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사회는 자신의 삶의 가치를 향상시키고자 다양성과 개성을 추구한다. 또한 문화와 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으로써 새롭고 창의적이고 개성 있는 다양한 디자인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677161
경산 : 대구대학교, 2020
학위논문(석사) -- 대구대학교 디자인대학원 , 생활예술디자인학과 뷰티디자인전공 , 2020
2020
한국어
593 판사항(6)
646.72 판사항(23)
경상북도
viii, 58 p. : 천연색삽화 ; 26 cm
지도교수: 김소현
참고문헌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대사회는 자신의 삶의 가치를 향상시키고자 다양성과 개성을 추구한다. 또한 문화와 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으로써 새롭고 창의적이고 개성 있는 다양한 디자인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
현대사회는 자신의 삶의 가치를 향상시키고자 다양성과 개성을 추구한다. 또한 문화와 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으로써 새롭고 창의적이고 개성 있는 다양한 디자인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다. 과거 헤어디자인 영역에서 벗어나 독창적인 디자인 만들어내기 위해 새로운 기법이나 소재의 제한 없이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사람의 정서적 안정과 치유도 되는 대중적인 창의예술로 발전해 가고 있다. 특히 요즘의 트렌드인 몸과 마음의 치유와 회복이라는 뜻의 힐링을 통해 자연친화적인 자연주의적 예술이 새로운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이와 함께 자연은 많은 영감을 주고 자연은 인위적이지 않으며 정형화 되지 않은 자유로움을 가지며 생명력에서 느껴지는 생동감과 순수하고 조화로운 자연적 아름다움이 형태와 색으로 나타나 다양하게 형상화 할 수 있는 소재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바다의 조화와 균형에 영감을 받은 섬세하고 감각적인 형태의 도자기 조각을 창조한 예술가 노리코 쿠레즈미의 도조작품 중 바다생물을 모티브로 한 작품에서 나타나는 조형적 특성을 응용하여 자유로운 선들의 연결과 중첩, 반복 등의 형태와 형태가 가진 다양한 질감과 그리고 색채의 특징을 헤어아트 디자인에 접목하여 구조적이고 입체적인 차별화된 헤어아트 디자인 총 5개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작품Ⅰ 노리코 쿠레즈미의 조개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조작품 Sea of memory 053을 모티브로 하여 인모가발에 사선으로 흘러내리는 웨이브를 연결하여 역동적이며 생동감을 표현하였다. 웨이브 크기의 변화를 주어 겹겹이 쌓이게 하고 전체 웨이브의 흐름을 연결시켜 입체미와 조형미를 표현하였다.
작품Ⅱ 노리코 쿠레즈미의 산호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조작품 Sea of memory 011을 모티브로 하여 인모가발에 사선으로 연결되는 웨이브를 만들어 층이 나면서 겹겹이 쌓아 올려 율동미와 입체미를 표현하였다.
작품Ⅲ 노리코 쿠레즈미의 산호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조작품 Sea of memory 003을 모티브로 하여 인모가발의 결을 가지런히 정리하고 면을 최대한 활용하여 매끈하고 단단한 도자기의 느낌을 주었으며 연속적으로 겹쳐지게 하고 높낮이를 조절하여 음영효과와 더해 입체미와 조형미를 표현하였다.
작품Ⅳ 노리코 쿠레즈미의 조개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조작품 Sea of memory 053을 모티브로 하여 인모가발을 깨끗하게 빗질하여 곡선과 매끈한 면을 겹쳐지게 만들고 율동미를 더하기 위해 볼륨을 살린 물결 웨이브를 연결하여 디자인을 균형감 있게 표현하였다.
작품Ⅴ 노리코 쿠레즈미의 말미잘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조작품 Sea of memory 019를 모티브로 하여 인모가발을 감아올리는 기법으로 원기둥 모양의 토대를 만들어 균형을 이루고 조화롭게 표현하였다. 토대를 중심으로 전체적인 다양한 크기의 웨이브를 주어 풍성함이 주는 우아함을 나타냈으며 율동 미와 리듬감을 표현하였다.
본 연구는 노리코 쿠레즈미 작품 중 바다생물의 이미지를 응용한 도조작품의 조형적 특성을 활용하여 새로운 헤어디자인 작품을 제작하였다. 정형화 되지 않은 형태와 형태에서 보여 지는 질감, 그리고 자연적인 색채에서 율동미와 중첩미, 우아미의 조형미를 응용하여 생동감 있고 입체적이며 조형적인 헤어아트 디자인을 창작하였다. 지금까지 헤어아트 디자인에 연구되어 오던 다양한 종류의 예술 분야는 많지만 도조분야와 관련하여 연구한 사례가 드물어 본 연구의 앞으로의 발전적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예술분야를 모티브로 새로운 것을 창출하고 발전시켜 나가려는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어지길 바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