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설화의 창의적 이해·표현 교육 방안 연구  :  웹툰 ≪실질객관동화≫에 나타나는 이야기 전승·향유 양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Creativ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Korean Folk Tales - Focusing on the Aspects of the Transmission and Enjoyment of Stories in Webtoon Really Objective Ta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588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웹툰 ≪실질객관동화≫와 원텍스트인 설화와의 관계 속에서 이야기의 전승과 향유의 양상을 살펴보고, 웹툰을 활용한 설화의 창의적인 이해·표현활동을 구상해 보았다. 설화의 성�...

      본고는 웹툰 ≪실질객관동화≫와 원텍스트인 설화와의 관계 속에서 이야기의 전승과 향유의 양상을 살펴보고, 웹툰을 활용한 설화의 창의적인 이해·표현활동을 구상해 보았다. 설화의 성근 줄거리와 구조의 단순성은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어 그 틈새를 학습자의 체험과 욕망으로 메워가면서 자신만의 이야기로 새롭게 만들기에 적합한 갈래이다. 본고에서는 설화의 이러한 특성이 창의적인 이해·표현 활동에 적합한 대상으로 여겨, 설화를 창의적으로 이해하고 표현한 웹툰 ≪실질객관동화≫를 살펴 보았다. 그 결과 웹툰 ≪실질객관동화≫는 원 텍스트의 인물, 사건, 배경을 중심으로 기존 설화의 변용, 창출, 재구성을 통해 관점의 전환과 확대를 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창의적 이해 표현의 양상에 착안해, 실제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5단계의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학습자들에게 기존의 것과 다르게, 넓게 해 주는 창의적 이해표현의 활동의 제재로 설화를 재조명하고, 이야기 전승과 향유의 양상에 주목함으로써 설화의 구비문학적 요소를 충분히 드러내는 교육 방안을 마련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the transmission and enjoyment of the stor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ebtoon Really Objective Tale and its original texts, Korean folk tales, and came up with activities for the creative understanding and expres...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the transmission and enjoyment of the stor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ebtoon Really Objective Tale and its original texts, Korean folk tales, and came up with activities for the creativ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of Korean folk tales using Webtoon. The simplicity of the rough plots and structures of Korean folk tales imply the possibility of a wide variety of interpretations, so they are appropriate for turning into learners’ own stories, bridging the gaps with their experience and desire. This study considered this characteristic of Korean folk tales subjects appropriate for activities of creativ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and examined the Webtoon Really Objective Tale that understood and expressed the folk tales creatively. As a result the Webtoon Really Objective Tale was noted that it attempts the transition and expansion of perspectives through the transformation, creation and reconstruction of the existing Korean folk tales, centering around the characters, events and backgrounds of the original text. This study proposed a five-step teaching method that could be applied to the real education field, based on the aspects of these creativ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is study prepared a teaching method which would sufficiently show the elements of oral literature in Korean folk tales by shedding new light on the folk tales as materials for the learners’ activities for creative understanding and expression unlike the existing ones, and paying attention to the aspects of the transmission and enjoyment of the stor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 II. 웹툰 ≪실질객관동화≫의 국어교육적 가치와 창의적 이해·표현의 양상
      • 1. 웹툰 매체의 구비문학적 요소와 이본으로서의 ≪실질객관동화≫
      • 2. 창의적 텍스트로서의 웹툰 ≪실질객관동화≫
      • III. 설화의 창의적 이해·표현활동의 실제
      • I. 서 론
      • II. 웹툰 ≪실질객관동화≫의 국어교육적 가치와 창의적 이해·표현의 양상
      • 1. 웹툰 매체의 구비문학적 요소와 이본으로서의 ≪실질객관동화≫
      • 2. 창의적 텍스트로서의 웹툰 ≪실질객관동화≫
      • III. 설화의 창의적 이해·표현활동의 실제
      • 1. 창의적 이해·표현 활동의 설계
      • 2. 창의적 이해·표현 활동의 실제
      • IV. 결 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원, "창의성 중심의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방향" 국어교육학회 (18) : 97-128, 2003

