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북한의 농악 인식 변천과 새 시대의 전망 = North Korea’s perception of Nongak and the prospect of a new er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428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북한의 농악 전승에 기초하여 농악에 대한 인식 변천을 다루는 것을 일차적인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북한의 농악 전승은 활발하지 않지만, 이에 대한 인식의 고양은 어느 정도 있...

      이 글은 북한의 농악 전승에 기초하여 농악에 대한 인식 변천을 다루는 것을 일차적인 목표로 하고 있다. 현재 북한의 농악 전승은 활발하지 않지만, 이에 대한 인식의 고양은 어느 정도 있었다. 그러다가 북한 노동당의 전승 기조가 달라지면서 농악은 민속악의 주류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현재 전승 양상은 미약한 형편이고, 본격적인 전승은 그렇게 활발하지 않다. 한때 인민악의 전형으로 되었던 것과 다른 면모를 보여주고 있었음을 우리는 실감하지 않을 수 없었다. 현재 북한의 농악 전승은 간헐적이기는 하지만 특정한 마당놀이를 통해서 일부 전승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오히려 남녘 학자의 전승에 입각하여 실제가 확인되고 있다. 황해도 장연 지역, 평안남도 온천 지역, 함경남도 북청사자놀이, 함경남도 마당률놀이를 중심으로 하여 농악의 실제 전승이 있는 것을 보게 된다. 그러한 점에서 전승의 양상이 확인된 것은 그마나 다행이다. 연백농악무의 실제가 전하고 있는 것은 가장 특별한 사실이다. 우리는 이와 같은 전승 현황을 통해서 북한 지역의 농악 전승에 대한 전망을 수립할 수 있게 되었다. 농악은 집단의 전승과 기억을 중심으로 하는 것이므로 이를 통한 여러 가지 협력이 가능하게 될 것으로 보이며, 무형문화유산의 전승과 공유를 함의하는 작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전승의 실제와 이론적 전망을 열어놓고 보는 것은 가장 소중한 지침이 될 전망이다. 굳어진 관계를 쇄신하고 앞으로 민족 동질성의 회복을 조성하고, 전승의 기반을 함께 하는 것은 정말로 중요한 과제라고 생각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헌선, "한국농악의 다양성과 통일성" 민속원 2014

      2 강재욱, "한국 풍물과 중국 앙가의 기능과 연행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3 강춘화, "중국 조선족농악의 변천과 음악적 특징" 민속원 2016

      4 曺雲, "조선의 민속놀이" 군중문화출판사 1964

      5 남근우,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체제의 성립과 전략적 수용 -한중일의 동아시아 삼국을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63) : 115-155, 2017

      6 남근우,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체제와 동아시아 민속학 - 중국과 일본의 경우를 중심으로 -" 국립민속박물관 (37) : 123-144, 2015

      7 심승구, "씨름의 정체성과 유산 가치" 비교민속학회 (67) : 145-176, 2018

      8 김헌선, "사멸위기의 문화유산" 민속원 2009

      9 김헌선, "북한측 학자의 「농악」 인식과 논의 경과, 그리고 의의 분석 -「農樂에 關하여」와 「농악놀이」 두 가지 예증을 구실삼아-" 국립민속박물관 (40) : 5-39, 2017

      10 최철, "북한의 민속예술" 고려원 1990

      1 김헌선, "한국농악의 다양성과 통일성" 민속원 2014

      2 강재욱, "한국 풍물과 중국 앙가의 기능과 연행양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3 강춘화, "중국 조선족농악의 변천과 음악적 특징" 민속원 2016

      4 曺雲, "조선의 민속놀이" 군중문화출판사 1964

      5 남근우,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체제의 성립과 전략적 수용 -한중일의 동아시아 삼국을 중심으로-" 비교민속학회 (63) : 115-155, 2017

      6 남근우,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체제와 동아시아 민속학 - 중국과 일본의 경우를 중심으로 -" 국립민속박물관 (37) : 123-144, 2015

      7 심승구, "씨름의 정체성과 유산 가치" 비교민속학회 (67) : 145-176, 2018

      8 김헌선, "사멸위기의 문화유산" 민속원 2009

      9 김헌선, "북한측 학자의 「농악」 인식과 논의 경과, 그리고 의의 분석 -「農樂에 關하여」와 「농악놀이」 두 가지 예증을 구실삼아-" 국립민속박물관 (40) : 5-39, 2017

      10 최철, "북한의 민속예술" 고려원 1990

      11 김채원, "북한 무용분야 무형유산의 실재" 국립고궁박물관 2019

      12 曺雲, "문화유물 제2호" 문화유물출판사 1950

      13 정수진, "무형문화유산의 문화정치학-유네스코 체제에 대한 한국의 대응을 중심으로-" 실천민속학회 26 : 287-316, 2015

      14 권희덕, "농악교본: 농악ㆍ사물놀이의 역사ㆍ이론ㆍ실제" 세일사 1995

      15 권희덕, "농악ㆍ선예굿ㆍ악기놀이" 후반기출판사 1981

      16 정병호, "농악" 열화당 1986

      17 김성재, "남북 공동번영을 위한 문화유산의 가치와 역할" 국립고궁박물관 2019

      18 "遼史 卷39"

      19 新井恒易, "農と田遊びの硏究 上ㆍ下" 明治書院 1981

      20 "續自治通鑑長編 卷79"

      21 朴趾源, "燕巖集 <熱河日記> 卷之十二○別集" 1780

      22 "文獻通考"

      23 "宋會要輯稿 蕃夷2"

      24 "契丹國志 卷24"

      25 "中國ㆍ朝鮮ㆍ韓國 『동방민족 전통민요의 현대 전형』(東方民族傳統民謠的現代轉型)"

      26 김일성, "1964년 7월 11일 김일성이 문학예술부문 종사자들에게 특별 교시-<혁명적 문학예술을 창작할 데대하여>-"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