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중소브랜드의 VMD 전략 강화를 위한 Toolkit 구축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Ideal Toolkit Establishment to Strengthen VMD Strategies of Small and Medium-Sized Bran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839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mid the recent worsening economies of Korea and around the world, the major interest of the general public centers around economic recovery. As prices have risen, especially for daily commodities, including gasoline, grains, and other foods, consumers have turned to economical consumption, and showed lower levels of desires for cultural activities, which prompted all corporations to create changes and innovations for their 'survival'. Big corporations seem to have stabilized their large sales revenues by dominating the retail industry with aggressive strategies including VMD, thanks to their enormous capital invested in large discount stores, department stores, distributors with chain stores, home shopping channels, or online stores. On the other hand, small and medium-sized brands have rarely been able to utilize the VMD strategies, due to a lack of clear information. Therefore, I decided that developing a tool-kit that can be easily utilized by small and medium-sized firms to boost their capabilities was essential.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VMD and establish its platform to be used as a database for designing of VMD Tool-Kit.
      번역하기

      Amid the recent worsening economies of Korea and around the world, the major interest of the general public centers around economic recovery. As prices have risen, especially for daily commodities, including gasoline, grains, and other foods, consumer...

      Amid the recent worsening economies of Korea and around the world, the major interest of the general public centers around economic recovery. As prices have risen, especially for daily commodities, including gasoline, grains, and other foods, consumers have turned to economical consumption, and showed lower levels of desires for cultural activities, which prompted all corporations to create changes and innovations for their 'survival'. Big corporations seem to have stabilized their large sales revenues by dominating the retail industry with aggressive strategies including VMD, thanks to their enormous capital invested in large discount stores, department stores, distributors with chain stores, home shopping channels, or online stores. On the other hand, small and medium-sized brands have rarely been able to utilize the VMD strategies, due to a lack of clear information. Therefore, I decided that developing a tool-kit that can be easily utilized by small and medium-sized firms to boost their capabilities was essential. This study is intended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VMD and establish its platform to be used as a database for designing of VMD Tool-Ki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국내외 경기가 악화되면서 무엇보다도 국민 대다수의 관심이 경기회복에 집중되어 있다. 고유가와 곡류, 먹거리 등 서민생활에 필요한 생필품 위주로 값이 상승하면서 소비자들의 합리적인 소비, 문화생활의 욕구가 감소되는 추세에 이르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들은 “생존”이라는 목적에 부합하는 변화와 혁신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형할인점, 백화점, 체인화 된 유통업체, 그리고 홈쇼핑, 온라인매장 등 대단위 자본으로 VMD를 접목한 공격적인 전략으로 소매업을 장악하면서 고액 매출이 고착화 되어가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중소브랜드들은 대기업에 비해 뚜렷한 가이드라인 부족으로 VMD 전략의 활용 사례자체가 적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중소브랜드만의 VMD 역량강화를 위해 중소기업이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VMD 전략 Tool-kit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 브랜드에 적합한 VMD 전략강화를 위한 구성요소 및 중소브랜드 전략 플랫폼을 구축하여 중소브랜드만의 VMD Tool-kit 설계방향을 Data base로 활용하고자 한다.
      번역하기

      최근 국내외 경기가 악화되면서 무엇보다도 국민 대다수의 관심이 경기회복에 집중되어 있다. 고유가와 곡류, 먹거리 등 서민생활에 필요한 생필품 위주로 값이 상승하면서 소비자들의 합...

      최근 국내외 경기가 악화되면서 무엇보다도 국민 대다수의 관심이 경기회복에 집중되어 있다. 고유가와 곡류, 먹거리 등 서민생활에 필요한 생필품 위주로 값이 상승하면서 소비자들의 합리적인 소비, 문화생활의 욕구가 감소되는 추세에 이르면서 대기업과 중소기업들은 “생존”이라는 목적에 부합하는 변화와 혁신이 필요하게 되었다.
      대형할인점, 백화점, 체인화 된 유통업체, 그리고 홈쇼핑, 온라인매장 등 대단위 자본으로 VMD를 접목한 공격적인 전략으로 소매업을 장악하면서 고액 매출이 고착화 되어가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중소브랜드들은 대기업에 비해 뚜렷한 가이드라인 부족으로 VMD 전략의 활용 사례자체가 적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중소브랜드만의 VMD 역량강화를 위해 중소기업이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VMD 전략 Tool-kit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 브랜드에 적합한 VMD 전략강화를 위한 구성요소 및 중소브랜드 전략 플랫폼을 구축하여 중소브랜드만의 VMD Tool-kit 설계방향을 Data base로 활용하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홍림, "패션마케팅에서의 판매촉진을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관한 연구" 5 (5): 2002

      2 김미연, "소비자 유형에 따라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적 요소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 저가 색조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0

      3 오미정, "비주얼 머천다이징을 위한 상품 코디네이트 연구와 사례제안" 호서대학교 문화콘텐츠대학원 2007

      4 김병훈, "브랜드 자산과 소비자 구매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유아 전집 도서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9

      5 유봉준, "백화점 VMD(Visual Merchandising) 마케팅에 관한 사례연구: In Store Promotion 매체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6 한국디자인진흥원, "디자인프로세스 적용기술개발 보고서" 지식경제부 2012

      7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 분석방법" 2세기사 2009

      8 박선희, "‘듀엘’ 영캐릭터 시장 안착" 어패럴뉴스

      1 이홍림, "패션마케팅에서의 판매촉진을 위한 비주얼 머천다이징에 관한 연구" 5 (5): 2002

      2 김미연, "소비자 유형에 따라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적 요소가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 저가 색조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0

      3 오미정, "비주얼 머천다이징을 위한 상품 코디네이트 연구와 사례제안" 호서대학교 문화콘텐츠대학원 2007

      4 김병훈, "브랜드 자산과 소비자 구매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유아 전집 도서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9

      5 유봉준, "백화점 VMD(Visual Merchandising) 마케팅에 관한 사례연구: In Store Promotion 매체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3

      6 한국디자인진흥원, "디자인프로세스 적용기술개발 보고서" 지식경제부 2012

      7 송지준,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 분석방법" 2세기사 2009

      8 박선희, "‘듀엘’ 영캐릭터 시장 안착" 어패럴뉴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1-01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Industrial design -> JOURNAL OF INDUSTRIAL DESIG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9 0.09 0.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8 0.06 0.21 0.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