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도시재생뉴딜인식과 지역애착 및 지속적 개발지지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 정책수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of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erception, Local Attach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Support Ma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8033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초록

      도시재생뉴딜인식과 지역애착 및 지속적 개발지지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정책수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 지 영
      창신대학교 부동산대학원
      부동산경영학과

      도시재생뉴딜사업은 국내 산업구조에 대한 변화 및 인구 고령화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활력을 잃은 낙후지역에 대해, 지역사회 전반의 기반 시설에 대한 질을 향상시키는 사업으로 문재인 정부가 들어오면서 국정 과제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총 50조 원을 투입하는 변모된 지역 도시의 개발 사업이다. 이러한 도시재생뉴딜사업의 목적은 지역주민의 지지도를 통해 지역공동체를 활성화시키고, 지역주민의 지지도를 기반으로 한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지각된 주민의 긍정적 혹은 부정적 인식을 의미한다. 이에 해당 도시재생뉴딜사업에 대한 지각된 도시재생뉴딜인식을 통하여, 해당 지역의 사회문화적, 경제적, 환경적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재생뉴딜사업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도시재생뉴딜사업지로 경상남도 지역(창원특례시의 충무지구, 김해시의 삼안동, 양산시의 북구지구, 신기지구, 삼호지구, 주남지구, 남해군 등)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도시재생뉴딜사업에 대해 지역주민이 지각하고 있는 도시재생뉴딜인식을 고찰하여 하부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에 도시재생뉴딜인식의 하부요인(환경적인식, 경제적인식, 사회문화적인식)이 지역애착 및 주민의 지속적 지지도, 그리고 정책 수용성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을 위한 모형을 성립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 도시재생뉴딜사업지의 모집단을 통하여, 도시재생뉴딜인식이 지역애착 및 주민의 지속적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과, 도시재생뉴딜인식이 지역애착과 지속적 지지도 간의 관계에서 정책 수용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이러한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의 매개적 성향을 살펴보기 위해, 도시재생뉴딜인식이 주민의 지속적 지지도 간의 관계에서 지역애착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22년 3월 2일부터 5월 1일까지 경상남도 도시재생뉴딜사업의 대상지인 창원특례시의 충무지구, 김해시의 삼안동, 양산시의 북구지구, 신기지구, 삼호지구, 주남지구, 남해군의 서변리에 거주하는 주민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총 202부의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통계프로그램인 IBM SPSS Statistics for Windows, Version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그리고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추가 가설검증을 위한 단순 회귀분석기법 및 다중 회귀분석기법 그리고 지역애착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을 위한 3단계 매개회귀분석기법을 실시하였다. 특히, 해당 주민의 정책 수용성에 대한 조절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기법과 T-검정 테스트, 아노바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검증을 통하여, 경상남도 도시재생뉴딜사업지에서 나타난 도시재생뉴딜사업에 대한 주민의 도시재생뉴딜인식 및 지역애착 그리고 지속적인 지지도에 대한 다수의 분석수치를 획득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는 향후 다른 타지역의 도시재생뉴딜사업지에 대한 도시재생뉴딜사업의 활성화 계획수립 및 운영방안에서 있어서 나타날 수 있는 다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제언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시사점이 크다. 특히, 문재인 정부 이후, 전국적으로 도시재생뉴딜사업들이 전략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지금, 본 연구를 국내 도시재생뉴딜사업지에 대한 전략적인 사업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한계점 또한, 분명하다. 도시재생뉴딜사업에 대한 본 연구의 한계는 본 연구의 표본을 경상남도의 몇몇 지역만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기에, 본 연구의 결과를 대한민국 전체의 도시재생뉴딜사업지에 대한 관련 연구로 일반화시키거나 보편화하는 데 있어서 지역적이나 공간적인 한계를 보일 수 있다.
      번역하기

      국문초록 도시재생뉴딜인식과 지역애착 및 지속적 개발지지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정책수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 지 영 창신대학교 부동산대학원 부동산경영학과 도시재생...

      국문초록

      도시재생뉴딜인식과 지역애착 및 지속적 개발지지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 정책수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정 지 영
      창신대학교 부동산대학원
      부동산경영학과

