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태보존암호는 암호문의 길이와 형태가 평문과 같은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길이와 형태가 일정한 정보를 암호화할 경우 형태보존암호가 기존 블록 암호보다 장점을 가질 수 있다. 특히 IoT,...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672562
아산: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 컴퓨터학과 , 2020. 8
2020
한국어
004 판사항(23)
충청남도
ix, 60 p.: 도표; 26 cm
지도교수: 이선영
단면인쇄임
참고문헌: p. 55-57
I804:44009-20000033346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형태보존암호는 암호문의 길이와 형태가 평문과 같은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길이와 형태가 일정한 정보를 암호화할 경우 형태보존암호가 기존 블록 암호보다 장점을 가질 수 있다. 특히 IoT,...
형태보존암호는 암호문의 길이와 형태가 평문과 같은 암호화 알고리즘으로 길이와 형태가 일정한 정보를 암호화할 경우 형태보존암호가 기존 블록 암호보다 장점을 가질 수 있다. 특히 IoT, 커넥티드 카와 같은 다양한 시스템에서 데이터 구조가 정해져 있거나 전송 데이터양이 한정되어있는 프로토콜 등 블록 암호를 사용하기 어려운 환경에도 적용하여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하지만 형태보존암호는 암/복호화 속도가 느린 문제가 있어 실시간성이 중요한 시스템에 적용이 어렵다. NIST 표준 형태보존암호 FF1, FF3-1은 암/복호화 과정에서 블록 암호 AES를 여러번 사용하여 암호화하기 때문에 다른 암호화 알고리즘보다 연산량이 많고 암/복호화 속도가 느리다.
본 논문은 형태보존암호 FF1과 FF3-1의 암/복호화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경량 암호를 이용한 형태보존암호를 구현하고 기존 형태보존암호와 비교하였다. 제안하는 경량 형태보존암호는 FF1과 FF3-1 암/복호화 과정에서 사용되는 블록 암호를 AES에서 경량 암호 LEA, CLEFIA, SPECK으로 수정하여 연산량을 줄이고 암/복호화 속도를 향상시킨 알고리즘이다. 경량 암호를 이용한 형태보존암호를 intel, AMD, ARM 등 다양한 CPU 환경에서 암/복호화 속도를 측정하여 기존 형태보존암호와 비교하여 속도가 향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엔트로피 검사와 NIST SP 800-22 실험을 통해 보안성에 대한 검증을 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