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의사소통 훈련을 위한 소아치과용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에서 숙련수준이 사용자의 평가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Experience Level on User Perception in the VR Based Simulation for Communication Training with Virtual Patient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언어적 상호작용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평가 및 초점집단 면담을 통해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설계 원리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가상소...

      이 연구는 언어적 상호작용 훈련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 평가 및 초점집단 면담을 통해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설계 원리를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가상소아환자의 개발을 위해 효과적인 가상환자 설계 요소를 고려하였으며, 실제 소아환자의 외양과 언어적, 비언어적 특징을 반영하였다. 가상소아환자는 4단계의 문진절차(인사 → 인적사항 확인 → 개시질문 → 치아관찰)에 따라 사용자에게 실시간 음성기반 상호작용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전체적인 설계 및 개발 과정에서 소아치과 전문의와 지속적인 협의를 거쳤다. 사용자평가는 임상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치의학 전문대학원 3, 4학년 40명(여학생=17명, 남학생=23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이들은 모두 광역시 소재 4년제 국립대학의 치의학전문대학원에 재학 중이었다. 3학년은 28명(70.0%)이었으며, 4학년은 12명(30.0%)이었다. 4학년은 12개월간의 임상실습 거쳤으며, 이 과정에서 소아치과환자를 다룬 경험을 갖고 있었다. 실험참가자의 평균연령은 29.45세(SD=3.15)였다. 이 연구의 측정변수는 사용유용성, 사용만족도, 가상환자실재감이었으며, 분석방법은 다변량분석 후 개체간 효과검증이었다. 또한 사용경험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위해 참여자 중 4명을 편의표집하여 초점집단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4학년 학생들이 3학년 학생들에 비하여 가상소아환자의 사용유용성과 사용만족도를 높게 인식했다. 그러나 가상환자실재감에서는 임상 경험 유무에 따른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는데, 초점집단 면담을 통해 사용자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가상환자실재감보다는 기능적 유용성과 상호작용의 맥락성이기 때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소아환자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훈련할 수 있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을 개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언어적 상호작용을 위한 시뮬레이션 교육의 지평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virtual reality simulation for verbal interaction training and to propose the principles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design and development. In this virtual simulation, a virtual child patient was developed 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virtual reality simulation for verbal interaction training and to propose the principles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design and development. In this virtual simulation, a virtual child patient was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effective design factors of virtual patients and the characteristics of actual child patients such as appearance and verbal and non-verbal characteristics. The virtual child patient was designed to make a verbal conversation with the users. The virtual child patient was named as DANVI, which stands for Dental Avatar for Narrative Verbal Interaction. It was to emphasize the verbal function to communicate with the users. DANVI can demonstrate facial expression and various gestures enabling emotional conversation during the clinical review. It consists of 4 steps as greeting → personal information check → opening question → dental observation. For the user evaluation of the developed virtual reality simulation, forty dental students (female=17 and male=23) participated. They enrolled in a graduate studies of dentistries at a public university. The numbers of participants were twenty-eight (70.0%) and twelve (30.0%) for junior and senior respectively. The seniors had a clinical experience so that they had a clinical practice to treat child patients during the practicum for twelve months. The average age was 29.45 (SD=3.15).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usefulness, satisfaction, virtual patient presence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In addition,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four participants was conducted for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urvey results. As a result, senior students with pre-clinical experience were significantly more likely to recognize the usefulness and satisfaction of the virtual avatar than junior students with no pre-clinical experience.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 virtual avatar pres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is means that differences in perception on usefulness or satisfaction were not caused by the presence of the virtual patient, but by functional usability and the context of interac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broaden the horizons of simulation education for verbal interac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 선, "효과적인 가상환자 설계를 위한 평가 척도 개발" 전남대학교 2014

      2 배철현, "최근 3년간 전북대학교 치과병원의 소아청소년환자 의뢰경향" 대한소아치과학회 46 (46): 362-368, 2019

      3 김소명, "임상실습경험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암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예방적 건강행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655-664, 2019

      4 기수현,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예비교사의 수업역량 인식 연구: 교직 희망 여부와 교육실습에 따른 변화" 과학교육연구소 58 (58): 699-718, 2019

      5 이태선, "의대생의 미흡한 의사소통역량에 피드백을 적용한 재교육: 임상수행능력평가시험 및 객관구조화진료시험을 바탕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5-59, 2018

      6 유승범, "예비교사를 위한 HMD기반의 수업 시뮬레이션의 개발: 시나리오 유용성 및 가상실재감 지각의 차이" 과학교육연구소 56 (56): 309-323, 2017

      7 유승훈, "소아치과 내원 환아의 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대한소아치과학회 44 (44): 384-389, 2017

