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동형화를 통한 정책이전과 공기업 민영화 : 한국전력공사 민영화 사례를 중심으로 = Policy Transfer as a Mimetic Process and Privatization of Public Enterprise : The Case of Privatization of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468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ivatization has earned its popularity for the most efficient means to reform bureaucratic operations of public sector entities since 1980s. In Korea, it wasn’t quite different from foreign countries in its effort to privatize public enterprises such as Korea electric power cooperation(KEPCO) which symbolize government’s drive to reform the public sector. The plan, however, to privatize KEPCO by breaking up the electricity market into small private companies are doomed to failure by the decision of withdrawal of the plan in Roh Moo-Hyun government. The plan to privatize KEPCO was not the consequence of rational choice but policy transfer as a mimetic process. The government’s plan to privatize public enterprises was mainly based on worldwide fashion-like diffusion of privatization which strongly influenced by the idea of New Public Management in legitimizing it’s rationality. The case of KEPCO, which has been under severe public dispute from the first stage of the plan, left it’s name on the list of failed policy transfer from foreign countries. This indicates the dual possibilities of success and failure in the process of policy transfer. In essence, it is the most notable case to imply high probability of failure in policy transfer as a mimetic process without securing legitimacy in the imported country.
      번역하기

      Privatization has earned its popularity for the most efficient means to reform bureaucratic operations of public sector entities since 1980s. In Korea, it wasn’t quite different from foreign countries in its effort to privatize public enterprises su...

      Privatization has earned its popularity for the most efficient means to reform bureaucratic operations of public sector entities since 1980s. In Korea, it wasn’t quite different from foreign countries in its effort to privatize public enterprises such as Korea electric power cooperation(KEPCO) which symbolize government’s drive to reform the public sector. The plan, however, to privatize KEPCO by breaking up the electricity market into small private companies are doomed to failure by the decision of withdrawal of the plan in Roh Moo-Hyun government. The plan to privatize KEPCO was not the consequence of rational choice but policy transfer as a mimetic process. The government’s plan to privatize public enterprises was mainly based on worldwide fashion-like diffusion of privatization which strongly influenced by the idea of New Public Management in legitimizing it’s rationality. The case of KEPCO, which has been under severe public dispute from the first stage of the plan, left it’s name on the list of failed policy transfer from foreign countries. This indicates the dual possibilities of success and failure in the process of policy transfer. In essence, it is the most notable case to imply high probability of failure in policy transfer as a mimetic process without securing legitimacy in the imported count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1980년대 이후부터 민영화는 공공 부문 개혁의 대표적인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다. 한국에서도 공공 부문 개혁을 위한 민영화가 꾸준히 추진되어 왔다. 공기업 민영화의 대표적인 추진 사례라고 할 수 있는 한국전력의 분할 민영화 계획은 많은 논란을 겪은 끝에 재검토의 결정이 내려지면서 결국 폐기될 운명에 처하게 되었다. 한국 전력의 민영화 추진 계획은 합리적 선택에 따른 최선의 대안 선택 결과가 아니라 모방적 동형화를 통한 정책 이전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신공공관리론에 기반한 민영화의 세계적 확산이나 유행은 정책 이전의 정당성을 강화시켜 주는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그러나 논의의 시작부터 심각한 논란에 휩싸였던 한국전력 민영화 계획은 결국 실패한 정책 이전의 사례로 남게 되었다. 이것은 정책 이전이 성공 뿐 아니라 실패의 가능성도 동시에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특히 대내적 정당성의 확보 없이는 모방적 동형화를 통한 정책이전이 실패할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번역하기

      1980년대 이후부터 민영화는 공공 부문 개혁의 대표적인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다. 한국에서도 공공 부문 개혁을 위한 민영화가 꾸준히 추진되어 왔다. 공기업 민영화의 대표적인 추진 사례라...

      1980년대 이후부터 민영화는 공공 부문 개혁의 대표적인 수단으로 사용되어 왔다. 한국에서도 공공 부문 개혁을 위한 민영화가 꾸준히 추진되어 왔다. 공기업 민영화의 대표적인 추진 사례라고 할 수 있는 한국전력의 분할 민영화 계획은 많은 논란을 겪은 끝에 재검토의 결정이 내려지면서 결국 폐기될 운명에 처하게 되었다. 한국 전력의 민영화 추진 계획은 합리적 선택에 따른 최선의 대안 선택 결과가 아니라 모방적 동형화를 통한 정책 이전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신공공관리론에 기반한 민영화의 세계적 확산이나 유행은 정책 이전의 정당성을 강화시켜 주는 중요한 근거가 되었다. 그러나 논의의 시작부터 심각한 논란에 휩싸였던 한국전력 민영화 계획은 결국 실패한 정책 이전의 사례로 남게 되었다. 이것은 정책 이전이 성공 뿐 아니라 실패의 가능성도 동시에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특히 대내적 정당성의 확보 없이는 모방적 동형화를 통한 정책이전이 실패할 수밖에 없음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Gilmour, Robert S.,, ""Reinventing Government Accountability: Public Functions, Privatization, and the Meaning of "State Action"" 58 (58): 247-257, 1998

      2 김영평, "행정의 경쟁력 맥락 그리고 새로운 패러다임 세계화와 국가경쟁력 21세기의 국가경영전략" 나남출판 1994

      3 정정길, "행정개혁의 평가와 앞으로의 방향 세계화와 국가경쟁력 21세기의 국가경영전략" 나남출판 1994

      4 김용학, "한국의 경제발전 모델은 즉각 폐기되어야 하는가" 20 : 52-68, 1999

      5 김석준, "한국 국가재창조와 뉴 가버넌스 :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34 (34): 1-21, 2000

