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로의 전이지원에 대한 장애통합어린이집 교사들의 경험과 요구 = Experiences and Needs of Inclusive Daycare Center Teachers for Transition Support to Elementary Schoo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436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inclusive daycare center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ransition support to elementary school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seven inclusive daycare center teachers, and interview transcription data were analyzed through open coding. Results: Two topics and 12 subtopics related to research questions were deriv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clusive daycare center teachers said that elementary transition support was necessary, but they thought that there was a lack of related education. In particular,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cooperation with experts, family support, social and emotional support, and guidance in follow-up. Second, the inclusive daycare center teachers presented their opinions on the supports for teacher empowerment, human and material resource development,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and training and consulting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elementary transition supports.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n effective support plan for transition support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transition support from the daycare center to elementary schools.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inclusive daycare center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ransition support to elementary school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 For this p...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inclusive daycare center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ransition support to elementary school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 For this purpose,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seven inclusive daycare center teachers, and interview transcription data were analyzed through open coding. Results: Two topics and 12 subtopics related to research questions were derived.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clusive daycare center teachers said that elementary transition support was necessary, but they thought that there was a lack of related education. In particular,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cooperation with experts, family support, social and emotional support, and guidance in follow-up. Second, the inclusive daycare center teachers presented their opinions on the supports for teacher empowerment, human and material resource development,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and training and consulting in order to successfully implement elementary transition supports. Conclus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n effective support plan for transition support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transition support from the daycare center to elementary school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발달지체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를 담당한 경험이 있는 장애 영유아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전이지원에 대한 경험과 요구에 대해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장애영유아 보육교사 7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하였고, 개방 코딩을 통해 면담 전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문제와 관련된 2개의 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 및 관련 내용이 도출되었는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영유아 보육교사들은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초등학교 전이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지만, 관련 교육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였고, 특히 전문가와의 협력, 가족지원, 사회·정서적 지원, 추수지도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장애영유아 보육교사들은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초등학교 전이지원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인적·물적 자원 지원,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연수 및 컨설팅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초등학교로의 전이지원 실행과정 상의 경험과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전이지원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발달지체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를 담당한 경험이 있는 장애 영유아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전이지원에 대한 경험과 요구에 대...

      연구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발달지체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를 담당한 경험이 있는 장애 영유아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전이지원에 대한 경험과 요구에 대해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장애영유아 보육교사 7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하였고, 개방 코딩을 통해 면담 전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문제와 관련된 2개의 주제와 12개의 하위주제 및 관련 내용이 도출되었는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영유아 보육교사들은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초등학교 전이지원이 필요하다고 하였지만, 관련 교육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였고, 특히 전문가와의 협력, 가족지원, 사회·정서적 지원, 추수지도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장애영유아 보육교사들은 발달지체 유아를 위한 초등학교 전이지원을 성공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인적·물적 자원 지원,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연수 및 컨설팅 등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결론: 이 연구는 장애통합어린이집에서 초등학교로의 전이지원 실행과정 상의 경험과 요구를 분석함으로써 전이지원에 대한 효과적인 지원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경, "한국의 장애유아를 위한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 전이 프로그램의 모델개발" 한국비교교육학회 14 (14): 243-266, 2004

      2 조윤경, "통합교육기관으로의 전이과정에서 장애유아가 갖추어야 할 중요 기술과 선결 요건들에 대한 분석 : 유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9 (9): 255-272, 2002

      3 신윤재, "초등학교 전이지원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유아의 학교 준비도와 어머니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4 김다미, "초등학교 입학 초기 적응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 오원석, "초등학교 교사의 청각장애 인식과 통합교육 태도의 관계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6 (16): 83-111, 2009

      6 남이정,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지원 운영실태 및 특수학교 유아특수교사의 지 원요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7 김해선,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과정에 대한 부모 인식 조사" 강남대학교 대학원 2010

      8 송주미,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입학준비에 대한 장애유아 부모의 요구 : 가정, 학교, 행정기관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3

      9 황순영, "장애유아의 초등전이기술에 대한 부모의 중요도 인식과 요구" 한국학습장애학회 8 (8): 125-139, 2011

      10 김보람, "장애유아의 초등전이기술 습득 실태 및 중요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 초등학교로의 전이지원에 대한 장애통합어린이집 교사들의 경험과 요구 179 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1 김미경, "한국의 장애유아를 위한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 전이 프로그램의 모델개발" 한국비교교육학회 14 (14): 243-266, 2004

      2 조윤경, "통합교육기관으로의 전이과정에서 장애유아가 갖추어야 할 중요 기술과 선결 요건들에 대한 분석 : 유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9 (9): 255-272, 2002

      3 신윤재, "초등학교 전이지원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유아의 학교 준비도와 어머니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4 김다미, "초등학교 입학 초기 적응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 오원석, "초등학교 교사의 청각장애 인식과 통합교육 태도의 관계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6 (16): 83-111, 2009

      6 남이정,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지원 운영실태 및 특수학교 유아특수교사의 지 원요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7 김해선,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과정에 대한 부모 인식 조사" 강남대학교 대학원 2010

      8 송주미,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입학준비에 대한 장애유아 부모의 요구 : 가정, 학교, 행정기관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3

      9 황순영, "장애유아의 초등전이기술에 대한 부모의 중요도 인식과 요구" 한국학습장애학회 8 (8): 125-139, 2011

      10 김보람, "장애유아의 초등전이기술 습득 실태 및 중요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 초등학교로의 전이지원에 대한 장애통합어린이집 교사들의 경험과 요구 179 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11 정애영, "장애유아 전이 서비스 실태에 관한 질적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6

      12 노진아, "장애영유아 가족지원" 학지사 2011

      13 이지연, "장애아동의 초등전이기술에 대한 부모와 특수교사 및 일반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요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4 김미라, "장애아동 어머니가 자녀의 초등학교 통합직전 느끼는 스트레스에 관한 질적연구"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2004

      15 안은선, "유치원 특수교육대상아동의 취학의무 및 유예제도에 대한 유아특수교사 의 인식"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5

      16 인천광역시교육청, "유치원 통합교육 가이드북 개발연구" 인천광역시교육청 2017

      17 김경숙, "유아특수교육개론" 학지사 2009

      18 이소현, "유아특수교육" 학지사 2003

      19 김경숙, "유아기 자녀의 전이 시기에 어머니들의 염려 및 준비 활동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1 : 249-268, 2002

      20 유순이, "유아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직능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1 김경숙, "상급학교로의 연계 및 전환 교육" 8 (8): 34-39, 2001

      22 임미진, "발달지체유아의 초등학교 입학적응에 대한 공립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23 김영희, "발달지체유아의 초등학교 입학 시 부모의 학교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4

      24 박금내, "발달지체유아 통합교육기관의 초등학교 전이지원 실행 현황과 방해요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25 문영수, "발달지체유아 초등학교 전환교육에 관한 실태 및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조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5

      26 박지은이, "발달지체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4

      27 이지영, "발달지체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 준비 과정에 대한 가족의 인식"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28 Chandler, L. K.,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rookes 245-276, 1992

      29 Lerner, J. W.,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Children at Risk, Children with Disabilities" Allyn and Bacon 2003

      30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CA Sage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 With Special Need -> Kacsn: Korean Association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4 학술지등록 한글명 : 특수아동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pecial Children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2 1.22 1.1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5 1.374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