      8 문성용, "가상현실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수술 교육" 대한전자공학회 53 (53): 169-174, 2016

      9 박종태,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치아발치 교육콘텐츠가 치아발치에 관한 지식, 수행능력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9 (19): 650-660, 2019

      10 박종태, "가상현실 기반의 치아발치 수기 훈련을 위한 교육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218-228, 2018

      1 김 선, "효과적인 가상환자 설계를 위한 평가 척도 개발" 전남대학교 2014

      2 배철현, "최근 3년간 전북대학교 치과병원의 소아청소년환자 의뢰경향" 대한소아치과학회 46 (46): 362-368, 2019

      3 김소명, "임상실습경험에 따른 간호대학생의 암에 대한 지식과 태도 및 예방적 건강행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655-664, 2019

      4 기수현,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한 예비교사의 수업역량 인식 연구: 교직 희망 여부와 교육실습에 따른 변화" 과학교육연구소 58 (58): 699-718, 2019

      5 이태선, "의대생의 미흡한 의사소통역량에 피드백을 적용한 재교육: 임상수행능력평가시험 및 객관구조화진료시험을 바탕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45-59, 2018

      6 유승범, "예비교사를 위한 HMD기반의 수업 시뮬레이션의 개발: 시나리오 유용성 및 가상실재감 지각의 차이" 과학교육연구소 56 (56): 309-323, 2017

      7 유승훈, "소아치과 내원 환아의 심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대한소아치과학회 44 (44): 384-389, 2017

      8 문성용, "가상현실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수술 교육" 대한전자공학회 53 (53): 169-174, 2016

      9 박종태, "가상현실 기술을 활용한 치아발치 교육콘텐츠가 치아발치에 관한 지식, 수행능력 및 실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9 (19): 650-660, 2019

      10 박종태, "가상현실 기반의 치아발치 수기 훈련을 위한 교육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218-228, 2018

      11 Steinauer, J. E., "What Do Medical Students Do and Want When Caring for"Difficult Patients"?" 31 (31): 238-249, 2019

      12 Foster, A., "Using virtual patients to teach empathy :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to enhance medical students’ empathic communication" 11 (11): 181-189, 2016

      13 Kleinsmith, A., "Understanding empathy training with virtual patients" 52 : 151-158, 2015

      14 Boynton, J. R., "The virtual child : evaluation of an internet-based pediatric behavior management simulation" 71 (71): 1187-1193, 2007

      15 Gunn, T., "The use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to improve technical skill in the undergraduate medical imaging student" 26 (26): 613-620, 2018

      16 Pan, X., "The responses of medical general practitioners to unreasonable patient demand for antibiotics-a study of medical ethics using immersive virtual reality" 11 (11): e0146837-, 2016

      17 Pence, T. B., "The effects of interaction and visual fidelity on learning outcomes for a virtual pediatric patient system" 209-218, 2013

      18 Wang, D., "Survey on multisensory feedback virtual reality dental training systems" 20 (20): 248-260, 2016

      19 Appukuttan, D. P., "Strategies to manage patients with dental anxiety and dental phobia: literature review" 8 : 35-, 2016

      20 David Passig, "Improving children's cognitive modifiability by dynamic assessment in 3D Immersive Virtual Reality environments" Elsevier BV 95 : 296-308, 2016

      21 Krueger, R. A., "Focus groups: a practical guide for applied research" Sage 2009

      22 Merchant, Z., "Effectiveness of virtual reality-based instruction on students’ learning outcomes in K-12 and higher education : A meta-analysis" 70 : 29-40, 2014

      23 Lee, J., "Effective virtual patient simulators for medical communication training: a systematic review" Medical Education 2020

      24 Halabi, O., "Design of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in individuals with autism" 12 (12): 50-64, 2017

      25 Papadopoulos, L., "Design and evaluation of a simulation for pediatric dentistry in virtual worlds" 15 (15): e240-, 2013

      26 Nassar, H. M., "Computer simulation and virtual reality in undergraduate operative and restorative dental education: A critical review" 2020

      27 Chung, H. C., "Communication factor analysis of pediatric dental patients for developing health communication system"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2018

      28 Kava, B. R., "Communication Skills Assessment Using Human Avatars : Piloting a Virtual World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 4 (4): 76-84, 2017

      29 Morgan, A. G., "Children’s experiences of dental anxiety" 27 (27): 87-97, 2017

      30 Nowak, K. L., "Avatars and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 a review of the definitions, uses, and effects of digital representations" 6 : 30-53, 2018

      31 Joda, T.,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in dental medicine : A systematic review" 108 : 93-100, 2019

      32 Real, F. J., "A virtual reality curriculum for pediatric residents decreases rates of influenza vaccine refusal" 17 (17): 431-435,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 Broadcasting ->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 1.96 2.299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