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빤짜딴뜨라(Pañcatantra)』의 전승과 교훈 ―도덕(dharma)과 현실(nīti) 사이에 선 삶을 가르치는 인도 고대의 우화― = Transmission and Moral of the Pañcatantra: the Tension between the Traditional Moral (dharma) and the Art of Living (nīti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2168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article aims to reveal the fundamental factors which contributed to the popularity of the ancient Indian collection of fables, the Pancatantra,shown in its world-wide circulation and consequently numerous adaptations made in diverse places and periods. By analyzing the major aspects of the morals offered by the Pancatantra with two indigenous Indian terms, namely dharma (traditional morals) and n.ti (art of living), the cultural context of the text could be made clearer in regard to not only its contents but also its way of literary composition and transmission.
      In the introduction of the article, the position of the Pancatantra in the history of world literature and its textual transmission in India is explicated.
      The introduction also includes a short review of the current state of philological research on the transmissions of numerous versions which points to the significnace of the oldest extant adaptation of the work, i.e. the Tantr.khy.yika. Based on the Tantr.khy.yika, I have sketched the cultural and religious background of the Pancatantra in ancient India. The main and at the same time moral reason for the popularity of the text lies in the tension between the traditional ethics (dharma) and the art of living (niti).
      This approach allows not only the individual stories more comprehensible,but also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stories tangible,namely in form of narratives in prose combined with verses which show strong link with the genre of the aphorisms (subha.ita) and the worldly wisdom (niti쏿stra) widely circulated in ancient India. This discussion explains also the literary devices employed in the Pancatantra, i.e. the shift of the spatial background into southern India and the character settings as animals with a view to avoiding the nuisance of the real absurdity in life. Furthermore, the realistic development of the stories without any wondrous incidences is also crucial in avoiding the loss of the persuasive power of the stories offered as lessons for the worldly wisdom.
      번역하기

      The present article aims to reveal the fundamental factors which contributed to the popularity of the ancient Indian collection of fables, the Pancatantra,shown in its world-wide circulation and consequently numerous adaptations made in diverse places...

      The present article aims to reveal the fundamental factors which contributed to the popularity of the ancient Indian collection of fables, the Pancatantra,shown in its world-wide circulation and consequently numerous adaptations made in diverse places and periods. By analyzing the major aspects of the morals offered by the Pancatantra with two indigenous Indian terms, namely dharma (traditional morals) and n.ti (art of living), the cultural context of the text could be made clearer in regard to not only its contents but also its way of literary composition and transmission.
      In the introduction of the article, the position of the Pancatantra in the history of world literature and its textual transmission in India is explicated.
      The introduction also includes a short review of the current state of philological research on the transmissions of numerous versions which points to the significnace of the oldest extant adaptation of the work, i.e. the Tantr.khy.yika. Based on the Tantr.khy.yika, I have sketched the cultural and religious background of the Pancatantra in ancient India. The main and at the same time moral reason for the popularity of the text lies in the tension between the traditional ethics (dharma) and the art of living (niti).
      This approach allows not only the individual stories more comprehensible,but also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stories tangible,namely in form of narratives in prose combined with verses which show strong link with the genre of the aphorisms (subha.ita) and the worldly wisdom (niti쏿stra) widely circulated in ancient India. This discussion explains also the literary devices employed in the Pancatantra, i.e. the shift of the spatial background into southern India and the character settings as animals with a view to avoiding the nuisance of the real absurdity in life. Furthermore, the realistic development of the stories without any wondrous incidences is also crucial in avoiding the loss of the persuasive power of the stories offered as lessons for the worldly wisdo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인도 고대의 우화집 『빤짜딴뜨라(Pancatantra)』의 세계문학사적 위치를소개하고, 이 작품의 인도 내 전승과정은 물론 그 전승과 연관된 인도의 문화적, 종교적 배경을 소개하여 인도문화사의 맥락 안에서『빤짜딴뜨라』의 내용과 형식의 이해가 가능하도록 설명을 제공함과 동시에 『빤짜딴뜨라』에 대한 연구사를 비판적이고 개괄적으로 소개한다. 이를 통해 『빤짜딴뜨라』의 가장 오래된 판본인 『딴뜨라캬이까(Tantr.khy.yika)』를 근거로 삼아 논의를 전개하는 의미가 분명하게 만들어진 다음, 이 설화 텍스트 자체가 밝히고있는 텍스트의 생성에 대한 전설적이고 문학적인 설명을 소개하고 이를 인도문화사의 배경안에서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지를 다중적으로 밝힌다. 나아가 이 텍스트가 가진 매력이 자 주된 교훈이 바로 전통적 도덕률(dharma)과 부조리한 현실을 살아가는 처세술(n.ti)의 긴장관계에 있다는 점을 주장하고 이것을 설득력 있게 보여줄 것이다. 특히 이러한 이해는 텍스트의 내용은 물론 텍스트의 구성과 전승이라는 텍스트 구성의 형식을 이해하는 데에서도중요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하게 하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긴장관계의 불필요한 부담을 덜기 위해 마련된 문학적인 장치들은 물론, 이와는 다르게 현실의 부조리함이 이야기들의 전개 안에서 무력화되지 않도록 구성된 이야기들의 진행상의 특징을 지적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본 논문에서는 인도 고대의 우화집 『빤짜딴뜨라(Pancatantra)』의 세계문학사적 위치를소개하고, 이 작품의 인도 내 전승과정은 물론 그 전승과 연관된 인도의 문화적, 종교적 배경을 소개하...

