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요양시설 장기요양인력의 스마트 기술 사용의도에 대한 탐색적 분석 = 기술수용모델(TAM & TAM2)을 사용하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404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장기요양인력을 대상으로 스마트 기술 사용의도를 파악하고 이에 관련되어 있는 요인들과 그 관계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기술수용모델(TAM)을 사용하여, 스마트...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의 장기요양인력을 대상으로 스마트 기술 사용의도를 파악하고 이에 관련되어 있는 요인들과 그 관계양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기술수용모델(TAM)을 사용하여, 스마트 기술에 대한 지각된 용이성, 지각된 유용성, 사용의도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연구모형 1). 또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2)을 사용하여, 스마트 기술사용에 대한 주관적 규범, 직무 관련성, 지각된 유용성, 사용의도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연구모형 2). 조사대상자는 충청남도와 경기지역에 위치한 노인요양시설의 장기요양인력 127명이었으며,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조사대상자 중72.4%가 스마트 기술에 대한 사용의도를 긍정적으로 평가했으며, 이러한 사용의도에 지각된 용이성과 유용성이 직접적인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관적 규범, 물리적환경 지원 및 건강지원 직무관련성은 사용의도 뿐 아니라 지각된 유용성에 직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각된 유용성은 연구모형(1, 2)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노인요양시설에서 스마트 기술을 성공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증거 기반적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ntributors to the usage intention of smart technology by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Korea.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1),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ontributors to the usage intention of smart technology by care worker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in Korea. Based on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1),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ease of use(PEU), perceived usefulness(PU), and usage intention(UI). Additionally,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external variables (subjective norm, job relevance), PU, and UI based on the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2).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cross-sectional survey of 127 care workers. Results showed that PEU and PU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care workers’ employed at long-term care facilities. UI, with PU having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PEU and UI. Subjective norm, physical support job relevance, health support job relevance had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both PU and UI. PU also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those three external variables (subjective norm, physical support job relevance, health support job relevance) and UI. Implications are discussed in that smart technology should be developed in ways to be usefulness and easy to use in order to be introduced into long-term care facilities. Efforts should be also focused on forming a positive social norm for the introduction of the smart device and developing smartifact application to assist services for physical adjustment as well as health support for the elderly in the facili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유진,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어플리케이션 수용의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69-379, 2012

      2 황현숙, "치매환자의 보호를 위한 스마트 앱 개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6 (16): 1089-1097, 2013

      3 김의진,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4 차원영, "치매 환자용 소형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설계" 세종대학교 2012

      5 이정섭, "조직에서 사용자의 정보시스템수용:지식경영시스템의 경우" 한국경영과학회 29 (29): 11-40, 2004

      6 주정민, "정보기술수용모형과 쌍방향TV 채택 요인 연구" 한국언론학회 50 (50): 333-356, 2006

      7 이창원, "자발성을 고려한 u-Healthcare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 37 (37): 225-238, 2012

      8 이지케어, "이지케어의 주요기능"

      9 조정원,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의 치매환자 관리 시스템 설계" 33 (33): 267-271, 2006

      10 류혜지,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에 관한 노인층의 선호 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7 (7): 71-83, 2008

      1 김유진, "헬스케어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및 어플리케이션 수용의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12 (12): 369-379, 2012

      2 황현숙, "치매환자의 보호를 위한 스마트 앱 개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16 (16): 1089-1097, 2013

      3 김의진, "치매노인 실종 및 미아 방지 시스템 및 방법"

      4 차원영, "치매 환자용 소형단말기를 이용한 건강관리 시스템 설계" 세종대학교 2012

      5 이정섭, "조직에서 사용자의 정보시스템수용:지식경영시스템의 경우" 한국경영과학회 29 (29): 11-40, 2004

      6 주정민, "정보기술수용모형과 쌍방향TV 채택 요인 연구" 한국언론학회 50 (50): 333-356, 2006

      7 이창원, "자발성을 고려한 u-Healthcare 서비스의 이용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과학회 37 (37): 225-238, 2012

      8 이지케어, "이지케어의 주요기능"

      9 조정원,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의 치매환자 관리 시스템 설계" 33 (33): 267-271, 2006

      10 류혜지, "유비쿼터스 주택 계획 요소에 관한 노인층의 선호 연구"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7 (7): 71-83, 2008

