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OpenAccess

      탈북 여성을 향한 세 겹의 시선 :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탈북 여성의 문학적 형상화에 관한 고찰 = Three gazes toward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 A study on the literary imageries of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in the Korean contemporary nove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05875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concerning the 'otherness' of other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are regarded as strange others rather than foreigners in Korean society. The primary subject for the paper is a North Korean females defector whom the Korean society inferiorly deems in comparison with a North Korean male defector. As a character that exposes structural contradictions of the Korean society in terms of gender, capital, and class, a North Korean female defector has attracted the notice of Korean literary circles. This paper focuses on comparing the imageries of the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in the literary works of South Korean writers, North Korean defector-writers, and Korean-Chinese writers.
      번역하기

      This paper attempts concerning the 'otherness' of other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are regarded as strange others rather than foreigners in Korean society. The primary subject for the paper is a North Korean females defec...

      This paper attempts concerning the 'otherness' of others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North Korean defectors who are regarded as strange others rather than foreigners in Korean society. The primary subject for the paper is a North Korean females defector whom the Korean society inferiorly deems in comparison with a North Korean male defector. As a character that exposes structural contradictions of the Korean society in terms of gender, capital, and class, a North Korean female defector has attracted the notice of Korean literary circles. This paper focuses on comparing the imageries of the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in the literary works of South Korean writers, North Korean defector-writers, and Korean-Chinese writ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오늘날 한국 사회 내에서 ‘외국인’보다 더 낯선 타자로 치부되고 있는 ‘탈북자’에 관한 고찰을 통해 ‘타자’의 ‘타자성’에 관한 사유를 시도하고 있다. 이때 주된 연구 대상은 ‘탈북자’라는 소수자 내에서 또다시 ‘여성’이라는 중첩된 타자화를 요구받고 있는 ‘탈북 여성’들이다. 이들은 젠더· 자본· 계급에 의해 발생하는 우리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최근의 한국 소설 내에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인물군(群)이다. 본고는 이러한 탈북 여성들이 남한의 기성 작가, 실제 탈북을 경험한 북한 출신 작가, 나아가 조선족 출신 작가의 작품들 속에서 어떤 식으로 형상화되고 있는지를 비교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남한 작가들의 작품에 그려진 탈북 여성들은 동정과 연민이라는 시선 속에 정형화되고 있음이 지적된다. 이는 주체에 의해 일방적으로 이루어지는 타자에 관한 사유라는 점에서, 탈북 여성들의 문제를 동질화시킨다는 문제를 야기한다. 반면 실제 탈북을 경험한 작가의 작품에서는 탈북 여성들 내부에 존재하는 다층적인 균열을 통해, 탈북 여성들이 ‘타자’라는 이름 안에서 동질화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선족 출신 작가의 작품에서는 ‘타자(조선족)’가 바라보는 ‘타자(탈북자)’의 문제를 통해 ‘타자’가 지닌 무수한 균열과 틈새, 그 규정될 수 없는 ‘타자성’의 본질을 드러내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번역하기

      본고는 오늘날 한국 사회 내에서 ‘외국인’보다 더 낯선 타자로 치부되고 있는 ‘탈북자’에 관한 고찰을 통해 ‘타자’의 ‘타자성’에 관한 사유를 시도하고 있다. 이때 주된 연구 대상...

