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강점이 기독교인의 영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Satir 성장모델의 자존감과 일치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격강점이 기독교인의 영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고, 이 과정에서 Satir 성장모델의 자존감과 일치성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회에 출석하는 기독교인 41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Baron과 Kenny(1986)가 제시한 매개회귀분석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은 일치성(대인간 차원), 연령은 성격강점(용기, 절제, 정의), 자존감, 일치성, 영적 안녕감, 학력은 성격강점(자애)과 일치성(대인간 차원)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그리고 월 소득은 자존감과 일치성(심리내적 차원, 일치성 전체)에서 차이가 있었다.
둘째, 기독교인의 신앙특성에 따른 변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신앙연수는 성격강점(초월), 일치성(심리내적 차원, 영성 차원, 일치성 전체), 영적 안녕감, 예배참석은 성격강점(정의, 초월), 일치성(영성 차원, 일치성 전체), 종교적 안녕감, 영적 안녕감, 종교 활동은 성격강점(절제)과 일치성(대인간 차원)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그리고 개인 기도시간은 모든 변인에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성격강점, 자존감 일치성 수준에 따른 영적 안녕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모든 변인에서 상, 중, 하 집단 간에 차이가 있었다.
넷째, 성격강점, 자존감, 일치성, 영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모두 정적상관이 있었다. 성격강점, 자존감, 일치성은 종교적 안녕감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설명력은 45%로 초월, 영성 차원 지혜, 절제 순으로 종속변인을 설명하고 있었다. 실존적 안녕감의 설명력은 57%였고, 자존감, 영성 차원, 지혜, 초월, 대인간 차원 순이었다. 영적 안녕감은 54%의 설명력으로 초월, 영성 차원, 지혜, 자존감, 대인간 차원 순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다섯째, 성격강점과 영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자존감과 일치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자존감은 지혜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었고, 자애, 용기, 절제, 정의, 초월에서는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일치성은 지혜와 절제에서 심리내적 차원과 영성 차원이 완전매개효과가 있었고, 대인간 차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자애, 용기, 정의, 초월에서는 일치성의 모든 하위영역이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이 연구는 성격강점이 기독교인의 영적 안녕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자존감과 일치성의 매개변인에 의해 그 영향력을 증가시키고 영적 안녕감을 더 증진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규명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독교인의 영적 안녕감을 증진시키는데 있어 성격강점이라는 새로운 자원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여 기독교인의 과학적인 행복연구에 기여하였다. 또한 성격강점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자존감과 일치성의 개입에 대한 근거를 과학적으로 검증하여 기독교인의 행복 및 성장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