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미경, "한국의 장애유아를 위한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 전이 프로그램의 모델개발" 한국비교교육학회 14 (14): 243-266, 2004
2 조윤경, "통합교육기관으로의 전이과정에서 장애유아가 갖추어야 할 중요 기술과 선결 요건들에 대한 분석 : 유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9 (9): 255-272, 2002
3 신윤재, "초등학교 전이지원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유아의 학교 준비도와 어머니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4 김다미, "초등학교 입학 초기 적응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 오원석, "초등학교 교사의 청각장애 인식과 통합교육 태도의 관계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6 (16): 83-111, 2009
6 남이정,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지원 운영실태 및 특수학교 유아특수교사의 지 원요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7 김해선,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과정에 대한 부모 인식 조사" 강남대학교 대학원 2010
8 송주미,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입학준비에 대한 장애유아 부모의 요구 : 가정, 학교, 행정기관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3
9 황순영, "장애유아의 초등전이기술에 대한 부모의 중요도 인식과 요구" 한국학습장애학회 8 (8): 125-139, 2011
10 김보람, "장애유아의 초등전이기술 습득 실태 및 중요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 초등학교로의 전이지원에 대한 장애통합어린이집 교사들의 경험과 요구 179 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1 김미경, "한국의 장애유아를 위한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 전이 프로그램의 모델개발" 한국비교교육학회 14 (14): 243-266, 2004
2 조윤경, "통합교육기관으로의 전이과정에서 장애유아가 갖추어야 할 중요 기술과 선결 요건들에 대한 분석 : 유아교사의 인식을 중심으로" 9 (9): 255-272, 2002
3 신윤재, "초등학교 전이지원 프로그램이 발달지체 유아의 학교 준비도와 어머니 양육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4 김다미, "초등학교 입학 초기 적응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5 오원석, "초등학교 교사의 청각장애 인식과 통합교육 태도의 관계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16 (16): 83-111, 2009
6 남이정,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지원 운영실태 및 특수학교 유아특수교사의 지 원요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7 김해선,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과정에 대한 부모 인식 조사" 강남대학교 대학원 2010
8 송주미,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입학준비에 대한 장애유아 부모의 요구 : 가정, 학교, 행정기관을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3
9 황순영, "장애유아의 초등전이기술에 대한 부모의 중요도 인식과 요구" 한국학습장애학회 8 (8): 125-139, 2011
10 김보람, "장애유아의 초등전이기술 습득 실태 및 중요도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 초등학교로의 전이지원에 대한 장애통합어린이집 교사들의 경험과 요구 179 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11 정애영, "장애유아 전이 서비스 실태에 관한 질적 연구"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6
12 노진아, "장애영유아 가족지원" 학지사 2011
13 이지연, "장애아동의 초등전이기술에 대한 부모와 특수교사 및 일반교사의 중요도 인식과 요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4 김미라, "장애아동 어머니가 자녀의 초등학교 통합직전 느끼는 스트레스에 관한 질적연구"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2004
15 안은선, "유치원 특수교육대상아동의 취학의무 및 유예제도에 대한 유아특수교사 의 인식"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5
16 인천광역시교육청, "유치원 통합교육 가이드북 개발연구" 인천광역시교육청 2017
17 김경숙, "유아특수교육개론" 학지사 2009
18 이소현, "유아특수교육" 학지사 2003
19 김경숙, "유아기 자녀의 전이 시기에 어머니들의 염려 및 준비 활동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회 31 : 249-268, 2002
20 유순이, "유아교사의 발달단계에 따른 직능특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1 김경숙, "상급학교로의 연계 및 전환 교육" 8 (8): 34-39, 2001
22 임미진, "발달지체유아의 초등학교 입학적응에 대한 공립유치원 유아특수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23 김영희, "발달지체유아의 초등학교 입학 시 부모의 학교선택기준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4
24 박금내, "발달지체유아 통합교육기관의 초등학교 전이지원 실행 현황과 방해요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25 문영수, "발달지체유아 초등학교 전환교육에 관한 실태 및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조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5
26 박지은이, "발달지체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에 대한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4
27 이지영, "발달지체 유아의 초등학교 전이 준비 과정에 대한 가족의 인식"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28 Chandler, L. K., "Social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rookes 245-276, 1992
29 Lerner, J. W., "Preschool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Children at Risk, Children with Disabilities" Allyn and Bacon 2003
30 Strauss, A.,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s and Procedur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CA Sage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