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뉴스 공간에서 (1) 자신의 견해 및 기사·댓글 간 논조의 일치 여부가 여론 일치 지각(자신의 의견이 다수 여론과 일치한다는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2) 이 여론 일치 지각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747590
202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52-192(4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온라인 뉴스 공간에서 (1) 자신의 견해 및 기사·댓글 간 논조의 일치 여부가 여론 일치 지각(자신의 의견이 다수 여론과 일치한다는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2) 이 여론 일치 지각을 ...
온라인 뉴스 공간에서 (1) 자신의 견해 및 기사·댓글 간 논조의 일치 여부가 여론 일치 지각(자신의 의견이 다수 여론과 일치한다는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2) 이 여론 일치 지각을 매개로 의견표명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3) 정치효능감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였다. 사형제도와 베이비박스 이슈에 대하여, 개인의 견해가 (a) 기사·댓글 논조와 모두 일치, (b) 댓글 논조만 일치, (c) 기사 논조만 일치, (d) 기사· 댓글 논조와 모두 불일치하는 집단으로 구성된 온라인 실험을 국내 성인 400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여론 일치 지각은 기사·댓글 논조 모두 일치 집단과 댓글 논조만 일치 집단에서 가장 높았던 반면, 기사 논조만 일치 집단과 기사·댓글 논조 모두 불일치 집단에서 가장 낮았다. 또한 댓글논조만 일치하는 집단이 기사 논조만 일치하는 집단에 비해 더 높은 여론 일치 지각을 보여, 기사와 댓글의 논조가 상충하는 상황에서는 댓글이 여론 일치 지각에 더 큰 영향력을 미침을 확인했다. 둘째, 자신의 견해와 기사·댓글 논조 간의 일치 정도가 증가할수록 여론 일치 지각을 매개로 의견표명 의도가 증가하는 완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셋째, 정치효능감은 여론 일치 지각과 의견표명 의도와의 관계를 조절하였는데, 정치효능감의 낮은 수준에서는 여론 일치 지각과 의견표명 의도 간에 정(+)적 관계가 있었으나 정치효능감이 높은 수준에서는 여론 일치 지각의 영향이 유효하지 않았다. 종합적으로, 정치효능감이 높은 개인에게는 다수 여론에 좌우되는 여론 일치 지각이 의견표명의 주요 동인이 아니며, 정치효능감은 이들에게 자신과 반대되는 여론기후일지라도 여기에서 오는 동조 압력을 극복하고, 자신의 의견을 표명할 수 있게 하는 심리적 자원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1) how the consistency between one’s own opinion and the tones of user comments and news article affects users’ perception of opinion congruence (i.e., the belief that one’s view aligns with the majority), (2) how this perce...
This study examined (1) how the consistency between one’s own opinion and the tones of user comments and news article affects users’ perception of opinion congruence (i.e., the belief that one’s view aligns with the majority), (2) how this perceived opinion congruence influences the intention to express opinions online, and (3) the moderating role of political efficacy in the above relationship. An online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400 Korean adults, focusing on the ‘death penalty’ and ‘baby boxes’ issues.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one of four conditions based on the alignment between their own opinion and the tone of the news article and user comments: (A) article and comments both aligned (B) only comments aligned, (C) only article aligned, and (D) both misaligned. The results revealed that with regard to both issues, perceived opinion congruence was highest in the groups where both the article and comments aligned (group A), and only comments aligned with the participant’s view (group B). Conversely, perceived opinion congruence was lowest in the groups where only the article aligned (group C) and neither aligned (group D). Participants in the “only comments aligned” groups (B) reported higher perceived congruence than those in the “only article aligned” groups (C), suggesting that in cases of conflicting tones, user comments exert greater influence than news articles on perceived public opinion. Second, as the degree of alignment between one’s own opinion and article-comments tone increased, participants’ intention to express opinions also increased, and this relationship was fully mediated by perceived opinion congruence. Third, political efficac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pinion congruence and intention to express opinions. Specifically, at lower levels of political efficacy, perceived opinion congruence ha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opinion expression intention. However, this effect was not significant at higher levels of political efficac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ndividuals with high political efficacy are less swayed by majority opinion climates and are more likely to express their views regardless of perceived opinion congruence, highlighting political efficacy serves a psychological resource that enables individuals to resist conformity pressure and express their own views, even in dissenting opinion climates.
커뮤니케이션 자본주의 시대의 ICT, 노동, 그리고 마음의 상처: <다음 소희>는 말할 수 있는가?
네이버 뉴스 미디어 논리와 선거 보도의 미디어화: ‘랭킹뉴스’에 나타난 22대 국회의원 선거 보도를 중심으로
포퓰리즘 시대의 청년 정치: 온라인 커뮤니티 담론이 구성하는 청년 정치인의 ‘자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