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개성을 활용한 이야기그림책 읽기 방법 연구-<동물원>의 ‘보는 이’를 중심으로 = A Study on How to Read Narrative Picture Books Using Mediacy-Focusing on the Focalizor of <The Zo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306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case of narrative picture books, unlike traditional narratives, there is a story that is conveyed through the pictures thus there is a limit to understanding the work from a point of view, and a person is required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text. This paper presents a reading method suitable for the narrative of narrative picture books expressed in text and pictures. In other words, we need a narrative method that can be involved in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not only the verbal narrative but also the visual narrative. This article denotes it as a focalization. Focalization provides a reading process and strategy centered on the ‘focalizor’ in reading narrative picture books. Considering that the visual narrative in a narrative picture book is convey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ocalizor rather than the narrator, reconceptualizing the focalization theory into a reading method and strategy is meaningful. Reading stories centered on the focalizor is done based on the layers of internal focalization, external focalization, and reader focalization. Based on each discussion of the focalization, the contents of the reading activities centered on the focalizor were presented.
      번역하기

      In the case of narrative picture books, unlike traditional narratives, there is a story that is conveyed through the pictures thus there is a limit to understanding the work from a point of view, and a person is required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

      In the case of narrative picture books, unlike traditional narratives, there is a story that is conveyed through the pictures thus there is a limit to understanding the work from a point of view, and a person is required for the interpretation of the text. This paper presents a reading method suitable for the narrative of narrative picture books expressed in text and pictures. In other words, we need a narrative method that can be involved in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of not only the verbal narrative but also the visual narrative. This article denotes it as a focalization. Focalization provides a reading process and strategy centered on the ‘focalizor’ in reading narrative picture books. Considering that the visual narrative in a narrative picture book is convey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ocalizor rather than the narrator, reconceptualizing the focalization theory into a reading method and strategy is meaningful. Reading stories centered on the focalizor is done based on the layers of internal focalization, external focalization, and reader focalization. Based on each discussion of the focalization, the contents of the reading activities centered on the focalizor were presen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야기그림책의 경우 전통적인 서사물과는 달리 ‘그림’을 통해 전달되는 이야기가 있기 때문에 글 텍스트 해석에 필요한 시점과 인칭으로 작품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고는 글과 그림으로 담론화 되는 이야기그림책의 서술 특성에 맞는 읽기 방법을 제시했다. 즉 글 이야기뿐만 아니라 그림 이야기의 분석과 해석에도 관여할 수 있는 서술 방법이 필요한데, 본고는 서술의 초점화에 주목했다. 초점화는 이야기그림책 읽기에서 ‘보는 이’ 중심의 읽기 과정과 전략을 제공한다. 특히 이야기그림책의 ‘그림’ 이야기가 ‘말하는 이’ 아니라 ‘보는 이’의 관점으로 전달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초점화 이론을 읽기 방법과 전략으로 재개념화하는 작업은 의미가 있다. ‘보는 이’ 중심의 이야기 읽기는 내적초점화, 외적초점화, 독자초점화의 층위에서 진행된다. 각각의 초점화 논의를 바탕으로 ‘보는 이’ 중심의 읽기 활동 내용을 제시했다. 독자는 보는 이와 그 대상의 관계를 파악하면서 다음 장면에 이어질 내용을 추측하고, 장면과 장면을 통합적으로 구성하면서 전체 스토리를 구성한다. 또한 독자 스스로 ‘보는 이’가 되어 상상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만드는 활동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번역하기

      이야기그림책의 경우 전통적인 서사물과는 달리 ‘그림’을 통해 전달되는 이야기가 있기 때문에 글 텍스트 해석에 필요한 시점과 인칭으로 작품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고는 글과 ...