      본 논문에서는 인도 고대의 우화집 『빤짜딴뜨라(Pancatantra)』의 세계문학사적 위치를소개하고, 이 작품의 인도 내 전승과정은 물론 그 전승과 연관된 인도의 문화적, 종교적 배경을 소개하여 인도문화사의 맥락 안에서『빤짜딴뜨라』의 내용과 형식의 이해가 가능하도록 설명을 제공함과 동시에 『빤짜딴뜨라』에 대한 연구사를 비판적이고 개괄적으로 소개한다. 이를 통해 『빤짜딴뜨라』의 가장 오래된 판본인 『딴뜨라캬이까(Tantr.khy.yika)』를 근거로 삼아 논의를 전개하는 의미가 분명하게 만들어진 다음, 이 설화 텍스트 자체가 밝히고있는 텍스트의 생성에 대한 전설적이고 문학적인 설명을 소개하고 이를 인도문화사의 배경안에서 어떻게 이해해야 할 것인지를 다중적으로 밝힌다. 나아가 이 텍스트가 가진 매력이 자 주된 교훈이 바로 전통적 도덕률(dharma)과 부조리한 현실을 살아가는 처세술(n.ti)의 긴장관계에 있다는 점을 주장하고 이것을 설득력 있게 보여줄 것이다. 특히 이러한 이해는 텍스트의 내용은 물론 텍스트의 구성과 전승이라는 텍스트 구성의 형식을 이해하는 데에서도중요한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을 분명하게 하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이러한 긴장관계의 불필요한 부담을 덜기 위해 마련된 문학적인 장치들은 물론, 이와는 다르게 현실의 부조리함이 이야기들의 전개 안에서 무력화되지 않도록 구성된 이야기들의 진행상의 특징을 지적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종화, "칼릴라와 딤나의 서양으로의 전이과정 연구-각 언어권의 판본을 중심으로-" 지중해지역원 10 (10): 87-109, 2008

      2 Ruprecht Geib, "Zur Frage nach der Urfassung des Pañcatantra, Freiburger Beiträge zur Indologie 2" Albert-Ludwigs-Universität Freiburg 1963

      3 Wilhelm Halbfass, "Tradition and Reflection Explorations in Indian Though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1

      4 G. T. Artola, "The Title: Pañcatantra" 52 : 380-385, 1955

      5 Z. Matišić, "The Title Tantrakhyānika as Opposed to the Title Pañcatantra" 3,4 : 313-316, 1975

      6 Johannes Hertel, "Tantrākhyāyika: The Panchatantra A Collection of Ancient Indian Tales in Its Oldest Recension, the Kashmirian, Entitled Tantrakhyayika" Harvard University Press 1915