      11 오수원, "웹서비스와 스마트폰 간의 연동"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12 전국요양보호협회, "요양보호사 실태조사" 2008

      13 하은실, "안드로이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고령자를 위한 케어 플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지식정보기술학회 5 (5): 131-137, 2010

      14 이봉수, "스마트 모바일 지원을 위한 HTML5 기반의 사례관리 실시간 커뮤니티 시스템 개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289-294, 2012

      15 이정필, "스마트 기술을 적용한 도시형 실버타운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15 (15): 141-148, 2006

      16 박재진, "소비자 혁신성이 온라인 쇼핑행동에 미치는 영향- 혁신기술수용모델을 중심으로" 한국방송광고공사 (63) : 79-101, 2004

      17 윤승욱, "모바일 인터넷의 수용결정 요인에 대한 연구: 정보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8 (48): 274-301, 2004

      18 송나윤, "도심형 실버타운 공용 공간의 스마트화 디자인에 관한 연구 - 액티브 시니어의 라이프스타일 중심으로 -"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1 (11): 163-172, 2011

      19 이가언, "노인의 무료요양원 적응 척도 개발" 한국간호과학회 37 (37): 736-743, 2007

      20 장현용, "노인을 배려하는 스마트 홈 개념, 사례 및 교훈:광주고령친화체험관 구축사례" 20 : 85-105, 2011

      21 고진경, "노인요양시설 거주노인의 입소초기 경험" 한국노년학회 29 (29): 477-488, 2009

      22 이창원, "노인요양병원의 u-Healthcare 서비스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 기술수용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생산성학회 24 (24): 305-332, 2010

      23 박명선, "노인 장기요양 보험제도 실시에 따른 전문직종사자의 수요 예측 -간호사, 사회복지사, 요양보호사를 중심으로-" 한국통계학회 17 (17): 423-440, 2010

      24 손승혜,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초기 이용자들의스마트폰 채택 행동 연구" 한국언론학회 55 (55): 227-251, 2011

      25 이재국, "공공부문 u-Health 서비스 효과성 분석"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 36 (36): 123-136, 2011

      26 조재희, "건강관련 앱의 지속적 이용에 대한 인지적·사회적 요인: 사회적 영향을 포함한 확장된기술수용 모델(TAM II)을 중심으로" 한국PR학회 18 (18): 212-241, 2014

      27 한경비지니스, "“IT 코리아, 유헬스 강자 노려라"

      28 Tierney, A., "What’s the scoop on the nursing shortage?" 42 : 325-326, 2003

      29 Drugge M, "Wearable systems in nursing home care: Prototyping experience" 5 (5): 86-91, 2006

      30 Mellone, S., "Validity of a Smartphone-based instrumented Timed Up and Go" 36 (36): 163-165, 2012

      31 Davis, F. D., "User acceptance of computer technology:a comparison of two theoretical models" 35 : 982-1003, 1989

      32 Kenny, A., "Untangling the web; barriers and benefits for nurse education; an Australian perspective" 20 : 381-388, 2000

      33 Taylor, S., "Understanding information technology usage:A test of competing models" 6 (6): 145-176, 1995

      34 Ajzen, I.,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Prentice-Hall 1980

      35 Karahanna, E., "The psychological origins of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of-use" 35 (35): 237-250, 1999

      36 Garland, M. R., "Student perceptions of the situational, institutional, dispositional and epistemological barriers to persistence" 14 (14): 181-198, 1993

      37 Mellone S., "Smartphone-based solutions for fall detection and prevention:the FARSEEING approach" 36 : 163-165, 2012

      38 Sendra S., "Smart collaborative system using the sensors of mobile devices for monitoring disabled and elderly People" 2012

      39 Hogan, W. P., "Review of Pricing Arrangements in Residential Aged Care"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Health and Ageing 2004

      40 디지털타임즈, "RFID 적용 방문서비스 확인시스템…9월부터 모든 장기요양기관 확대"

      41 McDonald, C. J., "Physicians, information technology, and health care systems:a journey, not a destination" 11 : 121-124, 2004