      이야기그림책의 경우 전통적인 서사물과는 달리 ‘그림’을 통해 전달되는 이야기가 있기 때문에 글 텍스트 해석에 필요한 시점과 인칭으로 작품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본고는 글과 그림으로 담론화 되는 이야기그림책의 서술 특성에 맞는 읽기 방법을 제시했다. 즉 글 이야기뿐만 아니라 그림 이야기의 분석과 해석에도 관여할 수 있는 서술 방법이 필요한데, 본고는 서술의 초점화에 주목했다. 초점화는 이야기그림책 읽기에서 ‘보는 이’ 중심의 읽기 과정과 전략을 제공한다. 특히 이야기그림책의 ‘그림’ 이야기가 ‘말하는 이’ 아니라 ‘보는 이’의 관점으로 전달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초점화 이론을 읽기 방법과 전략으로 재개념화하는 작업은 의미가 있다. ‘보는 이’ 중심의 이야기 읽기는 내적초점화, 외적초점화, 독자초점화의 층위에서 진행된다. 각각의 초점화 논의를 바탕으로 ‘보는 이’ 중심의 읽기 활동 내용을 제시했다. 독자는 보는 이와 그 대상의 관계를 파악하면서 다음 장면에 이어질 내용을 추측하고, 장면과 장면을 통합적으로 구성하면서 전체 스토리를 구성한다. 또한 독자 스스로 ‘보는 이’가 되어 상상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만드는 활동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영심, "주제환상극놀이에 기초하여유아들이 재구성한 그림책의 이야기 구성요소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317-338, 2006

      2 김정선, "이중 서술자를 통해 바라본 앤서니 브라운의 고릴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121-135, 2013

      3 정래필, "이야기그림책 읽기의 敍事敎育 內容 硏究"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4 (44): 475-500, 2016

      4 조희숙, "유아의 이야기그림책 서술에 관한 연구" 6 : 47-66, 1996

      5 김명옥, "원천강본풀이 를 재화한 <오늘이>에 나타난 서술전략과 문체 연구-그림책 중심으로" 동화와번역연구소 (22) : 33-59, 2011

      6 장범순, "어린이 그림책 시각 서사에 관한 연구 -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19 (19): 89-99, 2018

      7 Wiesner, D., "시간 상자" 시공주니어 2018

      8 Rimmon-Kenan, S., "소설의 현대 시학" 예림기획 1999

      9 Stanzel, F. K., "소설의 이론-걸리버여행기에서 질투까지" 탑출판사 1990

      10 Brooks, C., "소설의 분석" 현암사 1985

      1 임영심, "주제환상극놀이에 기초하여유아들이 재구성한 그림책의 이야기 구성요소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317-338, 2006

      2 김정선, "이중 서술자를 통해 바라본 앤서니 브라운의 고릴라"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121-135, 2013

      3 정래필, "이야기그림책 읽기의 敍事敎育 內容 硏究" 한국어문교육연구회 44 (44): 475-500, 2016

      4 조희숙, "유아의 이야기그림책 서술에 관한 연구" 6 : 47-66, 1996

      5 김명옥, "원천강본풀이 를 재화한 <오늘이>에 나타난 서술전략과 문체 연구-그림책 중심으로" 동화와번역연구소 (22) : 33-59, 2011

      6 장범순, "어린이 그림책 시각 서사에 관한 연구 -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19 (19): 89-99, 2018

      7 Wiesner, D., "시간 상자" 시공주니어 2018

      8 Rimmon-Kenan, S., "소설의 현대 시학" 예림기획 1999

      9 Stanzel, F. K., "소설의 이론-걸리버여행기에서 질투까지" 탑출판사 1990

      10 Brooks, C., "소설의 분석" 현암사 1985

      11 최용호, "서사로 읽는 서사학"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9

      12 Bal, M., "서사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1999

      13 Genette, G., "서사 담론" 교보문고 1992

      14 이수지, "동물원" 비룡소 2004

      15 O'Neill, P., "담화의 허구" 예림기획 2004

      16 이차숙, "그림책의 시각적 서사 장치 특성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145-167, 2013

      17 김상욱, "그림책을 활용한 문학교육의 방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2) : 97-124, 2006

      18 오연주, "그림책을 보는 눈" 마루벌 2011

      19 교육부, "국어과 교육과정"

      20 Emmott, C., "Stories and minds:Cognitive approaches to literary narrative"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39-57, 2013

      21 Prince, G., "New perspective on narrative perspectiv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3-50, 2001

      22 Genette, G., "Narrative discourse revisited" Cornell University Press 1994

      23 이차숙, "Arnheim의 시각적 사고 이론에 기초한 그림책의 그림읽기 지도 전략 탐색"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9) : 1-21, 2013

      24 교육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25 최예린, "1세 영아의 그림책 읽기 행동 변화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425-450, 2010

      26 최윤정, "1세 영아의 그림책 읽기 과정에 나타난 개인적 내러티브 사례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4 (14): 375-397,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10-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 Korean Society of Children's Literature &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 1.63 1.78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