      7 Johannes Hertel, "Tantrākhyāyika, die älteste Fassung des Pañcatantra aus dem Sanskrit übersetzt mit Einleitung und Anmerkungen. Der zweite Teil: Übersetzung und Anmerkungen" B. G. Teubner 1909

      8 Ludwik Sternbach, "Subhāṣita, Gnomic and Didactic Literature.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Vol.4 Scientific and Technical Literature part 1" Otto Harrassowitz 1974

      9 O. Böhtlingk, "Sanskrit-Wörterbuch, 7 Bde" Motilal Banarsidass 1990

      10 Harry Falk, "Quellen des Pañcatantra" Otto Harrassowitz 1978

      1 이종화, "칼릴라와 딤나의 서양으로의 전이과정 연구-각 언어권의 판본을 중심으로-" 지중해지역원 10 (10): 87-109, 2008

      2 Ruprecht Geib, "Zur Frage nach der Urfassung des Pañcatantra, Freiburger Beiträge zur Indologie 2" Albert-Ludwigs-Universität Freiburg 1963

      3 Wilhelm Halbfass, "Tradition and Reflection Explorations in Indian Thought"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91

      4 G. T. Artola, "The Title: Pañcatantra" 52 : 380-385, 1955

      5 Z. Matišić, "The Title Tantrakhyānika as Opposed to the Title Pañcatantra" 3,4 : 313-316, 1975

      6 Johannes Hertel, "Tantrākhyāyika: The Panchatantra A Collection of Ancient Indian Tales in Its Oldest Recension, the Kashmirian, Entitled Tantrakhyayika" Harvard University Press 1915

      7 Johannes Hertel, "Tantrākhyāyika, die älteste Fassung des Pañcatantra aus dem Sanskrit übersetzt mit Einleitung und Anmerkungen. Der zweite Teil: Übersetzung und Anmerkungen" B. G. Teubner 1909

      8 Ludwik Sternbach, "Subhāṣita, Gnomic and Didactic Literature. A History of Indian Literature Vol.4 Scientific and Technical Literature part 1" Otto Harrassowitz 1974

      9 O. Böhtlingk, "Sanskrit-Wörterbuch, 7 Bde" Motilal Banarsidass 1990

      10 Harry Falk, "Quellen des Pañcatantra" Otto Harrassowitz 1978

      11 McDomas Taylor, "Pūrṇabhadra’s Pañcatantra Jaina Tales or Brahmanical Outsourcing?" 7 (7): 1-17, 2011

      12 Patrick Olivelle, "Pañcatantra: The Book of India's Folk Wisdom" Oxford University Press 1997

      13 F. Kielhorn, "Panchatantra Bombay Sanskrit Series nos 1, 3, 4" Government Central Book Depot 1885

      14 Walter J. Ong, "Orality and Literacy The Technologizing of the Word" Routledge 1982

      15 Johannes Hertel, "Nārāyaṇa Hitopadeśa oder Die freundliche Belehrung, aus dem Sanskrit übertragen von Johnnes Hertel, herausgegeben mit einem Nachwort und einem Anhang versehen von Johannes Mehlig" C.H. Beck 1987

      16 Clifford G. Allen, "L'ancienne version Espagnole de Kalila et Digna(Macon)" Université de Paris 1906

      17 Wilhelm Halbfass, "India and Europe: An Essay in Understanding"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1988

      18 E. P. Maten, "In Quest of the Original Pañcatantra. A Methodological Discussion" 8,9 : 241-252, 1980

      19 Johannes Hertel, "Hertel, The Pañcatantra-Text of Pūrṇabhabhadra Critical Introduction and List of Variants" Harvard University Press 1912

      20 Leo von Mankowski, "Der Auszug aus dem Pañcatantra in Kṣemendras Bṛhatkathāmañjarī" 1892

      21 Johannes Hertel, "Das Südliche Pañcatantra: Sanskrittext der Rezension β mit den Lesarten der besten Hss. der Rezension der Rezension α" Teubner 24 (24): 1906

      22 Walter Ruben, "Das Pañcatantra und seine Morallehre, Inst. für Orientforschung" Deutsche Akademie der Wissenschaften zu Berlin 195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3 0.73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2 0.64 1.574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