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중렬, "항일노동투쟁사: 징용당한 백만노동자들의 뒷소식" 집현사 1978
2 김윤환, "한국노동운동사Ⅰ: 일제편" 청사 1982
3 변은진, "파시즘적 근대체험과 조선민중의 현실인식" 선인 2013
4 "조선일보"
5 청암대학교 재일코리안연구소,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의 형성: 이주와 정주를 중심으로" 선인 2013
6 김인덕, "재일조선인사와 식민지 문화" 경인문화사 2005
7 外村大, "재일조선인 사회의 역사학적 연구" 논형 2010
8 김인덕,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활동에 대한 검토"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0 : 321-340, 1996
9 김경일, "일제하 노동운동사" 창작과비평사 1994
10 정근식, "일제하 검열기구와 검열관의 변동" 대동문화연구원 (51) : 1-44, 2005
1 김중렬, "항일노동투쟁사: 징용당한 백만노동자들의 뒷소식" 집현사 1978
2 김윤환, "한국노동운동사Ⅰ: 일제편" 청사 1982
3 변은진, "파시즘적 근대체험과 조선민중의 현실인식" 선인 2013
4 "조선일보"
5 청암대학교 재일코리안연구소, "재일코리안 디아스포라의 형성: 이주와 정주를 중심으로" 선인 2013
6 김인덕, "재일조선인사와 식민지 문화" 경인문화사 2005
7 外村大, "재일조선인 사회의 역사학적 연구" 논형 2010
8 김인덕, "재일본조선노동총동맹 활동에 대한 검토"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0 : 321-340, 1996
9 김경일, "일제하 노동운동사" 창작과비평사 1994
10 정근식, "일제하 검열기구와 검열관의 변동" 대동문화연구원 (51) : 1-44, 2005
11 정혜경, "일제시대 재일조선 인민족운동연구: 오사카[대판]을 중심으로" 국학자료원 2001
12 이연, "일제강점기 조선언론 통제사" 박영사 2014
13 김인덕, "식민지시대 재일조선인운동 연구" 국학자료원 1996
14 이혜령, "식민지 검열과 “식민지-제국” 표상 -『조선출판경찰월보』의 다섯 가지 통계표가 말해주는 것" 대동문화연구원 (72) : 489-533, 2010
15 강문희, "송영 소설 연구 : 식민지 시기 국제주의 연애와 가족 서사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1
16 천정환, "소문(所聞)ㆍ방문(訪問)ㆍ신문(新聞)ㆍ격문(檄文) : 3ㆍ1운동 시기의 미디어와 주체성" 한국문학연구소 (36) : 109-154, 2009
17 권보드래, "선언과 등사(謄寫) -3·1 운동에 있어 문자와 테크놀로지" 반교어문학회 (40) : 373-400, 2015
18 정선태, "삐라, 매체에 맞서는 매체-해방 직후 소설을 통해 본 삐라의 정치학-" 인문과학연구소 (35) : 5-32, 2012
19 "무산자"
20 정근식, "도서과의 설치와 일제 식민지출판경찰의 체계화, 1926-1929" 한국문학연구소 (30) : 103-169, 2006
21 정진석, "극비 조선총독부의 언론검열과 탄압: 일본의 침략과 열강세력의 언론통제"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22 김재기, "광주학생독립운동에 대한 재일 조선인들의 지지 운동" 재외한인학회 (25) : 109-135, 2011
23 정근식, "검열의 제국: 문화의 통제와 재생산" 푸른역사 2016
24 紅野謙介, "検閱と文学: 1920年代の攻防" 河出ブックス 2009
25 "朝鮮出版警察月報"
26 "出版警察報"
27 한기형, "‘법역(法域)’과 ‘문역(文域)’-제국 내부의 표현력 차이와 출판시장" 민족문학사학회 (44) : 309-339, 2010
28 Kawashima, Ken C., "The Proletarian Gamble: Korean Workers in Interwar Japan" Duke University Press 2009
29 Prashad, Vijay, "Everybody Was Kung Fu Fighting: Afro-Asian Connections and the Myth of Cultural Purity" Beacon Press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