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ㄴ/-/ㄹ/가 연이어 오는 환경에서의 유음화-비음화에 대한 실증적 연구 -전북 지역 화자를 중심으로- = An Empirical Study on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Lateralization and Nasalization of Successive ‘ㄴ’/n/ and ‘ㄹ’/l/ Consonants in Kore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00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ed at finding out lateralization and nasalization patterns of successive /n/ and /l/ consonants in /n/-/l/ containing Korean words and sentences from the north Jeolla dialect speaking subjects. In Korean phonology and school grammar, it is claimed that lateralization in this phonological position should happen since lateral /l/ is stronger than nasal /n/ based upon ‘Sonority Hierarchy.’ An experiment was designed to verify whether this assertion was realized by the subjects. The number of subjects was 113(male: 51, female: 63). Words and sentence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71 and 35 respectively. They read each word and sentence twice with the method of reading through word and sentence lists second time, after reading through whole word and sentence lis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several important points. Firstly, /nn/ was pronounced more than /ll/ unlike the original assertion, in particular from the groups of ‘age 30s or higher.’ Secondly, newly arisen /nl/ sounds were pronounced by ‘age 20s or under’ groups. Thirdly, /nn/ was pronounced more in word list than in sentence list. It seemed that /nn/ was cautious pronunciation compared with /ll/ since reading words would elicit more consciousness for target sounds than reading sentences. Fourthly, female subjects preferred /ll/ or /nn/ while male subjects showed relatively high percentage of /nl/ as the third pronunciation option. Finally, constancy rate of /n-l/ pronunciation in word level was high for ‘age 30s or higher’ groups. However, /n-l/ constancy rate in sentence level were dropped down in all age groups.
      번역하기

      This paper aimed at finding out lateralization and nasalization patterns of successive /n/ and /l/ consonants in /n/-/l/ containing Korean words and sentences from the north Jeolla dialect speaking subjects. In Korean phonology and school grammar, it ...

      This paper aimed at finding out lateralization and nasalization patterns of successive /n/ and /l/ consonants in /n/-/l/ containing Korean words and sentences from the north Jeolla dialect speaking subjects. In Korean phonology and school grammar, it is claimed that lateralization in this phonological position should happen since lateral /l/ is stronger than nasal /n/ based upon ‘Sonority Hierarchy.’ An experiment was designed to verify whether this assertion was realized by the subjects. The number of subjects was 113(male: 51, female: 63). Words and sentences used in the experiment were 71 and 35 respectively. They read each word and sentence twice with the method of reading through word and sentence lists second time, after reading through whole word and sentence list.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 showed several important points. Firstly, /nn/ was pronounced more than /ll/ unlike the original assertion, in particular from the groups of ‘age 30s or higher.’ Secondly, newly arisen /nl/ sounds were pronounced by ‘age 20s or under’ groups. Thirdly, /nn/ was pronounced more in word list than in sentence list. It seemed that /nn/ was cautious pronunciation compared with /ll/ since reading words would elicit more consciousness for target sounds than reading sentences. Fourthly, female subjects preferred /ll/ or /nn/ while male subjects showed relatively high percentage of /nl/ as the third pronunciation option. Finally, constancy rate of /n-l/ pronunciation in word level was high for ‘age 30s or higher’ groups. However, /n-l/ constancy rate in sentence level were dropped down in all age group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순미, "현대국어 ㄴ-ㄹ 연쇄의 변이 현상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2 오새내, "현대 국어의 형태음운론적 변이 현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3 박시균, "한국어 용언 어간 말 자음군의 발음 연구: 서울경기 지역과 충남지역 출신의 20대 화자를 중심으로" 한국현대언어학회 26 (26): 791-816, 2011

      4 이영호, "초등 국어 교과서 발음 교육 내용 구성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9 : 263-303, 2008

      5 장우선, "유음화의 효과적인 지도 방안 연구 : 유음화의 음운론적, 형태론적 특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6 신영선, "유음화 현상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의 발음실태를 중심으로"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한명숙, "신어에서 나타나는 /ㄴㄹ/ 연쇄의 발음 양상 연구" 한말연구학회 (50) : 231-258, 2018

      8 김태경, "비음화와 유음화의 적용 기제에 대하여" 11 : 227-259, 2000

      9 고성연, "비음화와 유음화의 선택적 교체 현상" 22 : 3-26, 2002

      10 최진희, "비음화와 유음화의 발음 실태와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1 권순미, "현대국어 ㄴ-ㄹ 연쇄의 변이 현상에 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2 오새내, "현대 국어의 형태음운론적 변이 현상에 대한 사회언어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3 박시균, "한국어 용언 어간 말 자음군의 발음 연구: 서울경기 지역과 충남지역 출신의 20대 화자를 중심으로" 한국현대언어학회 26 (26): 791-816, 2011

      4 이영호, "초등 국어 교과서 발음 교육 내용 구성 연구" 한국문법교육학회 9 : 263-303, 2008

      5 장우선, "유음화의 효과적인 지도 방안 연구 : 유음화의 음운론적, 형태론적 특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6 신영선, "유음화 현상에 관한 연구 : 고등학생의 발음실태를 중심으로"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한명숙, "신어에서 나타나는 /ㄴㄹ/ 연쇄의 발음 양상 연구" 한말연구학회 (50) : 231-258, 2018

      8 김태경, "비음화와 유음화의 적용 기제에 대하여" 11 : 227-259, 2000

      9 고성연, "비음화와 유음화의 선택적 교체 현상" 22 : 3-26, 2002

      10 최진희, "비음화와 유음화의 발음 실태와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11 서보월, "국어의 유음화와 비음화에 대하여" 29 : 115-143, 1995

      12 이진호, "국어 유음화에 대한 종합적 고찰" 31 : 81-120, 1998

      13 김미자, "국어 어휘에서 나타나는 유음 실현 양상" 28 : 75-90, 2001

      14 이창근, "국어 발음 학습 교재 구성 방안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8 (8): 337-356, 2008

      15 Kaye, J., "The internal structure of phonological elements: A theory of Charm and Government" 2 : 305-328, 1985

      16 Selkirk, E. O, "The Role of Prosodic Categories in English Word Stress" 11 : 563-605, 1980

      17 Zec, D, "Sonority constraints on syllable structure" 12 : 85-129, 1995

      18 Anderson, J., "Principles of Dependency Phonology" CUP 1987

      19 Clements, N, "Papers in Laboratory Phonology I: Between the Grammar and Physics of Speech" CUP 283-333, 1990

      20 Kaye, J., "Constituent structure and government in phonology" 7 (7): 193-231, 1990

      21 Katamba, F., "An Introduction to Phonology" Longmans 1989

      22 Charette, M., "A revised theory of phonological elements" University of London 1994

      23 Ladefoged, P., "A Course in Phonetics" Harcourt, Brace, Jovanovich 1993

      24 임수록, "/ㄴ+ㄹ/과 /ㄹ+ㄴ/ 연접형 발음 실태 연구 : 창원지역 화자를 대상으로"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3

      25 김성옥, "/nl/연쇄에서 유⋅비음화에 대한 음운론적 제약 및 지배음운론적 분석"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72) : 3-26,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8-2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언어학회(대표:홍재성) -> 한국언어학회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언어학회(대표:임홍빈) -> 한국언어학회(대표:홍재성)
      영문명 :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 The Linguistic Society of Korea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Linguistic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 1.198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