      2 김정욱, "전통문화 교육 자료로서 웹툰의 활용에 대한 고찰 - <신과 함께>에 반영된 저승관을 중심으로 -" 중앙어문학회 61 : 170-200, 2015

      3 박기수, "웹툰 스토리텔링, 변별적 논의를 위한 몇 가지 전제"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1 (11): 44-64, 2015

      4 김대범, "웹툰 <조선왕조실톡>의 역사소재 활용방식" 열상고전연구회 (49) : 195-237, 2016

      5 오세정, "설화교육 연구의 경향 검토와 방향 모색" 청람어문교육학회 (55) : 63-88, 2015

      6 신동흔, "설화 속 화수분 화소의 생태론적 고찰 - 한국과 유럽 설화를 대상으로 -" 한국구비문학회 (39) : 1-28, 2014

      7 임재해, "사이버공동체의 소통양식과 설화 전승양상의 재인식" 한국구비문학회 (22) : 1-77, 2006

      8 정수현, "대중매체의 설화수용 방식"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9) : 237-256, 2006

      9 김미혜, "국어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학회 (20) : 333-356, 2004

      10 신선희, "구비설화 다시쓰기와 새로운 상상력" 한국구비문학회 (29) : 1-35, 2009

      1 김창원, "창의성 중심의 국어과 교육과정 구성 방향" 국어교육학회 (18) : 97-128, 2003

      2 김정욱, "전통문화 교육 자료로서 웹툰의 활용에 대한 고찰 - <신과 함께>에 반영된 저승관을 중심으로 -" 중앙어문학회 61 : 170-200, 2015

      3 박기수, "웹툰 스토리텔링, 변별적 논의를 위한 몇 가지 전제" 한국애니메이션학회 11 (11): 44-64, 2015

      4 김대범, "웹툰 <조선왕조실톡>의 역사소재 활용방식" 열상고전연구회 (49) : 195-237, 2016

      5 오세정, "설화교육 연구의 경향 검토와 방향 모색" 청람어문교육학회 (55) : 63-88, 2015

      6 신동흔, "설화 속 화수분 화소의 생태론적 고찰 - 한국과 유럽 설화를 대상으로 -" 한국구비문학회 (39) : 1-28, 2014

      7 임재해, "사이버공동체의 소통양식과 설화 전승양상의 재인식" 한국구비문학회 (22) : 1-77, 2006

      8 정수현, "대중매체의 설화수용 방식"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9) : 237-256, 2006

      9 김미혜, "국어적 창의성의 구성 요소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학회 (20) : 333-356, 2004

      10 신선희, "구비설화 다시쓰기와 새로운 상상력" 한국구비문학회 (29) : 1-35, 2009

      11 고영화, "구비문학 異本 비교 활동의 교육적 가치" 겨레어문학회 (54) : 35-54, 2015

      12 Byeon, J. M, "Webtoon Really Objective Tale"

      13 Mihaly, C., "Pleasure of Creativity" Thenan Publishing Co. 2003

      14 Chung, S. H., "Modern practical of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 Focusing on Webtoon Together with God-This World" 2 : 69-98, 2012

      15 Ministry of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No. 2015-74"

      16 Seo, D. S., "Korean’s Life and Oral Literature" Jipmoondang 2007

      17 Kim, J. C., "Derivation of alternative versions from novel-reading and the direction of teaching creative writing" 7 (7): 353-375, 1999

      18 Lee, I. Y., "A teaching-learning method on through media : Based on Ani-Mentary" Sogang University 2009

      19 Han, H. W., "A study on trends and types of Korean Web contents" 35 : 31-52, 2015

      20 Baek, S. Y., "A Study on method of education, the Utilization of internet medium, the tale 'Ji nae marketplace'" Kyonggi University 2010

      21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2 Cartoon Industry White Paper"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2013

      22 Seo, Y. K., "(A) study on literature education through empathic appropriation: Around the variant production of Shim-Chung-Cheon text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3-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7 1.43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