      42 Davis, F. 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13 : 319-339, 1989

      43 Wilson, E. V., "Modeling patients’ acceptance of provider-delivered e-health" 11 : 241-248, 2004

      44 Wu, J. H., "Mobile computing acceptance factors in the healthcare industry:a structural equation model" 76 : 66-77, 2007

      45 Davies, F. D., "Measuring user acceptance ofemerging information technologie s:an assessment of possible method biases, in:T. Mudge, B. D. Shriver(Eds. ), Proceedings of the Twenty-Eighth Annual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Maui" 729-736, 1995

      46 Chau, P. Y. K., "Investigating healthcare professionals’ decisions to accept telemedicine technology:an empirical test of competing theories, Inform" 39 : 297-211, 2002

      47 Benbasat, I., "Impact of organizational maturity on information system skill needs" 4 (4): 21-34, 1980

      48 Boulos, N. M., "How smart phones are chaninging in the face of mobile and participatory healthcare:an overview, with example from a CAALYX" 10 : 24-, 2011

      49 Gefen, D., "Gender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and use of e-mail:An extension 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389-400, 1997

      50 Brouillette R. M., "Feasibilit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Smartphone Based Application for the Assessment of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8 (8): 659-725, 2013

      51 Zhang, N., "Extended Information Technology Initial Acceptance Model and Its Empirical Test" 27 (27): 123-130, 2007

      52 Moore, G. C.,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he perceptions of adoption in information technology innovation" 2 (2): 192-222, 1991

      53 Achterberg, W., "Depressive symptoms in newly admitted nursing home residents" 21 (21): 1156-1162, 2006

      54 Kim, K. J., "Dementia Wandering Detection and Activity Recognition Algorithm using Tri-axial Acclerometer Sensors" 1-5, 2009

      55 김광재, "DMB의 수용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회 53 (53): 297-324, 2009

      56 Ngin, P. M., "Computer use for work accomplishment. A comparison between nurse managers and staff nurses" 26 (26): 47-55, 1996

      57 Liu, J. E., "Computer knowledge, attitudes, and skills of nurses in People’s Hospital of Beijing Medical University" 18 (18): 197-206, 2000

      58 Van Schaik, P., "Clinical acceptance of a low-cost portable system for postural assessment" 21 : 47-57, 2002

      59 The Telegraph, "Can technology fill the elderly care gap?"

      60 Beck, H., "Business Communication and Technologies in a Changing World" Macmillan Education Australia 402-, 2009

      61 Short, D., "Barriers to the adoption of computerised decision support systems in general practice consultations:a qualitative study of GPs’ perspectives" 73 : 357-362, 2004

      62 Yu, S., "Attitudes towards web-based learning among public health nurses in Taiwan:a questionnaire survey" 43 : 767-774, 2006

      63 Chuang, Y. H., "Attitudes of two-year RNBSN nursing students towards computers" 5 (5): 71-84, 2002

      64 Hendrickx, L., "Attitudes of rural nurses toward computers:implications for continuing education.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Montana, 1998" 59 (59): 0690-, 1998

      65 Scarpa R, "Attitudes of nurses toward computerization. A replication" 10 (10): 72-80, 1992

      66 Agarwal, R., "Are individual differences germane to the acceptance of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30 : 361-391, 1999

      67 Chen, I. J., "Apply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o explore public health nurses’ intentions towards web-based learning:a cross-sectional questionnaire survey" 45 (45): 869-878, 2007

      68 Tung, F. C., "An extension of trust and TAM model with IDT in the adoption of the electronic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in HIS in the medical industry" 77 : 324-335, 2008

      69 Zmily, A., "Alzheimer’s Disease Rehabilitation using Smartphones to Improve Patients’Quality of Life" 5-8, 2013

      70 Venkatesh, V.,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46 : 186-204, 2000

      71 MacKinnon, D. P., "A Comparison of Methods to Test Mediation and Other Intervening Variable Effects" 7 (7): 83-, 2002

      72 보건복지부, "2015년도 노인돌봄서비스 사업 안내"

      73 보건복지부, "2012 노인복지시설 현황" 보건복지부 2012

      74 통계청, "2011 사회조사" 통계청 2011

      75 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10년 IT분야 10대 전략 이슈와 사점, 1" 1-17,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24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6-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Of Welfare For The Aged -> Korean Society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4 1.64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61 2.658 0.3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