한 서식환경을 제공하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도심하천이라는 점이다.
이는 곧 이곳의 자연생태계가 살아있다는 증거이다. 남대천 조사결과 수질, 접근시설, 주변 이용시설물의 배치, 자연서식환경의 제공 등의 면에서는 아직도 많은 부분이 개선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남대천이 도심하천에서 나타나는 생활용수 특히, 이 ·취수의 목적에서 탈피하여 환경친화적인 개발과 보전의 대상이 되어야 하며, 수변공간을 주변환경에 적합하게 개선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나마 강릉 남대천은 자연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한 지리적 위치적 자연 복원력이 어느 지역보다 빠르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조사결과 남대천 수변개발로 직선화된 콘크리트의 수변둑이 조사구간 7구역중 5구역에서 자연형 하천의 지형인 사형으로 복원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용객들의 형태도 생활주변에 자연공간을 쉽게 접할 수 있어서, 대도시의 시민들보다 자연 동·식물에 대한 관심도나 애착이 덜하다는 점이다. 이러한 무관심은 환경적인 측면에서 자연 동·식물에게는 안정적인 서식환경 제공이라는 긍정적인 측면도 없지 않으나, 자연과 환경을 보전하기 위하여 인간이 무엇을 하여야 할 것인지에 관한 교육적 측면에서는 자연과 환경에 불리한 점이라 하겠다,
이 연구에서 먼저 하천과 도심하천의 특성을 개관하고, 도시를 지나는 국내외의 주요 하천들이 어떤 역사적 개발과정을 거쳤는가를 살펴보았다. 이것은 지금의 강릉 남대천이 이용되는 현황자료와 함께 향후 강릉 남대천의 환경친화적인 이용방안의 바람직한 방향제시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강릉남대천은 우리나라의 청정지역에 속하는 강릉시를 관통하며 빈번한 국내외 관광객을 맞는 지역에 위치하고 있어서 이곳을 친자연(Natumahe)적인 도심하천으로 만드는 일은 더욱 중요하다. 강릉 남대천의 현재의 이용현황은 특별한 자연친화적 구상이나 계획없이 진행된 감이 없지 않다. 이러한 이용현황을 참고로 하고 한강개발을 비롯한 국내 하천들의 개발사례와 독일, 스위스, 일본 등의 환경친화적인 하천개발 자연 복원 사레를 본받아 남대천 수변공간을 환경친화적 이용모델을 만들 것을 제안하였다
환경친화적 조성을 위한 개선방안은 주변공간 이용형태의 개선에 있다 이를 위하여는 수변공간을 효율적으로 재구성하여야 한다. 하지만 전면적인 공간변경은 현실적으로 많은 시간과 예산이 소요된다. 자연 환경복원과 효율적인 시민의 휴식공간 조성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 제시한 개선(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수변공간의 효율적인 공간 재배치,
둘째, 정근시설의 개선,
셋째, 수변지의 식재공간 조성이다.
강릉지역은 전통과 문화의 도시이며 대표적인 관광도시이다. 내·외국인의 발길이 끊이지 않은 곳이며, 자연관광자원이 많은 지역이다. 그러나 지금껏 영동지역의 관광은 도심외곽의 자연형 관광이 대부분이었다. 이제는 남대천을 자연과 도심이 공존하는 하천으로 변모시킴으로써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생래적인 교육의 장으로도 활용할 수 있는 도심의 대표적 하천으로 조성할 시기가 되었음이 분명하다. 남대천의 현황과 향후 바람직한 친환경적이용 모델에 관하여는 남대천으로부터 혜택을 입고 사는 주민을 상대로 한 실증연구와 더불어 환경친화적인 이용방안에 참고가 되어야 할 것이다. 5장으로 구성된 이 논문은 남대천을 실질적인 사례로 활용함으로써 국내 도시하천의 자연친화적인 이용방안에 하나의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arch the way the rivers in the urban areas can execute their own roles and functions as a greenzone by studying how the urban rivers function environmentally and by clarifying the cause why and how the existing envir...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earch the way the rivers in the urban areas can execute their own roles and functions as a greenzone by studying how the urban rivers function environmentally and by clarifying the cause why and how the existing environmentally friendly rivers lose their own functions.
This thesis consisted of five chapters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 general rivers and the urban rivers through references and then studies how the ways of exploitation and development of the urban rivers have influence on the shape of a river on the basis of objective materials.
Namdaecheon river crossing the urban area of Gangnung city must be preserved and managed environmentally friendly way. In this study, what is the significant thing is the fact that Namdaecheon river serves as a good habitat for a wide variety of migratory birds, which means its ecosystem of nature is alive. As a result of the study of Namdaecheon river, it has many things to be improved in the matters of the quality of water, of the accessible facilities, of the organization of facilities of utilization, and of the natural habitat for animals and plants. It is suggested that it should be the object of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being out of the aim of living water, in particular, that of getting water. That is to say, the waterside of Namdaecheon river should be improved in accordance with its circumstances.
Due to its geographical location, the natural restoration of Namdaecheon river is relatively completed quickly and easily and therefore, its natural preservation state remains at a good level. The bank of Namdaecheon river which was transfoi nied into the straight concrete due to its waterside development, is being restored, in five sections of the seven, to the shape of slope which is a natural state of river. In comparison with the citizens of a big city, the visitors of Namdaecheon river are less interested in animals and plants because they are more exposed to nature. Such indifference has a positive aspect in that animals and plants can have a habitat which is not disturbed. On the contrary, it has a negative effect on education of natural preservation.
This thesis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rivers and urban rivers and the historical process of development of internal and external major rivers. This presents the proper direction of the way of environmentally friendly use of Namdaecheon river with other references of its present condition. It is important to make Namdaecheon a naturally friendly urban river because it is located in Gangnung city, Kangwon province which is visited by lots of domestic and foreign tourists. Its development is, as a matter of fact, progressed without any specific naturally friendly idea or plan. It is assumed that the model of environmentally friendly use of Namdaecheon waterside should be presented on the basis of the cases of the development of the domestic rivers including Han river and of environmentally friendly development of rivers in Geimany, Swiss, and Japan.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