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박물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질 평가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72730

      • 저자
      • 발행사항

        대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9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9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70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대전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Quality Evaluation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in Museum

      • 형태사항

        vi, 68 p.; 26 cm.

      • 일반주기명

        충남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김두정
        참고문헌 : p. 55-61.

      • UCI식별코드

        I804:25009-000000080709

      • 소장기관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첫째,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관리하는 질 측정 도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개발한 문화예술교육 평가 도구(2010)를 근거로 박물관 문화예술교육의 특징인 학교연계교...

      첫째,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관리하는 질 측정 도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개발한 문화예술교육 평가 도구(2010)를 근거로 박물관 문화예술교육의 특징인 학교연계교육, 지역연계교육, 전시연계교육, 선택적 학습, 체험 학습적 특징을 반영하여 박물관 문화예술교육의 질 평가 준거 및 지표로 재구성한 것이다. 목표의 적합성, 내용의 타당성, 방법의 적절성과 같은 세 가지 준거로 구성되고, 각 3개, 3개, 9개씩 총 15가지 평가 지표로 박물관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질 평가 준거 및 지표를 제시한 것이다.
      둘째, 박물관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질 측정 평가지 조사를 통해 박물관 문화예술교육 질 평가는 상위 수준으로 나타난다. ‘목표의 적합성’과 ‘내용의 타당성’에서는 교육사와 참여교사 모두 비교적 높이 평가하였으며 참여교사가 교육사보다 프로그램의 질을 높게 평가하고 있으며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그러나 ‘방법의 적절성’에서는 ‘학습자의 관심이나 능력에 따는 선택 활동을 제공하는가’와 ‘프로그램은 강사, 참가 학생, 가족, 지역사회 간의 긍정적 관계와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가’에 대해 교육사와 참여교사 모두 비교적 낮은 점수를 주어 교육프로그램이 교육사와 참여교사 모두 학습자의 능력에 따른 선택활동이 미흡한 것으로 평가한다. 또한 지역사회와 연계한 프로그램도 부족한 것으로 평가한다.
      셋째, 결과적으로 박물관 문화예술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은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이 지역과의 상호작용이 활발해지도록 체계적인 교사연수 등을 마련하고 박물관의 지역적, 역사적, 문화적 특성이 반영된 자료들을 통해 프로그램의 과정에서 지역사회 참여자들의 활동과 체험이 주가 되는 과정중심의 운영을 해나가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quality measurement tools for managing the quality level of the museum's education programs are reconstructed based on the quality assessment criteria and indicators of the museum's culture and a...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quality measurement tools for managing the quality level of the museum's education programs are reconstructed based on the quality assessment criteria and indicators of the museum's culture and arts education, which are characteristic of the museum's culture and arts education, regional connection education, exhibition-linked education, selective learning and hands-on learning based on the culture and arts education evaluation tool developed by the Korea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motion Institute (2010). It consists of three criteria: conformity of goals, relevance of contents, and appropriateness of methods, and presents quality assessment criteria and indicators for the museum's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programs with a total of 15 evaluation indicators, three, three, and nine respectively.
      Second, through the quality measurement evaluation index survey of the museum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the quality evaluation of the museum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shown to be high level.
      In the context of 'fit for goals' and 'reasonable for content', both educators and participating teachers rated relatively highly, and participating teachers rated the quality of the programs higher than educators, and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significance.
      However, 'appropriate of methods' gives relatively low scores to both educators and participating teachers on 'providing choice activities for learners' interests or abilities' and 'Does the program lead to positive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between instructors, participating students, families and communities', so that both teachers and participating teachers are assessed to have insufficient choice activities based on the learner's ability. In addition, programs linked to the community are assessed as lacking.
      Third, as a result,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problems of the museum's culture and arts education should be made by preparing systematic teaching training, etc. for the museum's interaction with the region, and through materials reflecting the museum's regional, histor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the museum should carry out the process-oriented operation of activities and experiences of community participants in the progra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2
      • 3. 용어의 정의 3
      • Ⅱ. 이론적 배경 6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2
      • 3. 용어의 정의 3
      • Ⅱ. 이론적 배경 6
      • 1. 박물관 문화예술교육 6
      • 가. 문화예술교육의 의미 6
      • 나. 박물관 문화예술교육의 특성 7
      • 2. 방과 후 교육프로그램 평가 요소 11
      • 가. 섹션 1: 프로그램 설계 및 평가 11
      • 나. 섹션 2: 프로그램 행정 및 재정 12
      • 다. 섹션 3: 지역사회 파트너십 및 협력 12
      • 라. 섹션 4: 정규 수업과의 조정 및 연계 12
      • 마. 섹션 5: 프로그램 환경 및 안전성 13
      • 바. 섹션 6: 청소년 개발 13
      • 사. 섹션 7: 스태프 채용 및 전문가 개발 13
      • 아. 섹션 8: 가족 참여 13
      • 자. 섹션 9: 영양 및 체육활동 14
      • 차. 섹션 10: 다양성 접근성 균등성 포괄성 촉진 14
      • 카. 섹션 11: 영어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 지원 14
      • 3.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평가 15
      • 가.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평가의 토대 15
      • 나. 문화예술교육 평가 준거 및 지표 18
      • 4. 박물관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질 평가 사례 20
      • Ⅲ. 연구방법 22
      • 1. 박물관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질 평가 준거 및 지표 22
      • 가. 질 평가 준거 및 지표 도출 방법 22
      • 나. 질 평가 준거 및 지표 23
      • 2. 자료 수집 및 처리 32
      • 3. 심층면담 32
      • 4. 연구 대상 34
      • 가. 교육운영자 및 참여교사 34
      • 나. 참여박물관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38
      •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40
      • 1. 목표의 적합성 40
      • 가. 교육목표에 문화적 가치와 예술의 특성이 반영되어 있는가 41
      • 나. 학습자의 문화적 발달 수준(연령, 능력, 선문화적 경험)에 맞는가 41
      • 다. 학습자의 문화(지역, 계층, 집단 등)를 고려한 목표인가 42
      • 2. 내용의 타당성 43
      • 가. 학습자의 문화예술적 역량의 변화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는가
      • 43
      • 나. 목표로 설정한 문화적 역량을 길러낼 수 있는 내용인가 44
      • 다. 교육프로그램이 학교의 기준과 교과과정을 따르도록 하고 이를 심화할 수 있도록 하는가 45
      • 3. 방법의 적절성 46
      • 가. 반성적 사고의 기회를 포함하는가 47
      • 나. 탐구의 과정을 포함하는가 47
      • 다. 박물관의 전시물의 특성을 체험하는 과정 포함하는가 47
      • 라. 학습자의 관심이나 능력에 따는 선택 활동을 제공하는가 48
      • 마. 과정 중심의 활동, 체험 중심의 활동인가 49
      • 바. 학습자의 성장을 위한 전문적 지원(시기, 요구)이 있는가 49
      • 사. 프로그램은 강사, 참가 학생, 가족, 지역사회 간의 긍정적 관계와 상호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가 49
      • 아. 핵심적 발문을 준비하고, 활용하였는가 50
      • 자. 의미 만들기(meaning making)의 과정을 포함하는가 50
      • Ⅴ. 논의, 결론 및 제언 52
      • 1. 논의 52
      • 2. 결론 53
      • 3. 제언 54
      • 참고문헌 55
      • ABSTRACT 62
      • 부록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