      본고는 오늘날 한국 사회 내에서 ‘외국인’보다 더 낯선 타자로 치부되고 있는 ‘탈북자’에 관한 고찰을 통해 ‘타자’의 ‘타자성’에 관한 사유를 시도하고 있다. 이때 주된 연구 대상은 ‘탈북자’라는 소수자 내에서 또다시 ‘여성’이라는 중첩된 타자화를 요구받고 있는 ‘탈북 여성’들이다. 이들은 젠더· 자본· 계급에 의해 발생하는 우리 사회의 구조적 모순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최근의 한국 소설 내에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인물군(群)이다. 본고는 이러한 탈북 여성들이 남한의 기성 작가, 실제 탈북을 경험한 북한 출신 작가, 나아가 조선족 출신 작가의 작품들 속에서 어떤 식으로 형상화되고 있는지를 비교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남한 작가들의 작품에 그려진 탈북 여성들은 동정과 연민이라는 시선 속에 정형화되고 있음이 지적된다. 이는 주체에 의해 일방적으로 이루어지는 타자에 관한 사유라는 점에서, 탈북 여성들의 문제를 동질화시킨다는 문제를 야기한다. 반면 실제 탈북을 경험한 작가의 작품에서는 탈북 여성들 내부에 존재하는 다층적인 균열을 통해, 탈북 여성들이 ‘타자’라는 이름 안에서 동질화될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선족 출신 작가의 작품에서는 ‘타자(조선족)’가 바라보는 ‘타자(탈북자)’의 문제를 통해 ‘타자’가 지닌 무수한 균열과 틈새, 그 규정될 수 없는 ‘타자성’의 본질을 드러내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미, "현대소설교육에서의 또 하나의 다문화성: 탈북자 소설에 나타난 북한 문학정체성의 의미화와 관련하여"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5 (15): 73-92, 2014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3 강희진, "포피" 나무옆의자 2015

      4 허윤, "포스트 세계문학과 여성-이주-장편서사의 윤리학: 황석영의 『바리데기』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38) : 73-98, 2016

      5 이성희, "탈북자의 고통과 그 치유적 가능성- 탈북 작가가 쓴 소설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6 (16): 1-21, 2015

      6 김인경, "탈북자 소설에 나타난 분단현실의 재현과 갈등 양상의 모색" 한국현대소설학회 (57) : 267-293, 2014

      7 이성희, "탈북자 문제로 본 분단의식의 대비적 고찰 - 김원일과 정도상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56) : 481-507, 2010

      8 "탈북자 EU 망명길 좁아졌나…김정은 체제 출범 후 신청 급감"

      9 최병우, "탈북이주민에 관한 소설적 대응 양상" 한국현대소설학회 (61) : 323-353, 2016

      10 이성희, "탈북여성을 중심으로 살펴본 남한정착과정의 타자정체성연구- 이대환의 『큰돈과 콘돔』과 정도상의 『찔레꽃』을 중심으로" 여성연구소 23 (23): 77-96, 2013

      1 이영미, "현대소설교육에서의 또 하나의 다문화성: 탈북자 소설에 나타난 북한 문학정체성의 의미화와 관련하여" 사단법인 한국평화연구학회 15 (15): 73-92, 2014

      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3 강희진, "포피" 나무옆의자 2015

      4 허윤, "포스트 세계문학과 여성-이주-장편서사의 윤리학: 황석영의 『바리데기』를 중심으로" 한국여성문학학회 (38) : 73-98, 2016

      5 이성희, "탈북자의 고통과 그 치유적 가능성- 탈북 작가가 쓴 소설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소 16 (16): 1-21, 2015

      6 김인경, "탈북자 소설에 나타난 분단현실의 재현과 갈등 양상의 모색" 한국현대소설학회 (57) : 267-293, 2014

      7 이성희, "탈북자 문제로 본 분단의식의 대비적 고찰 - 김원일과 정도상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56) : 481-507, 2010

      8 "탈북자 EU 망명길 좁아졌나…김정은 체제 출범 후 신청 급감"

      9 최병우, "탈북이주민에 관한 소설적 대응 양상" 한국현대소설학회 (61) : 323-353, 2016

      10 이성희, "탈북여성을 중심으로 살펴본 남한정착과정의 타자정체성연구- 이대환의 『큰돈과 콘돔』과 정도상의 『찔레꽃』을 중심으로" 여성연구소 23 (23): 77-96, 2013

      11 최현실, "탈북여성들의 트라우마와 한국사회 정착지원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여성연구소 21 (21): 161-204, 2011