      6 하태수, "제도의 이전 토착화 그리고 신제도주의" 40 (40): 45-69, 2002

      7 가재창심재권, "정부와 시장관계에서 본 한국 공기업 민영화" 1987

      8 "전력산업구조개편 추진" 산업자원부 1999.11

      9 "영국의 민영화 사례 및 특징" 기획예산위원회 1998a.4

      10 김판석, "세계화시대의 정부부문 경쟁력 제고 도전과 기회" 1994

      1 Gilmour, Robert S.,, ""Reinventing Government Accountability: Public Functions, Privatization, and the Meaning of "State Action"" 58 (58): 247-257, 1998

      2 김영평, "행정의 경쟁력 맥락 그리고 새로운 패러다임 세계화와 국가경쟁력 21세기의 국가경영전략" 나남출판 1994

      3 정정길, "행정개혁의 평가와 앞으로의 방향 세계화와 국가경쟁력 21세기의 국가경영전략" 나남출판 1994

      4 김용학, "한국의 경제발전 모델은 즉각 폐기되어야 하는가" 20 : 52-68, 1999

      5 김석준, "한국 국가재창조와 뉴 가버넌스 : 새로운 패러다임 모색"" 34 (34): 1-21, 2000

      6 하태수, "제도의 이전 토착화 그리고 신제도주의" 40 (40): 45-69, 2002

      7 가재창심재권, "정부와 시장관계에서 본 한국 공기업 민영화" 1987

      8 "전력산업구조개편 추진" 산업자원부 1999.11

      9 "영국의 민영화 사례 및 특징" 기획예산위원회 1998a.4

      10 김판석, "세계화시대의 정부부문 경쟁력 제고 도전과 기회" 1994

      11 최병선, "민영화의 정치경제" 1991

      12 주간내일신문, "뜨거워지는 한전매각 논의 에너지 안보 위협인가 경쟁력 강화인가?" (299) : 1999.9

      13 "국영기업의 민영화" 조선일보 1993

      14 "공기업 민영화 및 경영혁신 추진실적" 기획예산처 1999.8

      15 "공기업 민영화 관련 Q&A 자료" 기획예산위원회 1998c.7

      16 "공기업 경영혁신관련자료 제출현황 및 향후 추진일정" 기획예산위원회 1998b.5

      17 "경제위기극복과 구조조정을 위한 종합대책" 한국개발연구원 1999

      18 "개혁 미흡, 계획대로 추진하라, 김대통령 각의 지시"" 1999.9

      19 Mansfield, "‘The Public Sector’ In Abelson" 1987

      20 Collyer, Fran M, "Theorising Privatisation: Policy, Network Analysis, and Class" 7 (7): 1-20, 2003

      21 World Bank, "The State in a Changing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22 Powell, "The New Institutionalism in Organizational Analys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

      23 Starr,Paul, "The Meaning of Privatization" 6 : 1988

      24 Boston, J, "The Challenge of Evaluating Systemic Change The Case of Public Management Reform Paper prepared for the IPMN Conference Learning from Experiences with New Public Management Macquarie Graduate School of Management" 2001March

      25 Minogue,Martin, "Should Flawed Models of Public Management be Exported? Issues and Practices" (15) : 2000

      26 Siedenstat, Paul, "Privatization: Trends, Interplay of Forces, and Lessons Learned" 24 (24): 464-477, 1996

      27 Walker, B., "Privatisation: Sell Off or Sell Out?" ABC Books 2000

      28 Radaelli, Claudio M, "Policy Transfer in the European Union Institutional Isomorphism as a Source of Legitimacy" 13 (13): 25-43, 2000

      29 Wolman, Harold.,, "Policy Transfer among Local Governments: An Information-Theory Approach" 15 (15): 2002

      30 Dolowitz,David P., "Marsh, David"Learning from Abroad The Role of Policy Transfer in Contemporary Policy-Making" 13 (13): 5-24, 2000

      31 Jones, Trevor, "Learning from Uncle Sam? Exploring U Influences on British Crime Control Policy" 15 (15): 97-119, 2002

      32 Mellers, B. A.,, "Judgment and Decision Making" 49 : 447-477, 1998

      33 Scott, Richard. W,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Sage 1995

      34 Meyer, J. W.,, "Institutionalized Organizations: Formal Structure as Myth and Ceremony" 83 : 1977

      35 Lodge,Martin, "Institutional Choice and Policy Transfer: Reforming British and German Railway Regulation" 16 (16): 159-178, 2003

      36 Beeson,Mark, "Globalization, Governance, and the Political-Economy of Public Policy Reform in East Asia" 14 (14): 481-502, 2001

      37 Gore, Al, "From Red Tape to Results Creating a Government That Works Better and Costs Less"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0

      38 Gore, Al, "From Red Tape to Results Creating a Government That Works Better and Costs Less"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98

      39 World Bank, "From Plan to Market"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40 Pollitt, C., "Decentralising Public Service Management" MacMillan 1998

      41 Nakano, Koichi, "Cross-National Transfer of Policy Ideas Agencification in Britain and Japan" 17 (17): 169-188, 2004

      42 Hood,Christopher, "Contemporary Public Management: A New Global Paradigm" 10 (10): 104-117, 1995

      43 Scott, Graham, "Autonomous Public Organisations In Thailand" New Zealand 2000

      44 "1차 공기업 민영화 계획" 기획예산위원회 1998d.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9 1.32 1.39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