      도시재생뉴딜사업은 국내 산업구조에 대한 변화 및 인구 고령화 등과 같은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활력을 잃은 낙후지역에 대해, 지역사회 전반의 기반 시설에 대한 질을 향상시키는 사업으로 문재인 정부가 들어오면서 국정 과제로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총 50조 원을 투입하는 변모된 지역 도시의 개발 사업이다. 이러한 도시재생뉴딜사업의 목적은 지역주민의 지지도를 통해 지역공동체를 활성화시키고, 지역주민의 지지도를 기반으로 한 도시재생뉴딜사업의 지각된 주민의 긍정적 혹은 부정적 인식을 의미한다. 이에 해당 도시재생뉴딜사업에 대한 지각된 도시재생뉴딜인식을 통하여, 해당 지역의 사회문화적, 경제적, 환경적 가치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재생뉴딜사업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도시재생뉴딜사업지로 경상남도 지역(창원특례시의 충무지구, 김해시의 삼안동, 양산시의 북구지구, 신기지구, 삼호지구, 주남지구, 남해군 등)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도시재생뉴딜사업에 대해 지역주민이 지각하고 있는 도시재생뉴딜인식을 고찰하여 하부요인을 도출하였으며, 이에 도시재생뉴딜인식의 하부요인(환경적인식, 경제적인식, 사회문화적인식)이 지역애착 및 주민의 지속적 지지도, 그리고 정책 수용성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을 위한 모형을 성립하였다. 이를 위해, 경남지역 도시재생뉴딜사업지의 모집단을 통하여, 도시재생뉴딜인식이 지역애착 및 주민의 지속적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과, 도시재생뉴딜인식이 지역애착과 지속적 지지도 간의 관계에서 정책 수용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였다.
      또한, 이러한 변수 간의 구조적 관계의 매개적 성향을 살펴보기 위해, 도시재생뉴딜인식이 주민의 지속적 지지도 간의 관계에서 지역애착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여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2022년 3월 2일부터 5월 1일까지 경상남도 도시재생뉴딜사업의 대상지인 창원특례시의 충무지구, 김해시의 삼안동, 양산시의 북구지구, 신기지구, 삼호지구, 주남지구, 남해군의 서변리에 거주하는 주민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총 202부의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통계프로그램인 IBM SPSS Statistics for Windows, Version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그리고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추가 가설검증을 위한 단순 회귀분석기법 및 다중 회귀분석기법 그리고 지역애착의 매개효과에 대한 검증을 위한 3단계 매개회귀분석기법을 실시하였다. 특히, 해당 주민의 정책 수용성에 대한 조절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기법과 T-검정 테스트, 아노바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검증을 통하여, 경상남도 도시재생뉴딜사업지에서 나타난 도시재생뉴딜사업에 대한 주민의 도시재생뉴딜인식 및 지역애착 그리고 지속적인 지지도에 대한 다수의 분석수치를 획득하는 데 성공하였다. 이는 향후 다른 타지역의 도시재생뉴딜사업지에 대한 도시재생뉴딜사업의 활성화 계획수립 및 운영방안에서 있어서 나타날 수 있는 다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제언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시사점이 크다. 특히, 문재인 정부 이후, 전국적으로 도시재생뉴딜사업들이 전략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지금, 본 연구를 국내 도시재생뉴딜사업지에 대한 전략적인 사업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한계점 또한, 분명하다. 도시재생뉴딜사업에 대한 본 연구의 한계는 본 연구의 표본을 경상남도의 몇몇 지역만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기에, 본 연구의 결과를 대한민국 전체의 도시재생뉴딜사업지에 대한 관련 연구로 일반화시키거나 보편화하는 데 있어서 지역적이나 공간적인 한계를 보일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표목차 ⅴ
      • 그림목차 ⅶ
      • 국문초록 ⅷ
      • 목 차
      • 표목차 ⅴ
      • 그림목차 ⅶ
      • 국문초록 ⅷ
      • 제 1 장 서 론 1
      • 제 1 절 연구의 배경 및 연구 목적 1
      • 1. 연구의 배경 1
      • 2. 연구 목적 5
      • 제 2 절 연구방법 및 논문의 구성 8
      • 1. 연구방법 8
      • 2. 논문의 구성 9
      • 제 2 장 이론적 배경 13
      • 제 1 절 도시재생뉴딜인식의 문헌적 고찰 13
      • 1. 도시재생과 도시재생뉴딜사업 13
      • 2. 도시재생 관련 법규 23
      • 3. 해외 도시재생 사례 검토 24
      • 4. 도시재생뉴딜인식의 구성요인 36
      • 제 2 절 지역애착의 문헌적 고찰 46
      • 1. 지역애착 46
      • 2. 지역애착의 선행연구 49
      • 제 3 절 지속적 개발지지도의 문헌적 고찰 51
      • 1. 지속적 개발지지도 51
      • 2. 지속적 개발지지도의 선행연구 53
      • 제 4 절 정책수용성의 이론적 고찰 55
      • 1. 정책수용성 55
      • 2. 정책수용성의 선행연구 57
      • 제 5 절 선행연구 검토 및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59
      • 1. 선행연구 검토 59
      • 2.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62
      • 제 3 장 도시재생뉴딜사업지의 현황 65
      • 제 1 절 도시재생뉴딜사업지의 일반적 사항 65
      • 1. 창원특례시 65
      • 2. 김해시 (진영읍 도시재생뉴딜사업) 66
      • 3. 남해군 67
      • 4. 양산시(북구지구, 신기지구, 삼호지구, 주남지구 도시재생뉴딜사업) 68
      • 5. 도시재생뉴딜사업지의 특징 69
      • 제 2 절 도시재생뉴딜사업지 선별 기준 70
      • 제 4 장 연구 설계 72
      • 제 1 절 연구과제 및 연구가설의 설정 72
      • 1. 연구과제 1의 설정 72
      • 2. 연구과제 2의 설정 81
      • 제 2 절 조사의 설계 82
      • 1. 표본의 설계 82
      • 2. 개념의 조작적 정의와 측정 84
      • 3. 설문지 구성 89
      • 4. 분석방법 및 절차 91
      • 제 5 장 분석결과 및 가설검증 93
      • 제 1 절 조사표본의 일반적 특성 93
      • 제 2 절 가설검증을 위한 예비분석 95
      • 1. 측정도구의 타당성 분석 95
      • 2.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 99
      • 제 3 절 연구 가설의 검증 102
      • 1. 변수 간 상관관계분석 102
      • 2. 도시재생뉴딜인식이 지역애착에 미치는 영향 102
      • 3. 지역애착이 지속적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104
      • 4. 도시재생뉴딜인식이 지속적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105
      • 5. 정책수용성의 조절효과 107
      • 6. 지역애착의 매개효과 113
      • 제 4 절 연구과제 2에 대한 추가분석 119
      • 1. 거주지에 따른 주민의 도시재생뉴딜인식의 차이분석 119
      • 2. 지역애착, 지속적 지지도 및 정책수용성의 차이분석 120
      • 제 6 장 결론 및 제언 122
      • 제 1 절 분석 결과의 요약 122
      • 제 2 절 연구의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 128
      • 1. 연구의 시사점 128
      • 2. 연구의 한계점 131
      • [참고문헌] 133
      • ABSTRACT 148
      • 부 록(설문지) 15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