      12 김은하, "탈북여성과 공감/혐오의 문화정치학" 한국여성문학학회 (38) : 291-314, 2016

      13 이덕화, "탈북여성 이주 소설에 나타난 혼종적 정체성" 한국현대소설학회 (52) : 409-431, 2013

      14 김은하, "탈북여성 디아스포라 재현의 성별 정치학 - 『찔레꽃』, 『바리데기』를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55) : 365-394, 2010

      15 정수인, "탈북여대생" 새울 2009

      16 서세림, "탈북 작가 김유경 소설 연구 - 탈북자의 디아스포라 인식과 정치의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52) : 81-104, 2017

      17 김효석, "탈북 디아스포라 소설의 현황과 가능성 고찰 -김유경의 『청춘연가』를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57 : 305-332, 2014

      18 박덕규, "탈북 디아스포라" 푸른사상 15-, 2012

      19 이대환, "큰돈과 콘돔" 실천문학사 2008

      20 김유경, "청춘연가" 웅진지식하우스 1-130, 2012

      21 김유경, "청춘연가" 웅진씽크빅 2012

      22 정도상, "찔레꽃" 창비 2008

      23 연남경, "이주여성 재현의 서사학적 분석 - 『리나』, 『테러의 시』를 중심으로 -" 한국현대소설학회 (62) : 217-246, 2016

      24 이수자, "이주여성 디아스포라-국제성별분업, 문화혼성성, 타자화와 섹슈얼리티-" 한국사회학회 38 (38): 189-219, 2004

      25 김은아, "이산의 비극성을 통한 분단의 현재성 고찰" 국제한인문학회 1 (1): 91-114, 2014

      26 리처드 커니, "이방인․신․괴물" 개마고원 319-342, 2004

      27 김자영, "이대환의 「큰돈과 콘돔」으로 본 탈북여성 이주민의 주체화에 관한 고찰" 이화어문학회 31 : 1-20, 2013

      28 이미림, "유동하는 시대의 여행과 이주 양상 - 정도상의 연작소설집 『찔레꽃』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32 : 263-286, 2015

      29 금 희, "세상에 없는 나의 집" 창비 2015

      30 이경자, "세번째 집" 문학동네 2013

      31 고명철, "분단체제에 대한 2000년대 한국소설의 서사적 응전" 한국문학회 (58) : 293-317, 2011

      32 권세영, "북한이탈주민 창작 소설의 인물형상화에 있어 ‘주체의 문예이론’적 특성 고찰 – 리지명의"장군님 죽갔시요!", 김유경의"청춘연가"를 중심으로-" 373-379, 2013

      33 이길연, "북한 탈북자들의 유랑과 디아스포라 공간: 정도상의 연작소설집 「찔레꽃」을 중심으로" 241-247, 2008

      34 김미현, "번역트러블"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157-, 2016

      35 황석영, "바리데기" 창비 2007

      36 소영현, "마이너리티, 디아스포라 —국경을 넘는 여성들" 한국여성문학학회 22 (22): 65-91, 2009

      37 강영숙, "리나" 문학동네 2011

      38 김윤정, "디아스포라 여성의 타자적 정체성 연구" 세계한국어문학회 3 : 135-151, 2010

      39 김지태, "독일교포 감독 시선으로 본 탈북자의 현실:실제 탈북자들의 인터뷰를 통해 제작된 영화 '은아'"

      40 유경수, "다원적 소통을 향한 디아스포라적 상상력 - 황석영의 『바리데기』를 중심으로" 국제비교한국학회 17 (17): 437-461, 2009

      41 노엘 맥아피, "경계에 선 줄리아 크리스테바" 앨피 99-, 2007

      42 김기훈, "北반체제작가 '반디'가 북한의 솔제니친? 이는 절반의 진실"

      43 전월매, "‘타자’시각에서 본 한국현대소설 속의 조선족 이미지 연구" 겨레어문학회 (54) : 151-172, 2015

      44 오혜진, "[좌담] “이게 대체 누구 탓이란 말이오……”- 2015년 여름의 한국소설" 22 (22):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9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 0.78 1.791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